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표제: The Bible in human transformation : toward a new paradigm for biblical study 부록: 네가 본 것을 기록하라
연계정보
외부기관 원문
목차보기
010년 판 서문 서문 1. 성서 비평의 파산 1. 역사 비평과 본문의 의도는 상응하지 않는다. 2. 객관주의라는 이데올로기는 역사 비평을 기만적인 의식에 빠뜨렸다. 3. 성서 연구는 기술주의의 포로가 되었다. 기술주의는 자신의 방법으로 답할 수 있는 물음만이 정당하다고 여긴다. 4. 성서 비평은 그 성과를 의미 있게 받아들일 공동체로부터 괴리되었다. 5. 성서 비평을 탄생시킨 역사적 상황은 변했다. 오늘날 상황에서 현재 작동되고 있는 성서 비평은 쓸모가 없다. 2. 성서 연구의 패러다임은 변화하고 있는가? 3. 성서 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위하여 1. 융합 첫 번째 부정 - 융합의 부정 2. 거리 두기 두 번째 부정: 부정의 부정 3. 친교 결론 후기(마커스 보그) 부록: 네가 본 것을 기록하라 월터 윙크 저서 목록
이용현황보기
성서는 변혁이다 : 성서 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향하여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B000077836
220.07 -23-1
부산관 종합자료실(1층)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성서를 어떻게 만나야 할 것인가? 어떻게 읽어야 할 것인가? 성서를 연구하고 성서의 메시지를 삶으로 살아내는 데 평생을 바친 이의 성서 연구에 대한 성찰
그리스도교 역사, 그중 성서 연구의 역사에서 가장 커다란 분기점을 꼽으라면 역사 비평으로 대표되는 성서 비평 방법론의 도입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역사 비평은 성서의 문자적, 우의적, 도덕적, 신비적 해석이라는 4중 해석 방법론을 추구하던 고전적인 성서 해석 방법론을 무너뜨리고 학계의 주도적인 성서 해석 방법론으로 떠올랐다. 그 결과 우리는 성서를 이루는 각 책의 성격, 저자의 진위 여부, 문체의 특징, 당시 역사적 상황에 대해 과거보다 훨씬 더 많은 지식을 갖게 되었다. 하지만 동시에 성서를 ‘성스러운 경전’으로 대하는 교회와 성서를 ‘역사 문헌’으로 대하는 학계는 분리되었고, 해석자의 정신, 그리고 그 해석을 배우는 이들의 정신은 분열되었다. 어떤 면에서 역사 비평은 그리스도교계를 둘로 찢어놓았다고도 할 수 있다. 학계에서 역사 비평이 힘을 얻으면 얻을수록, 다른 한편에서는 문자주의, 근본주의가 힘을 얻는다. <성서는 변혁이다>는 이러한 상황에 제3의 길, 오래되고도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 책이다. 당시 역사 비평으로 훈련을 받아 이를 활용한 빼어난 책을 펴내 학계의 주목받는 학자로 평가받던 월터 윙크는 과감하고도 충격적인 첫 문장으로 책을 시작한다. “역사 비평은 파산했다. 말 그대로 ‘파산’했다.” 이후 그는 역사 비평의 명암과 그 아래 자리한 좀 더 깊은 차원의 문제들을 살핀 뒤 성서의 본래 목적, 즉 인간과 사회의 변혁에 기여하는 성서 읽기 방법을 제시한다. 그는 해석자가 자기도 의식하지 못한 채 본문의 세부 사항은 꼼꼼히 살피나, 본문의 본래 목적을 살리지도, 그렇다고 해석자의 삶에도 별다른 영향을 미치는 방법론이 아닌, 그렇다고 해서 본문의 역사적 차원은 무시한 채, 그리고 그 본문을 통해 다가오는 메시지를 보려 하지 않고 본문 그 자체를 종교적 숭배의 대상으로 여기는, 그리하여 또 다른 방식으로 현재 자신의 신념을 강화하는 방식의 방법론도 아닌, 분문과 읽는 사람이 역동적인 대화를 나누고 본문의 도전에 응답함으로써 현재의 자신이 변화되는 방법론을 제시한다. 초판이 출간된 지 50년이 지났지만, 윙크가 제기한 문제와 통찰은 여전히 유효하다. 알베르트 슈바이처가 <예수 생애 연구>라는 걸출한 저작을 남기고, 홀연히 의사가 되어 아프리카로 떠났듯 윙크는 이후 자신이 제기한 문제의식을 따라 학계에서 주를 이루던 성서해석 방식을 버리고 독창적인 방식으로 성서, 인간, 세상을 해석하며 평화운동에 투신했다. 그는 성서가 진실로 인류와 세상을 변혁하는 텍스트임을 믿었던 것이다. 세상에 성서 각 권의 본문의 역사적 뜻을 분석한 책은 무수히 많다. 그 본문의 메시지를 다룬 책도 그만큼 많다. 하지만 그러한 가운데 성서가 우리 삶과 어떤 식으로 연결되어야 하는지, 오늘날 성서를 읽는 방식에 있어 학계와 교회는 왜 그리 차이가 나는지, 우리 삶에 맞갖게, 더 나아가 우리가 진실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성서와 어떻게 마주해야 하는지를 다룬 책은 드물다. 이 책은 그 소수의 책 중 하나며 그 소수의 책 중에서도 뜨거운 열정과 도전으로 가득 찬 책이다. 성서를 어떻게 만나야 할 것인가? 어떻게 읽어야 할 것인가? 성서를 연구하고 성서의 메시지를 삶으로 살아내는 데 평생을 바친 이의 성서 연구에 대한 성찰
“역사 비평은 파산했다. 말 그대로 ‘파산’했다. 파산한 회사가 곧 무가치한 회사, 쓸만한 제품을 생산하지 못하 는 회사는 아니다. 파산한 회사도 고가의 물품, 잘 훈련된 직원들, 나쁘지 않은 평판을 갖출 수 있다. 그리고 파산 선언 직전까지는 비교적 건실해 보이는 외관을 갖추고 있다. 파산한 회사의 단 한 가지 잘못된 점은 회사가 본연의 목적을 더는 달성할 수 없다는 데 있다. 돈을 버는 것 말이다.” 본문 中
그리스도교 역사, 그중 성서 연구의 역사에서 가장 커다란 분기점을 꼽으라면 역사 비평으로 대표되는 성서 비평 방법론의 도입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역사 비평은 성서의 문자적, 우의적, 도덕적, 신비적 해석이라는 4중 해석 방법론을 추구하던 고전적인 성서 해석 방법론을 무너뜨리고 학계의 주도적인 성서 해석 방법론으로 떠올랐다. 그 결과 우리는 성서를 이루는 각 책의 성격, 저자의 진위 여부, 문체의 특징, 당시 역사적 상황에 대해 과거보다 훨씬 더 많은 지식을 갖게 되었다. 하지만 동시에 성서를 ‘성스러운 경전’으로 대하는 교회와 성서를 ‘역사 문헌’으로 대하는 학계는 분리되었고, 해석자의 정신, 그리고 그 해석을 배우는 이들의 정신은 분열되었다. 어떤 면에서 역사 비평은 그리스도교계를 둘로 찢어놓았다고도 할 수 있다. 학계에서 역사 비평이 힘을 얻으면 얻을수록, 다른 한편에서는 문자주의, 근본주의가 힘을 얻는다. <성서는 변혁이다>는 이러한 상황에 제3의 길, 오래되고도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 책이다. 당시 역사 비평으로 훈련을 받아 이를 활용한 빼어난 책을 펴내 학계의 주목받는 학자로 평가받던 월터 윙크는 과감하고도 충격적인 첫 문장으로 책을 시작한다. “역사 비평은 파산했다. 말 그대로 ‘파산’했다.” 이후 그는 역사 비평의 명암과 그 아래 자리한 좀 더 깊은 차원의 문제들을 살핀 뒤 성서의 본래 목적, 즉 인간과 사회의 변혁에 기여하는 성서 읽기 방법을 제시한다. 그는 해석자가 자기도 의식하지 못한 채 본문의 세부 사항은 꼼꼼히 살피나, 본문의 본래 목적을 살리지도, 그렇다고 해석자의 삶에도 별다른 영향을 미치는 방법론이 아닌, 그렇다고 해서 본문의 역사적 차원은 무시한 채, 그리고 그 본문을 통해 다가오는 메시지를 보려 하지 않고 본문 그 자체를 종교적 숭배의 대상으로 여기는, 그리하여 또 다른 방식으로 현재 자신의 신념을 강화하는 방식의 방법론도 아닌, 분문과 읽는 사람이 역동적인 대화를 나누고 본문의 도전에 응답함으로써 현재의 자신이 변화되는 방법론을 제시한다. 초판이 출간된 지 50년이 지났지만, 윙크가 제기한 문제와 통찰은 여전히 유효하고 빛난다. 알베르트 슈바이처가 <예수 생애 연구>라는 걸출한 저작을 남기고, 홀연히 의사가 되어 아프리카로 떠났듯 윙크는 이후 자신이 제기한 문제의식을 따라 학계에서 주를 이루던 성서해석 방식을 버리고 독창적인 방식으로 성서와 세상, 그리고 인간을 해석하며 평화운동에 투신했다. 그는 성서가 진실로 인류와 세상을 변혁하는 텍스트임을 믿었던 것이다. 세상에 성서 각 권의 본문의 역사적 뜻을 분석한 책은 무수히 많다. 그 본문의 메시지를 다룬 책도 그만큼 많다. 하지만 그러한 가운데 성서가 우리 삶과 어떤 식으로 연결되어야 하는지, 오늘날 성서를 읽는 방식에 있어 학계와 교회는 왜 그리 차이가 나는지, 우리 삶에 맞갖게, 더 나아가 우리가 진실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성서와 어떻게 마주해야 하는지를 다룬 책은 드물다. 이 책은 그 소수의 책 중 하나며 그 소수의 책 중에서도 뜨거운 열정과 도전으로 가득 찬 책이다.
책속에서
[P.15~16] 이 책은 강령의 골자만 있는 강령이며 선언의 얼개만 담은 선언이다. 하지만 나는 이 책이 올바른 방향을 향하고 있다고 믿는다. 바로 인간의 삶을 변혁하는 성서 연구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P. 20] 역사 비평은 파산했다. 말 그대로 ‘파산’bankrupt했다. 파산 한 회사가 곧 무가치한 회사, 쓸만한 제품을 생산하지 못하 는 회사는 아니다. 파산한 회사도 고가의 물품, 잘 훈련된 직 원들, 나쁘지 않은 평판을 갖출 수 있다. 그리고 파산 선언 직전까지는 비교적 건실해 보이는 외관을 갖추고 있다. 파산한 회사의 단 한 가지 잘못된 점은 회사가 본연의 목적을 더는 달성할 수 없다는 데 있다. 돈을 버는 것 말이다. 바로 이런 의미에서 역사 비평이라는 방법은, 특히 그 방법이 성서 연구에 적용되는 경우 완전히 파산했다고 말할 수 있다. 역사 비평은 자신의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을 것 같은 모든 물음과 관련해 무수한 연구를 쏟아 냈고, 여전히 다양한 가능성을 품고 있다. 성서 비평, 그중에서도 역사 비평이 놀라운 성취를 거둘 수 있음은 앞선 시대에 충분히 입증되었다. 유능하고 잘 훈련된 수백 명의 연구자가 역사 비평 방법론을 따른다. 역사 비평은 더 내놓을 것이 없다거나 더 탐구할 영역이 없어서 파산한 것이 아니다. 역사 비평 본연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기 때문에 파산한 것이다. 그 본연의 목적이란 성서 해석을 통해 과거를 생생히 되살리고 우리에게 개인적, 사회적 변혁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P. 29] 나는 객관성objectivity의 가치를 부정하는 것이 아니다. 객관성은 바람직하다. 우리는 객관성을 객관주의라는 이데올로기와 분리하고 객관성의 새로운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새로운 종류의 객관성을 획득하는 방법은 가치 판단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비판적 검토를 거쳐 적절하게 가치 판단을 내리는 것이다. 낡은 전제를 바탕으로 더 열심히 노력하라는 말이 아니다. 파산을 앞둔 회사에 필요한 것은 격려 연설이 아니라 새로운 경영 방침이다. 모든 역사적 지식은 특정 관계 안에 놓인 지식이기 때문에 관찰자가 어디에 있는지 말하지 않고서는 진술할 수 없다면, 우리는 본문을 대하는 해석자의 역할에 관해 근본적으로 다른 모형을 만들어 내야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