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요약 3
I. 중장기 로드맵 마련의 배경 및 필요성 6
1. 목적 및 필요성 7
2. 주요 내용 8
II. 환경경제 분야 연구 로드맵 / 김현노;김호석;조일현;이홍림 10
1. 목표 12
2. 전략 12
3. 연구 로드맵 체계도 14
4. 연구 로드맵 전략별 추진 계획 15
5. 세부과제별 주요 내용 44
참고문헌 52
[부록] 54
III. 환경사회 분야 연구 로드맵 / 김도균;이재혁;염정윤;공지영;서은주 56
1. 목표 58
2. 전략 59
3. 연구 로드맵 체계도 61
4. 연구 로드맵 전략별 추진계획 62
5. 세부과제별 주요 내용 74
참고문헌 84
IV. 국제협력 분야 연구 로드맵 / 강택구;임채은 85
1. 목표 87
2. 전략 87
3. 연구 로드맵 체계도 88
4. 연구 로드맵 전략별 추진계획 90
5. 세부과제별 주요 내용 95
참고문헌 106
[부록] 108
V. 순환경제 분야 연구 로드맵 / 조지혜;주문솔;이소라;신상철;김영희;임혜숙;박설연 113
1. 목표 115
2. 전략 115
3. 연구 로드맵 체계도 117
4. 연구 로드맵 전략별 추진계획 118
5. 세부과제별 주요 내용 146
참고문헌 166
VI. 환경보건 분야 연구 로드맵 / 서양원;박정규;배현주;정다운;권유진;박하늘;간순영;오규림 171
1. 목표 173
2. 전략 173
3. 연구 로드맵 체계도 174
4. 연구 로드맵 전략별 추진계획 175
5. 세부과제별 주요내용 184
참고문헌 194
VII. 온실가스 감축 분야 연구 로드맵 / 신동원;이상엽;채여라;임형우;최형식;문종우;이하경 196
1. 목표 198
2. 전략 198
3. 연구 로드맵 체계도 199
4. 연구 로드맵 전략별 추진계획 199
5. 세부과제별 주요 내용 207
참고문헌 215
VIII. 기후위기 적응 분야 연구 로드맵 / 신지영;강주연;김윤정;박진한;송영일;임영신;정선희;정휘철;조한나;홍제우;송지연 216
1. 목표 218
2. 전략 218
3. 연구 로드맵 체계도 219
4. 연구 로드맵 전략별 추진계획 220
5. 세부과제별 주요 내용 231
참고문헌 240
IX. 대기환경 분야 연구 로드맵 / 한진석;심창섭;이승민;최기철;정예민 241
1. 목표 243
2. 전략 243
3. 연구 로드맵 체계도 245
4. 연구 로드맵 전략별 추진 계획 246
5. 세부과제별 주요 내용 257
참고문헌 266
X. 물관리 분야 연구 로드맵 / 한혜진;김수홍;김호정;현윤정;이승수;한대호;이문환;정기철;조을생;강형식;류재나;전동진;김수빈;정아영;황보은;양일주 267
1. 목표 269
2. 전략 269
3. 연구 로드맵 체계도 271
4. 연구 로드맵 전략별 추진계획 272
5. 세부과제별 주요 내용 298
참고문헌 322
XI. 국토환경 분야 연구 로드맵 / 박창석;윤정호;김태현;손승우;이지영;김근한;송지윤 324
1. 목표 326
2. 전략 326
3. 연구 로드맵 체계도 327
4. 연구 로드맵 전략별 추진계획 328
5. 세부과제별 주요 내용 345
참고문헌 359
XII. 생물ㆍ생태 분야 연구 로드맵 / 구경아;차은지;홍현정 360
1. 목표 362
2. 전략 362
3. 연구 로드맵 체계도 372
4. 연구 로드맵 전략별 추진계획 373
5. 세부과제별 주요 내용 389
참고문헌 398
XIII. 해양환경 분야 연구 로드맵 / 김충기;맹준호;조광우;이현우;구경아;홍현정;김연중;김준성;정해상;김강선;김규리;이창희;손규희;허학영;지호 400
1. 목표 402
2. 전략 402
3. 연구 로드맵 체계도 407
4. 연구 로드맵 전략별 추진계획 408
5. 세부과제별 주요 내용 436
참고문헌 445
[부록] 450
XIV. 환경평가 분야 연구 로드맵 / 유헌석;김경호;박종윤;양경;이진희;이어진;이지예;송슬기 452
1. 목표 454
2. 전략 454
3. 연구 로드맵 체계도 456
4. 연구 로드맵 전략별 추진계획 457
5. 세부과제별 주요 내용 480
참고문헌 492
XV. 환경데이터 분야 연구 로드맵 / 진대용;조윤랑;한국진;강성원;이명진;홍한움;최광훈;공현숙 494
1. 목표 496
2. 전략 497
3. 로드맵 체계도 498
4. 로드맵 전략별 추진계획 499
5. 세부과제별 주요 내용 506
참고문헌 518
XVI. 소음ㆍ진동 분야 연구 로드맵 / 이병권;선효성;박태호;박영민;김경민 519
1. 목표 521
2. 전략 521
3. 연구 로드맵 체계도 522
4. 연구 로드맵 전략별 추진계획 523
5. 세부과제별 주요 내용 535
참고문헌 556
[부록] 환경분야 연구 로드맵 코드표 557
판권기 2
〈그림 2-1〉 환경경제 분야 연구 로드맵 체계(2023~2027년) 14
〈그림 2-2〉 「제4차 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2021-2040)」(좌)과 「제5차 국가환경종합계획(2020-2040)」(우)의 비전 19
〈그림 2-3〉 「제5차 국가환경종합계획(2020-2040)」의 '계획의 이행방안' 19
〈그림 2-4〉 OECD 정책정합성 권고 사항 22
〈그림 2-5〉 「제5차 국가환경종합계획(2020-2040)」의 '모두를 포용하는 환경정책으로 환경정의 실현' 23
〈그림 2-6〉 탄소중립 녹색성장 추진전략('22.10.26)의 '탄소중립 친화적인 재정ㆍ금융 프로그램 구축' 25
〈그림 2-7〉 탄소중립 녹색성장 추진전략('22.10.26)의 '탄소중립 친화적인 재정ㆍ금융 프로그램 구축' 및 '저탄소 산업구조 및 순환경제로의 전환' 27
〈그림 2-8〉 「제5차 국가환경종합계획」의 '산업의 녹색화와 혁신적 R&D를 통한 녹색순환경제 실현' 30
〈그림 2-9〉 「제5차 국가환경종합계획」의 '산업의 녹색화와 혁신적 R&D를 통한 녹색순환경제 실현' 33
〈그림 2-10〉 「제5차 국가환경종합계획」의 "산업의 녹색화와 혁신적 R&D를 통한 녹색순환경제 실현" 34
〈그림 2-11〉 우리나라 신설ㆍ강화된 환경규제 유형 및 특징 36
〈그림 2-12〉 환경가치종합정보시스템(EVIS) 메인 화면 내 통합분석 툴킷 소개 내용 38
〈그림 2-13〉 환경가치종합정보시스템(EVIS) 메인 화면 내 환경가치 DB 소개 내용 39
〈그림 2-14〉 국가 주요 평가제도의 의사결정 수준 및 필요 정보 수준 41
〈그림 3-1〉 환경사회 분야 연구 로드맵 체계(2023~2027년) 61
〈그림 3-2〉 환경교육 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의 토픽 모델링 결과 69
〈그림 3-3〉 제3차 환경교육종합계획 70
〈그림 4-1〉 남북한ㆍ국제협력 분야 연구 로드맵 체계(2023~2027년) 88
〈그림 4-2〉 남북한ㆍ국제협력 분야 연구 로드맵 체계(2023~2027년) 89
〈그림 5-1〉 순환경제 분야 연구 로드맵 체계(2023~2027년) 117
〈그림 5-2〉 스펀지 철 제조 공정에서 폐열을 이용해 원료를 예열하여 온실가스 배출을 저감하는 베이스라인(좌) 및 프로젝트(우) 시나리오 123
〈그림 5-3〉 녹색제품 인증의 예시 125
〈그림 5-4〉 플라스틱 전 주기 순환경제 구축 방향 135
〈그림 5-5〉 순환 바이오경제의 개념 139
〈그림 5-6〉 2000년 이후 의류 판매량 증가 및 의류 사용률 감소율 141
〈그림 5-7〉 UNEP 섬유 공급망에서의 순환성 142
〈그림 5-8〉 그린 리모델링 개념 144
〈그림 5-9〉 녹색건축인증제 평가 항목 소개 145
〈그림 6-1〉 환경보건 분야 연구 로드맵 체계(2023~2027년) 174
〈그림 6-2〉 제2차 환경보건종합계획 한국형 환경보건 감시ㆍ예방체계 179
〈그림 7-1〉 온실가스 감축 분야 연구 로드맵 체계(2023~2027년) 199
〈그림 7-2〉 자발적 탄소시장 규모(발행 및 만료량 기준) 200
〈그림 7-3〉 전 세계 에너지 전환 관련 저탄소 기술 투자액 203
〈그림 8-1〉 기후위기 적응 분야 연구 로드맵 체계(2023~2027년) 219
〈그림 9-1〉 대기환경 분야 연구 로드맵 체계(2023~2027년) 245
〈그림 9-2〉 배출량 전망 개념도 247
〈그림 9-3〉 2차 대기환경개선계획의 대기오염물질 기본 배출 전망 결과 247
〈그림 9-4〉 환경기준 달성을 위한 장기 감축전략 수립 248
〈그림 9-5〉 Climate and air quality interactions and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health 249
〈그림 9-6〉 우리나라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상향 계획안 251
〈그림 10-1〉 물관리 분야 연구 로드맵 체계(2023~2027년) 271
〈그림 10-2〉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연평균 강수량 변화 272
〈그림 10-3〉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상세화 자료 생산 및 이용 체계도 275
〈그림 10-4〉 지구온난화가 가뭄에 미치는 영향 276
〈그림 10-5〉 경지 면적, 가축 사육 두수, 농경지 질소 투입량 전망 278
〈그림 10-6〉 수질-수문-수생태 연계 기술 연구 283
〈그림 10-7〉 물 인프라 노후화 현황 및 전망 284
〈그림 10-8〉 물 인프라 노후화 현황 및 전망 285
〈그림 10-9〉 하천관리 일원화 이후 통합물관리 비전 및 목표 293
〈그림 10-10〉 글로벌 물산업 시장 전망 296
〈그림 11-1〉 국토환경 분야 연구 로드맵 체계(2023~2027년) 327
〈그림 12-1〉 생물다양성 정책ㆍ이행 부문 주요 정책 변화 및 KEI 연구 성과 363
〈그림 12-2〉 국내 생물다양성ㆍ생태계 분야 생물다양성협약 대응 체계 364
〈그림 12-3〉 생물다양성ㆍ생태계 기능ㆍ건강성 증진 부문 주요 정책 변화 및 KEI 연구 성과 366
〈그림 12-4〉 자연자원ㆍ자산 부문 주요 정책 변화 및 KEI 연구 성과 368
〈그림 12-5〉 생물ㆍ생태 분야 연구 로드맵 체계(2023~2027년) 372
〈그림 12-6〉 쿤밍-몬트리올 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 구조 373
〈그림 12-7〉 지자체 생물다양성 정책 수립 및 이행 지원 체계(안) 375
〈그림 12-8〉 국가 생물다양성 전략-관리 지표-이행 평가-실효성 평가 통합관리시스템(안) 376
〈그림 12-9〉 우리나라 보호지역 현황 380
〈그림 12-10〉 UN 생태계 계정 384
〈그림 13-1〉 2050 해양 기반 기후위기 대응 탄소저감 방안 402
〈그림 13-2〉 전 세계 해양보호구역의 특징 403
〈그림 13-3〉 육상-하천-하구-연안 연결부 403
〈그림 13-4〉 국내 행정구역별 갯벌 내 유기탄소 저장량 및 연간 유기탄소 침적량 404
〈그림 13-5〉 이산화탄소 농도 상승에 따른 해양 영향과 위협 405
〈그림 13-6〉 육상 쓰레기의 해상 유입 경로 405
〈그림 13-7〉 해양환경 정보 정책 지원 서비스 406
〈그림 13-8〉 해양 부문 ODA 투자 추세 406
〈그림 13-9〉 해양환경 분야 연구 로드맵 체계(2023~2027년) 407
〈그림 13-10〉 인간의 건강과 웰빙, 자연보호간의 긍정적 관계 모식도 408
〈그림 13-11〉 해양보호구역을 통한 기후변화 적응 409
〈그림 13-12〉 기후변화에 직면한 자연 생태계를 지원ㆍ보호ㆍ보전하고 멸종위기생물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 방안 411
〈그림 13-13〉 블루카본 탄소 흐름 및 격리 모식도 414
〈그림 13-14〉 개선된 국가계수 개발 검증 체계도 415
〈그림 13-15〉 풍력발전설비 현황(건설예정 해상풍력단지: 23GW) 416
〈그림 13-16〉 해양 그린수소 비즈니스 모델 예시 417
〈그림 13-17〉 재해유형별 발생 비율 (2000~2019년) 421
〈그림 13-18〉 영국 연안ㆍ해양정책과 국토정책 간 연계 체계 422
〈그림 13-19〉 신규 해양오염원 유출사고 관리 체계 마련 필요성 425
〈그림 13-20〉 우리나라 해양수산 DB 제공 서비스 427
〈그림 13-21〉 해양환경 정보 시스템 구축 연구 431
〈그림 14-1〉 환경평가 분야 연구 로드맵 체계(2023~2027년) 456
〈그림 14-2〉 스크리닝 제도에 따른 환경영향평가 절차 460
〈그림 14-3〉 전략환경평가의 개념 변화: 환경영향평가형에서 전략형으로 고도화 462
〈그림 14-4〉 환경영향평가 사후관리 개선을 위한 추진 전략 464
〈그림 14-5〉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ㆍ녹색성장 기본법안」 체계 470
〈그림 14-6〉 지역 환경현황 분석체계(통합환경현황 진단모델의 개념) 475
〈그림 14-7〉 환경평가 지원 목적의 정보시스템 구축 사례: 지역환경정보시스템(좌) 및 환경평가통계정보시스템(우)의 메인 페이지 476
〈그림 14-8〉 디지털 환경영향평가서 사례(ESRI StoryMap interactive digital document) 478
〈그림 14-9〉 사업장 환경관리에 디지털 신기술 접목 사례: 사후환경관리시스템 구축 시범사업 및 현지 조사 앱(KEI Field Survey) 개발 478
〈그림 15-1〉 환경데이터 허브 핵심 구성요소 496
〈그림 15-2〉 환경데이터 분야 연구 로드맵 체계(2023~2027년) 498
〈그림 15-3〉 환경 분야 주요 데이터 서비스 플랫폼 499
〈그림 15-4〉 EG-TIPS 에너지온실가스 종합정보 플랫폼의 100대 에너지 통계 503
〈그림 15-5〉 공간 기반 환경지표ㆍ통계 서비스 503
〈그림 16-1〉 소음ㆍ진동 분야 연구 로드맵 체계(2023~2027년) 522
〈그림 16-2〉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소음 측정기 제작 사례(스위스) 525
〈그림 16-3〉 운행차 소음 원격 측정시스템 개발 사례(영국) 526
〈그림 16-4〉 소음ㆍ진동 관리 역량 강화 정책의 기본 방향 533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