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지] 1
제출문 3
연구요약 6
목차 40
제1장 서론 5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52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53
가. 연구의 범위 53
나. 연구의 내용 53
다. 연구의 방법 54
3. 연구의 절차 56
제2장 중앙정부 및 타 시·도 다문화가족 정책 현황 58
1. 중앙정부의 다문화가족 정책 현황 60
가. 다문화가족 정책의 형성과 성장 60
나. 여성가족부의 제3차 다문화가족 정책 기본계획 추진 현황 66
다. 다문화가족 지원 관련 조례 현황 69
2. 타 시·도 다문화가족 정책 우수사례 현황 71
가. 통합서비스 운영기관(가족센터) 추진 현황 71
나. 다문화가족 지원 영역별 우수사례 73
3.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결과 분석 76
4. 소결 및 시사점 83
제3장 제주특별자치도 다문화가족 정책 추진 성과와 과제 88
1. 제주특별자치도 다문화가족 정책 현황 90
가. 제주지역 다문화가족 정책 관련 환경 변화 90
나. 제주특별자치도 다문화가족 관련 조례 현황 90
2. 제주특별자치도 다문화가족정책(2018~2021) 추진 성과와 과제 91
가. 제주 다문화가족정책(2018~2021) 예산 집행 현황 분석 93
나. 제주 다문화가족정책(2018~2021) 성과목표 달성 현황 분석 101
3. 제주지역 다문화가구 현황 및 주요 정책 이슈 104
가. 2018년 제주지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주요 결과 분석 104
나. 제주지역 다문화가구 현황 및 주요 정책 이슈 106
4. 소결 및 시사점 111
제4장 제주지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결과 116
1. 조사 개요 118
가. 조사 설계 118
나. 설문조사 내용 120
다. 설문조사 결과 분석 구조 121
2. 응답자의 일반 및 가구 특성 122
가.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122
나. 응답자의 가구 특성 124
3. 결혼생활과 가족관계 126
가. 가족형성과 혼인관계 126
나. 가족관계 만족도 135
다. 역할 분담 139
라. 부부의 갈등 143
마. 가정폭력 경험 및 대응 147
4. 부모의 역할과 자녀 양육 151
가. 부모의 역할 및 어려움 151
나. 중도입국자녀 현황 및 정책 수요 160
다. 자녀의 이중언어 환경 163
라. 자녀의 학교폭력 경험 170
마. 자녀의 예체능 교육 지원 등 정책 수요 171
5. 경제활동 178
가. 일 경험 178
나. 취업자 근로 현황 179
다. 비취업자 현황 185
라. 코로나19가 경제활동에 미친 영향 187
마. 취창업 지원정책 수요 190
6. 사회생활 및 지원 서비스 194
가. 한국 생활 적응 194
나. 사회활동 참여 경험 198
다. 사회적 관계 201
라. 차별 경험 및 대응 203
마. 서비스 이용 경험 및 정책 수요 208
7. 삶의 만족도 214
가. 병원 이용 어려움 214
나. 노후 준비 217
다. 성역할 인식 220
라. 사회적 지위 223
마. 삶의 만족도 225
8. 소결 및 시사점 226
제5장 제주지역 다문화 정책수요 면접조사 결과 232
1. 초점집단면접(FGI) 조사 개요 234
가. 목적 234
나. 운영 및 방법 234
다. 참여자 선정 방법과 운영 과정 234
라. 자료수집 및 분석 235
2. 초점집단면접(FGI) 조사 결과 236
가. 다문화가족(한국인배우자)의 정책수요 236
나. 외국인가족의 정책수요 240
다. 관련 활동가 및 전문가의 정책수요 244
3. 소결 및 시사점 251
제6장 제4차 제주특별자치도 다문화가족정책 기본계획(2023~2026)(안) 254
1. 기본계획 수립 방향 256
가. 도내·외 정책환경 변화를 고려한 기본계획 비전 및 목표 수립 방향 256
나. 다문화가족 정책 추진 성과 분석에 따른 정책과제 발굴 방향 257
다.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결과에 따른 정책과제 발굴 방향 258
2. 기본계획 비전체계 및 정책과제 261
3. 세부 추진과제 263
가. 세부 추진과제 총괄표 263
나. 세부 추진계획 265
참고문헌 327
부록 : 2022년 제주특별자치도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설문지 330
판권기 346
[뒷표지] 347
〈그림 1-1〉 연구 추진 절차 57
〈그림 2-1〉 다문화가족 정책 연도별 예산 규모(2007-2011) 62
〈그림 2-2〉 제3차 다문화가족정책 기본계획(2018-2022)의 비전과 목표 67
〈그림 2-3〉 제3차 다문화가족정책 기본계획(2018-2022)의 차별성 68
〈그림 2-4〉 통합서비스 운영기관(가족센터) 사업 구성 72
〈그림 2-5〉 결혼이민자·귀화자의 임금 수준 80
〈그림 2-6〉 결혼이민자·귀화자와 임금근로자 일반의 임금수준 80
〈그림 3-1〉 제주특별자치도 다문화가족정책 시행계획 예산 집행(2018~2021) 93
〈그림 3-2〉 제주특별자치도 다문화가족정책 공통과제/특화과제별 예산 집행액(2018~2021) 97
〈그림 4-1〉 설문조사 결과 분석 구조 122
〈그림 4-2〉 결혼이민자·한국국적취득자의 혼인상태(전국, 제주) 126
〈그림 4-3〉 결혼이민자·한국국적취득자 유배우자의 만남 경로(전국, 제주) 128
〈그림 4-4〉 결혼이민자·한국국적취득자의 유배우자 혼인 기간(전국, 제주) 129
〈그림 4-5〉 결혼이민자·한국국적취득자의 이혼·별거 사유(전국, 제주) 131
〈그림 4-6〉 결혼이민자·한국국적취득자의 이혼·별거 후 주 양육자(전국, 제주) 132
〈그림 4-7〉 결혼이민자·한국국적취득자의 이혼·별거 후 자녀 양육비 수령 현황(전국, 제주) 133
〈그림 4-8〉 제주지역 결혼이민자·한국국적취득자의 사별 전 혼인지속 기간(제주 2018, 2022) 133
〈그림 4-9〉 제주지역 결혼이민자·한국국적취득자의 배우자 사망 후 자녀 양육 현황(제주 2018, 2022) 134
〈그림 4-10〉 제주지역 결혼이민자·한국국적취득자의 가족관계 만족도(제주 2022) 135
〈그림 4-11〉 제주지역 결혼이민자·한국국적취득자의 가정 내 역할 분담(제주 2018, 2022) 139
〈그림 4-12〉 결혼이민자·한국국적취득자의 부부 갈등 경험(전국, 제주) 144
〈그림 4-13〉 결혼이민자·한국국적취득자의 부부 갈등 사유(1+2순위)(전국, 제주) 145
〈그림 4-14〉 결혼이민자·한국국적취득자의 부부 갈등 해결 방식(1+2순위)(전국, 제주) 146
〈그림 4-15〉 제주지역 결혼이민자·한국국적취득자의 가정폭력 경험(복수응답)(제주 2018, 2022) 147
〈그림 4-16〉 제주지역 결혼이민자·한국국적취득자의 가정폭력 가해자(복수응답)(제주 2018, 2022) 148
〈그림 4-17〉 제주지역 결혼이민자·한국국적취득자의 가정폭력 발생 시 대응 방법(복수응답)(제주 2022, 2018) 149
〈그림 4-18〉 결혼이민자·한국국적취득자의 가정폭력 피해 지원 기관 인지(복수응답)(제주 2022, 2018) 151
〈그림 4-19〉 결혼이민자·한국국적취득자의 자녀양육의 부모 역할 인식(전국, 제주) 152
〈그림 4-20〉 결혼이민자·한국국적취득자의 만 5세 이하 자녀 돌봄 분담(전국, 제주) 153
〈그림 4-21〉 만 5세 이하 자녀 양육 어려움(제주, 전국) 153
〈그림 4-22〉 만 6~24세 자녀 양육 어려움(1+2순위)(전국, 제주) 155
〈그림 4-23〉 제주지역 결혼이민자·한국국적취득자의 만 6~24세 자녀의 가장 큰 고민(복수응답)(제주, 2022) 156
〈그림 4-24〉 결혼이민자·한국국적취득자의 코로나19로 인한 자녀의 온라인 학습 경험(전국, 제주) 157
〈그림 4-25〉 제주지역 결혼이민자·한국국적취득자의 중도입국자녀 유무 및 현황(제주, 2022) 160
〈그림 4-26〉 제주지역 결혼이민자·한국국적취득자의 재학중인 중도입국자녀의 학교 적응 수준(제주, 2022) 161
〈그림 4-27〉 제주지역 결혼이민자·한국국적취득자의 비재학 중도입국자녀의 가장 큰 어려움(제주, 2022) 162
〈그림 4-28〉 제주지역 결혼이민자·한국국적취득자의 중도입국자녀에게 가장 필요한 정책 수요(제주, 2022) 162
〈그림 4-29〉 결혼이민자·한국국적취득자의 모국 부모 형제자매의 자녀양육 참여(복수응답)(전국, 제주) 169
〈그림 4-30〉 제주지역 결혼이민자·한국국적취득자 자녀의 예체능 관심 분야(제주, 2022) 172
〈그림 4-31〉 제주지역 결혼이민자·한국국적취득자 자녀의 예체능 교육 지원 수요(제주, 2022) 173
〈그림 4-32〉 제주지역 결혼이민자·한국국적취득자 자녀의 정규수업 이외의 교육 지원 수요... 174
〈그림 4-33〉 제주지역 결혼이민자·한국국적취득자의 자녀 최종 학력 희망(제주, 2022) 175
〈그림 4-34〉 제주지역 결혼이민자·한국국적취득자 본인의 진학 의향(제주, 2022) 177
〈그림 4-35〉 제주지역 결혼이민자·한국국적취득자의 일 경험(한국/모국 포함)(제주 2018, 2022) 178
〈그림 4-36〉 결혼이민자·한국국적취득자의 직종 분포(전국, 제주) 180
〈그림 4-37〉 제주지역 결혼이민자·한국국적취득자의 직종 분포(모국, 한국)(제주, 2022) 181
〈그림 4-38〉 결혼이민자·한국국적취득자의 월 평균 임금(전국, 제주) 183
〈그림 4-39〉 결혼이민자·한국국적취득자의 코로나19로 인한 일자리 관련 변화(전국, 제주) 187
〈그림 4-40〉 제주지역 결혼이민자·한국국적취득자의 코로나19로 인한 가구소득 변화(제주, 2022) 189
〈그림 4-41〉 제주지역 결혼이민자·한국국적취득자의 직업교육훈련 희망 직종(1+2순위)(제주, 2022) 191
〈그림 4-42〉 제주지역 결혼이민자·한국국적취득자의 취업과 창업을 위해 바라는 정책(1+2순위)... 193
〈그림 4-43〉 제주지역 결혼이민자·한국국적취득자의 일상생활 영역별 한국어 의사소통 수준(제주, 2022) 195
〈그림 4-44〉 결혼이민자·한국국적취득자의 한국어능력시험 등급(전국, 제주) 196
〈그림 4-45〉 결혼이민자·한국국적취득자의 생활 어려움(복수응답)(전국, 제주) 197
〈그림 4-46〉 제주지역 결혼이민자·한국국적취득자의 모임이나 활동 참여 경험 및 향후 참여 의향... 199
〈그림 4-47〉 제주지역 결혼이민자·한국국적취득자의 모임·활동 지속 참여 어려움(제주, 2022) 200
〈그림 4-48〉 결혼이민자·한국국적취득자의 가족 외 도움 받을 수 있는 사람 유무(전국, 제주) 201
〈그림 4-49〉 제주지역 결혼이민자·한국국적취득자의 가족 외 도움 받을 수 있는 사람(제주, 2022) 202
〈그림 4-50〉 결혼이민자·한국국적취득자의 외국인출신이라는 이유로 차별 받은 경험(전국, 제주) 203
〈그림 4-51〉 제주지역 결혼이민자·한국국적취득자의 외국인출신이라는 이유로 차별 받은 장소... 204
〈그림 4-52〉 결혼이민자·한국국적취득자의 외국인출신이라는 이유로 차별 대응(전국, 제주) 206
〈그림 4-53〉 결혼이민자·한국국적취득자의 관련 서비스별 이용 경험(전국, 제주) 209
〈그림 4-54〉 제주지역 결혼이민자·한국국적취득자의 관련 서비스 정책수요(전국, 제주) 210
〈그림 4-55〉 결혼이민자·한국국적취득자의 다문화가족 관련 시설 이용 경험(1+2순위)(전국, 제주) 211
〈그림 4-56〉 제주지역 결혼이민자·한국국적취득자의 다문화가족 지원 사업 영역별 정책 수요(제주, 2022) 213
〈그림 4-57〉 결혼이민자·한국국적취득자의 아플 때 병원에 가지 못한 경험(전국, 제주) 215
〈그림 4-58〉 결혼이민자·한국국적취득자의 아플 때 병원 이용 못한 이유(전국, 제주) 216
〈그림 4-59〉 결혼이민자·한국국적취득자의 노후 준비 방식(복수응답)(전국, 제주) 218
〈그림 4-60〉 제주지역 결혼이민자·한국국적취득자의 노후 불안 요인(제주, 2022) 219
〈그림 4-61〉 결혼이민자·한국국적취득자의 성 역할 인식(동의비율)(전국, 제주) 221
〈그림 4-62〉 결혼이민자·한국국적취득자의 주관적 사회 지위 인식(전국, 제주) 224
〈그림 4-63〉 결혼이민자·한국국적취득자의 삶(생활) 만족도(전국, 제주) 226
〈그림 6-1〉 제4차 제주특별자치도 다문화가족정책 기본계획 비전체계 262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3001825 | 362.82 -23-20 | v.1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0003001826 | 362.82 -23-20 | v.1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0003001827 | 362.82 -23-20 | v.2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0003001828 | 362.82 -23-20 | v.2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