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내면서 5
|제1부| 백석 시 연구 13
‘紀行’體驗의 詩的 展開樣相을 中心으로 13
Ⅰ. 서론 15
1. 연구 목적 15
2. 연구사 검토 17
3. 연구 방법 및 범위 23
Ⅱ. 원점으로서의 고향과 시적 여로 26
1. 근원으로서의 가족 26
2. 원점으로서의 고향 32
3. 시적 여로 42
Ⅲ. 국내 유랑체험의 시적 반영 53
1. ‘이방’ 체험과 탐색 53
2. 유랑과 ‘관찰’의 시선 63
3. 현실과 자기성찰 82
Ⅳ. 국외 유이민 현실의 시적 수용 111
1. 국외 표랑과 민족현실의 발견 111
2. 공동체적 삶의 지향 119
3. ‘귀향’의 시적 의미 134
Ⅴ. 결론 145
참고문헌 148
|제2부| 이용악의 「分水嶺」과 오장환의 「城壁」에 나타난 詩語 ‘마음’ 연구 155
Ⅰ. 서론 157
Ⅱ. 이용악 詩의 리얼리즘적 자기성찰과 모더니티 160
Ⅲ. 오장환 詩의 모더니즘적 표현방식과 현실인식 170
Ⅳ. 결론 184
참고문헌 188
|제3부| 오장환 詩의 근대성 연구 191
Ⅰ. 서론 193
Ⅱ. 역사 · 현실을 반영하는 이중대립구도 194
Ⅲ. 사회역사적 근대성 203
1. 문명의 충돌과 전통의 해체 203
2. 실존적 연민과 현재적 절망 208
Ⅳ. 미적 근대성 214
1. 이미지즘의 수용과 비판의식 214
2. 표현방식의 적용과 실험정신 218
Ⅴ. 결론 222
참고문헌 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