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들어가며_행발모(행복한 발걸음 모임) 이야기 - 왜 걷는가

[Chapter 1] 걷는다는 것은

1. 걷기의 효과
가. 심장병 예방, 혈관 건강 개선
나. 치매 예방에 도움
다. 면역력 증진
라. 체중 조절과 다이어트 효과
마. 당뇨병 예방 효과 및 개선
바. 우울증 완화 효과
사. 즉각적인 스트레스 해소
아. 근육량 유지
자. 관절 유지
차. 골다공증 예방
카. 기타
*걷기운동이 뇌 활동에 좋은 이유

2. 걷기 습관을 키우는 방법

[Chapter 2] 걷기 예찬

1. 걷기와 관련된 세상의 명언들
2. 걷는 사람들
1. 걷기 여행가_황안나(경화)
2. 걷는 사람_하정우
3. 맨발 걷기의 기적_박동창
4. 뛰는 남자_조웅래
5. 기적을 부르는 걷기_세실 가테프
6. 나는 걷는다_베르나르 올리비에

[Chapter 3] 나와 행발모. 걷기와 삶

행발모에서 행복을 생각하다_윤경용
행발모, 내 삶의 즐거운 변화의 중심!_박종선
울릉도/독도 행발모(2022년 7월)_유기원
나의 행발모_김정이
행발모 111번째 발걸음에 아내와 동행하다_한봉수
걷기의 기적_서정문
내가 행복한 발걸음 모임에 계속 참여하는 이유_김완수
서울은 다 연결되어 있네!_김병영
소중한 인연, 행발모_정은서
나의 행발모_박혜민
걷는 인생_김명진
고도 익산을 걷다_박순천
나의 걷자생존_장민석
행발모 단상_정헌석
남한강 물소리 길_최종엽
행복한 발자국 모임은 "관계의 맛"이다_김동현
길이 있고 나는 걷는다_우귀옥
나와 행발모, 10주년을 축하하며_이지수
걷기는 나의 운명, 나의 삶!_오창곤
행발모와 함께 하는 즐거움_육헌수
걷기와 명상, 걷기 명상에 대한 소고_조원경

[Chapter 4] 우리는 이렇게 걸었다.
(지난 10년, ‘행복한 발걸음 모임’의 기록)

001_서울숲-남산길
002_두물머리 물레길-운길산길
003_강동 그린웨이
004_부암동 생태문화탐방길
005_북한산 둘레길 2.3코스
006_서울둘레길 4구간
007_북한산 우이령길(북한산 둘레길 21코스)
008_월드컵공원 생태순환길
009_한양도성 성곽길 4코스
010_청계천길-중랑천길-옥수동

011_아차산 고구려 역사길
012_백련산-안산 숲길-독립문공원길
013_한강나루길 1코스
014_북한산 둘레길 7, 8코스
015_동작충효길 2코스, 1코스, 3코스 일부
016_양평 용문 들길
017_회룡골과 송추
018_강서둘레길
019_성북동 고택북촌문화길
020_남산순환길

021_서리풀길, 우면산길
022_망우묘지공원 사색의 길 및 망우산
023_서울둘레길 1구간 일부/수락산길
024_구리 왕숙천길/동구릉길
025_광명 둘레길
026_북한산 둘레길 18, 19, 20 코스
027_서대문 안산자락순환길
028_관악산 숲길
029_인왕산 자락 서촌, 부암동, 백사실 계곡
030_서울 둘레길 7코스(가양역~하늘공원)

031_하남/팔당 한강길
032_춘천 호반길
033_양재천/송년 행발모
034_서울둘레길 2코스(화랑대역-광나루역)
035_서울둘레길 1코스 후반부(당고개-화랑대역)
036_서울둘레길 1코스 전반부(도봉산역-당고개역)
037_서울몰래길(고려대-홍릉수목원-경희대-돌곶이역)
038_서울둘레길 3코스 일부(광나루역-고덕역)
039_서울둘레길 3코스(고덕역-올림픽공원)
040_서울둘레길 3코스(올림픽공원~수서역)

041_서울몰래길(세검정-백사실계곡-정릉)
042_서울둘레길 4코스 일부(수서역-양재시민의 숲)
043_음성 양덕저수지/해피허브 행복센터
044_서울둘레길 4코스(양재시민의숲-우면산-사당역)
045_서울몰래길(군자역-중랑천-한강-옥수역)
046_서울둘레길 6-1코스(안양천길)
047_중랑천 철새탐방 프로그램
048_서울둘레길 5코스(사당역-관악산-석수역)
049_임실의 섬진강을 따라 걷다
050_서울둘레길 6-2코스(구일역-가양역)

051_서울 이음길
052_불암산과 삼육대 숲길
053_광명동굴 투어
054_서울 둘레길 7코스(월드컵경기장~서오릉)
055_광나루역-아차산-구리한강공원
056_특별 가을 소풍, 제천 월악산 미륵송계로/동달천 걷기
057_옥수역-마포대교 한강길 걷기
058_이상화/윤동주를 따라 북촌,서촌,인왕산 둘레길
059_성북동 문화역사길을 걷다
060_도봉구 쌍문/방학동 역사문화예술길

061_양평 두물머리 물레길
062_5주년 기념 안면도 특별 소풍
063_정릉천과 정릉길
064_북한산 둘레길 3, 4, 5길
065_남산숲 둘레길
066_탄천길(복정역-분당 한국디자인진흥원
067_서울 고궁길
068_만경강 가을 소풍길
069_남한산성 둘레길 5코스
070_서울숲-장충단공원

071_경리단길-후암동길
072_3.1운동 100주년 독립운동길
073_땅끝 해남 달마고도길
074_서초동 길
075_초안산-경춘선 숲길
076_광릉숲길과 국립수목원길
077_북한산둘레길 8,9코스와 진관사숲길
078_경의선 숲길-홍제천길
079_대전투어 소풍
080_가을 행복소풍/봉화 외씨버선길

081_남산순환길-매봉산-옥수동
082_남양주와 양평 두물머리의 북한강 걷기
083_영월(+정선 고한) 겨울 소풍
084_코로나 시대/각자 행발모
085_광진 둘레길
086_태백산 금대봉 야생화 소풍
087_양평 남한강 걷기
088_강서 둘레길
089_탄천, 세곡천, 대모산
090_각자 행발모(코로나로 인해)

091_군포 수리산 둘레길
092_익산 행복 소풍
093_강남 명품 하천길
094_각자 행발모
095_서대문 안산, 인왕산길
096_선정릉-봉은사길
097_한성 백제왕도길
098_구로 명품 올레길
099_여의도 걷기
100_서울숲-옥수동(100회 파티)

101_북한산 둘레길+각자 행발모
102_탄천길+각자 행발모
103_북한산 자락길과 북한산 둘레길 6구간
104_여주 여강길
105_춘천 낭만길
106_서울 성곽 순성길
107_오산 독산성과 세마대지길
108_마포 한강길
109_청계천. 중랑천. 응봉산
110_아산 행복소풍

111_대전 대청호와 계족산길
112_울릉도/독도 특별 행발모
113_서대문 안산자락길
114_연천 일대(전곡 선사박물관/한탄강/고구려성 등)
115_문경 새재길
116_영동과 금산의 금강길
117_수원 화성 성곽길
118_양평 물소리길, 버드나무나루께길
119_철원 한탄강 물윗길 트레킹과 철원길
120_탄천, 양재천길
121_행발모 10주년, 섬진강 봄길을 걷다

에필로그

이용현황보기

우리는 왜 걷는가 : 걷자생존 걷자행복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002372 613.7176 -23-1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3002373 613.7176 -23-1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B000077020 613.7176 -23-11 부산관 주제자료실(2층)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걷자 생존, 걷자 행복’에 동참한 행복쟁이들의 ‘걷기 경험 총서’

걷자 생존, 걷자 행복, 행발모 10년 이야기!
2013년 봄, 4월. 우연히 시작한 행복한 발걸음 모임(행발모)! 매월 첫 번째 토요일, 그 ‘행발모’가 10년, 120회를 헤아린다. 무려 3,000여 명이 넘는 좋은 인연들, 이 땅의 장삼이사들이 함께 걸었다.

노래 그대로 ‘비가 오나 눈이 오나 바람이 부나’ 우리는 걷고 또 걸었다. 체감온도 영하 20도 가까운 날도, 38도를 넘는 한여름에도, 비바람이 몰아치는 날도 멈추지 않았다. 숨을 멈추지 않고, 식사와 수면을 멈추지 않는 것처럼. 살아있기에….
서울과 수도권 인근의 알려진 둘레길을 시작으로, 숨겨놓은 듯한 몰래길도 걸었다. 버스로 걷기 소풍 길에 나서 섬진강, 만경강, 월악산 아랫길, 영월, 봉화 외씨버선길, 환상적인 안면도길, 해남 달마고도 등등도 걸었다. 걷기가 아름다운 자연들과 함께 일상 속으로 들어왔다.

이 책은 그 행발모 10년의 기록이자, 걷자생존, 걷자행복을 위한 ‘걷기 제안서’이다. 이론이나 주장을 넘어 직접 함께 걸으며 느꼈던 이야기를 총 4개의 챕터로 정리한 <걷기 경험 총서>라 해도 좋을 것이다.

1장 ‘걷는다는 것은’ 편에서는 걷기의 효과와 걷기 습관을 키우는 방법.
2장 ‘걷기 예찬’은 걷기와 관련된 세상의 명언들, 걷는 사람들 이야기.
3장 ‘나와 행발모, 걷기와 삶’ 편에서는 함께 걸었던 사람들의 소감.
4장 ‘우리는 이렇게 걸었다’ 편에서는 10년 동안 121번 걸었던 이야기를 360여 장의 사진과 함께 보여준다.

이 책은 단순한 걷기가 무시해도 좋은 하찮은 무엇이 아니라 건강을 챙기고 즐거운 삶, 좋은 삶을 향한 비밀이자 힌트를 준다. 이 책을 통해 일상의 걷기가 때로는 삶의 상큼한 활력소이자 자극제가 될 수도 있음을 알아차린다면 그는 지혜로운 사람이리라. 나아가 걷기가 건강한 심신을 유지하는 최고의 길이며, 무료하고 뻔한 삶에 ‘세렌디피티’를 제공하는 행복공장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우리는 왜 걷는가》는 독자에게 걷자 생존, 걷자 행복의 노하우를 제공하는 책이다.
‘걷기는 힘이 세다!’
이 책은 이 명제에 대한 강력한 증거이자 증인이다.

사람은 왜 걸어야 하는가!

걷는다는 것은 ‘아름다운 여행’이다.
속도는 인체의 감각이며, 보행으로 여행을 하는 것이 도보여행이다.
성인 남성의 걷기 평균 속도는 1시간에 5km로
5km의 속도로 움직이면서 주변을 바라볼 때 가장 아름답게 보인다고 한다.
고로 걷는다는 것은 스치듯 풍경을 보는 ‘아름다운 여행’인 것이다.

이 책은 행발모(행복한 발걸음 모임)를 10년 동안 이끌어 온 先導者 김재은 님의 ‘행복 발자국’이며
‘걷자 생존, 걷자 행복’에 동참한 연인원 3,300여 행복쟁이들의 ‘현재 진행형 추억록’이다.

세상은 의지에 달렸다.
무엇이든 간에 10년을 꾸준히 한다는 건 의지에 바탕을 둔 실행력이다.

“언뜻 돌아보면 탄탄대로의 장밋빛 길을 걸어온 것 같지만 조금 더 살펴보니 수많은 희로애락이 뒤엉킨 비빔밥 같은 시간이었음을 확인한다. 어찌 10년의 세월이 그냥 좋기만 했겠는가. 한 번 한 번, 그 한 번을 위해 작은 정성과 수고가 있었을 뿐인데 그것이 끝내 120번을 넘었으니, 역시 축적의 힘은 세고, 꾸준함을 이길 장사가 어디 있을까.”
_후기 중에서

걷는다는 것은 뇌의 지시로 몸을 옮겨 나아가는 것이다.
뇌가 스트레스를 받을 때 분비되는 호르몬은 코르티솔이지만, 걷다 보면 행복 호르몬인 ‘세로토닌’이 분비되어 기분 전환에 도움이 된다. 걷는 것은 우울감, 열등감, 좌절감, 분노, 화, 시기와 질투 등 마음에 침투하여 자기를 침몰시킬 수도 있을 삶의 위기 상황에서 자신을 돕는 최고의 아군이며 최강의 항체이고 백신이다.

사람은 살아있는 한 걸어야 한다.
걷는 것이 생존이고, 걷는 자가 생존할 수 있다.
걷는 것이 즐거움이고, 걷는 자가 행복할 수 있다.

걸어서 더 행복해져야 한다. 걸어서 더 건강해져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