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요약 4

제1장 서론 25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26

2. 연구의 차별성과 주요 내용 29

제2장 남아시아 주요국의 경제구조와 대외경제협력 전략 32

1. 파키스탄 33

가. 경제ㆍ산업 현황 33

나. 대외경제협력 전략 38

다. 무역ㆍ투자 관계 46

라. 현안 55

2. 방글라데시 56

가. 경제ㆍ산업 현황 56

나. 대외경제협력 전략 60

다. 무역ㆍ투자 관계 66

라. 현안 73

3. 스리랑카 74

가. 경제ㆍ산업 현황 74

나. 대외경제협력 전략 79

다. 무역ㆍ투자 관계 83

라. 현안 92

제3장 중국의 대남아시아 경제협력 전략 93

1. 전략적 방향: 일대일로 정책과 남아시아에 대한 영향력 확대 94

가. 중국의 남아시아 대외정책과 BRI 94

나. 남아시아 3개국별 관계와 BRI 103

2. 무역ㆍ투자 관계 강화 112

가. 파키스탄 112

나. 방글라데시 122

다. 스리랑카 135

3. 개발금융을 통한 영향력 확대 146

가. 중국의 대남아시아 개발금융 146

나. 파키스탄 151

다. 방글라데시 155

라. 스리랑카 160

제4장 일본의 대남아시아 경제협력 전략 164

1. 전략적 방향: FOIP와 남아시아 내 위상 강화 165

가. 일본의 대남아시아 경제 관계 개관 165

나. FOIP와 대남아시아 경제협력 전략 173

2. ODA의 전략적 활용 181

가. 파키스탄 182

나. 방글라데시 189

다. 스리랑카 196

3. 인도와 연계한 대남아시아 경제협력 추진 200

가. 일본ㆍ인도 협력의 외교안보적 배경 200

나. 일본ㆍ인도의 제3국 협력정책과 플랫폼 203

다. 일본ㆍ인도의 대남아시아 경제협력 사례 205

제5장 인도의 대남아시아 경제협력 전략 209

1. 전략적 방향: 주변국 우선정책을 통한 남아시아 지역 경제협력 확대 210

가. 인도의 남아시아 3개국 경제협력 개관 210

나. 인도의 대남아시아 협력전략 216

2. 차관을 이용한 인프라 투자 확대 222

3. 역내 경제통합 추진 226

가. 다자간 협력을 통한 역내 통합: SAARC 및 BIMSTEC을 중심으로 228

나. 양자간 협력 241

제6장 결론 256

1. 한국의 남아시아 경제협력의 성과 257

가. 무역ㆍ투자 257

나. 공적개발원조 260

다. 협력정책 263

2. 주요국의 남아시아 경제협력 전략의 시사점 266

가. 중국 266

나. 일본 269

다. 인도 272

3. 남아시아 경제협력의 방향과 목표 274

가. 전략적 방향 274

나. 경제협력의 목표와 추진 방식 276

4. 남아시아 경제협력의 주요 과제 278

가. 파키스탄 278

나. 방글라데시 281

다. 스리랑카 285

라. 인도ㆍ빔스텍과의 협력 287

참고문헌 291

Executive Summary 315

판권기 3

표목차

표 2-1. 파키스탄 주요 정책 및 내용 39

표 2-2. 파키스탄 무역협정 현황 42

표 2-3. 대파키스탄 ODA 주요 공여국(2010년, 2020년) 45

표 2-4. 대파키스탄 ODA 주요 부문(2010년, 2020년) 46

표 2-5. 파키스탄 상위 10대 수출국(2010년, 2019년) 47

표 2-6. 파키스탄 상위 10대 수입국(2010년, 2019년) 49

표 2-7. 파키스탄 상위 10대 수출품목(2000년, 2019년) 49

표 2-8. 파키스탄 상위 10대 수입품목(2000년, 2019년) 51

표 2-9. 대파키스탄 그린필드 FDI 상위 10대 투자국(2010년, 2019년) 52

표 2-10. 대파키스탄 그린필드 FDI 분야별 투자(2010년, 2019년) 53

표 2-11. 파키스탄 M&A 주요 투자국(2010년, 2019년) 54

표 2-12. 파키스탄 M&A 주요 투자 분야(2010년, 2019년) 55

표 2-13. 방글라데시 무역협정 현황 62

표 2-14. 대방글라데시 ODA 주요 공여국(2010년, 2020년) 63

표 2-15. 대방글라데시 ODA 주요 부문(2010년, 2020년) 65

표 2-16. 방글라데시 상위 10대 수출국(2010년, 2019년) 67

표 2-17. 방글라데시 상위 10대 수입국(2010년, 2019년) 68

표 2-18. 방글라데시 상위 10대 수출품목(2000년, 2019년) 69

표 2-19. 방글라데시 상위 10대 수입품목(2000년, 2019년) 69

표 2-20. 방글라데시 그린필드 FDI 상위 10대 투자국(2010년, 2019년) 71

표 2-21. 방글라데시 M&A 주요 투자국(2010년, 2019년) 72

표 2-22. 방글라데시 M&A 주요 투자 분야(2010년, 2019년) 72

표 2-23. 스리랑카 무역협정 현황 80

표 2-24. 대스리랑카 ODA 주요 공여국(2010년, 2020년) 82

표 2-25. 대스리랑카 ODA 주요 부문(2010년, 2020년) 83

표 2-26. 스리랑카 상위 10대 수출국(2010년, 2019년) 85

표 2-27. 스리랑카 상위 10대 수입국(2010년, 2019년) 86

표 2-28. 스리랑카 상위 10대 수출품목(2000년, 2019년) 86

표 2-29. 스리랑카 상위 10대 수입품목(2000년, 2019년) 87

표 2-30. 스리랑카 그린필드 FDI 상위 10대 투자국(2010년, 2019년) 89

표 2-31. 스리랑카 그린필드 FDI 분야별 투자(2010년, 2019년) 90

표 2-32. 스리랑카 M&A 주요 투자국(2010년, 2019년) 91

표 2-33. 스리랑카 M&A 주요 투자 분야(2010년, 2019년) 91

표 3-1. 중국과 남아시아 국가들이 참여하고 있는 지역협의체 96

표 3-2. 남아시아 지역협의체별 협력 분야 97

표 3-3. BRI의 다섯 가지 목표 100

표 3-4. 파키스탄의 대중국 주요 수출품목(2008~20년) 115

표 3-5. 파키스탄의 대중국 주요 수입품목(2008~20년) 118

표 3-6. 방글라데시의 대중국 주요 수출품목(2008~20년) 126

표 3-7. 방글라데시의 대중국 주요 수입품목(2008~20년) 129

표 3-8. 중국ㆍ스리랑카 FTA 추진 현황 136

표 3-9. 스리랑카의 대중국 주요 수출품목(2008~20년) 138

표 3-10. 스리랑카의 대중국 주요 수입품목(2008~20년) 141

표 3-11. 중국의 대파키스탄 개발금융 규모: 산업별 153

표 3-12. 중국의 대방글라데시 개발금융 규모: 산업별 157

표 3-13. 중국의 대스리랑카 산업별 개발금융 현황 162

표 4-1. 남아시아 국가에 대한 DAC 국가의 ODA 공여 순위 169

표 4-2. 일본의 남아시아 내 평화와 안정을 위한 협력 177

표 4-3. 일본의 남아시아 국가와의 관계 및 일본기업 진출 현황 180

표 4-4. 일본의 대파키스탄 ODA 주요 부문(2010년, 2015년, 2020년) 184

표 4-5. 최근 일본의 대파키스탄 원조(FY20~22) 185

표 4-6. 일본의 대방글라데시 ODA 주요 부문(2010년, 2015년, 2020년) 190

표 4-7. 최근 일본의 대방글라데시 유상원조(FY20~22) 191

표 4-8. 최근 일본의 대방글라데시 무상원조(FY20~22) 192

표 4-9. 일본의 대스리랑카 ODA 주요 부문(2010년, 2015년, 2020년) 197

표 4-10. 최근 일본의 대스리랑카 원조(FY20~22) 198

표 5-1. 인도의 상위 10대 및 남아시아 3국 수출액(2010년, 2019년) 210

표 5-2. 인도의 상위 10대 및 남아시아 3국 수입액(2010년, 2019년) 211

표 5-3. 인도의 스리랑카, 방글라데시 FDI 투자 추이(2010~21년) 214

표 5-4. 인도의 대방글라데시 산업별 투자(2012년, 2020년) 215

표 5-5. 인도의 대스리랑카 산업별 투자(2012년, 2020년) 216

표 5-6. 인도 총리 방문 국가 추이 219

표 5-7. 인도와 남아시아 3개국 간 주요 고위급 회담 221

표 5-8. 인도 지역별 해외 차관 총액(2001~22년) 222

표 5-9. 인도의 스리랑카 차관 사업 223

표 5-10. 인도 차관 사업 내 대남아시아 국가 연결성 강화 사업 226

표 5-11. 주요 남아시아국의 대SAARC 국가 교역 현황(2006~21년) 230

표 5-12. 빔스텍 회원국 인구수, 최근 4년 GDP 성장률 및 규모 235

표 5-13. 모디 정부의 북동부 지역 개발 성과 238

표 5-14. 인도의 대파키스탄 수출입 동향(2019년 1~12월) 242

표 5-15. 인도의 파키스탄 교역 현황 및 주요 수출입 품목(2022년 4~8월) 244

표 5-16. 인도ㆍ방글라데시 정상회담 주요 내용 251

표 6-1. 한국의 남아시아 주요 국가별 CPS 주요 내용 265

표 6-2. 한국의 대남아시아 경제협력의 전략적 방향과 주요 과제 요약 289

그림목차

그림 1-1. 남아시아 주요국의 대외부채/GDP 추이(2000~21년) 27

그림 1-2. 남아시아 주요국의 경제성장률(2000~21년) 28

그림 1-3. 본 연구의 구성 31

그림 2-1. 파키스탄 국내총생산(GDP) 지표 및 지출 부문별 성장률(2010~22년) 33

그림 2-2. 파키스탄 경상수지 추이(2010~22년) 34

그림 2-3. 파키스탄 노동, 금융, 기타 경제지표(2010~22년) 35

그림 2-4. 파키스탄 산업 부문별 부가가치 생산액 및 비중(2010~19년) 36

그림 2-5. 파키스탄 제조업 부가가치 생산액 비중(2006년, 2018년) 37

그림 2-6. 파키스탄 산업 부문별 고용 비중(2010~19년) 37

그림 2-7. 파키스탄 수출, 수입, 무역수지 추이(2010~19년) 47

그림 2-8. FDI 순유입 및 순유출, 그린필드 FDI, M&A 유입 추이(2010~19년) 51

그림 2-9. 방글라데시 국내총생산(GDP) 지표 및 지출 부문별 성장률(2010~22년) 57

그림 2-10. 방글라데시 경상수지 추이(2010~22년) 58

그림 2-11. 방글라데시 노동, 금융, 기타 경제지표(2010~22년) 59

그림 2-12. 방글라데시 산업 부문별 부가가치 생산액 비중(2006년, 2018년) 60

그림 2-13. 방글라데시 산업 부문별 고용 비중(2010~19년) 61

그림 2-14. 방글라데시 수출, 수입, 무역수지 추이(2010~19년) 66

그림 2-15. 방글라데시 FDI 순유입 및 순유출, 그린필드 FDI, M&A 유입 추이(2010~19년) 70

그림 2-16. 스리랑카 국내총생산(GDP) 지표 및 지출 부문별 성장률(2010~22년) 75

그림 2-17. 스리랑카 경상수지 추이(2010~22년) 75

그림 2-18. 스리랑카 노동, 금융, 기타 경제지표(2010~22년) 76

그림 2-19. 스리랑카 산업 부문별 부가가치 생산액 및 비중(2010~19년) 77

그림 2-20. 스리랑카 산업 부문별 부가가치 생산액 비중(2006년, 2018년) 78

그림 2-21. 스리랑카 산업 부문별 고용 비중(2010~19년) 78

그림 2-22. 스리랑카 수출, 수입, 무역수지 추이(2010~19년) 84

그림 2-23. 스리랑카 FDI 순유입 및 순유출, 그린필드 FDI, M&A 유입 추이(2010~19년) 88

그림 3-1. 쿤밍구상(Kunming Initiative) 95

그림 3-2. 일대일로 99

그림 3-3. 진주목걸이 전략 101

그림 3-4. 파키스탄의 대중국 상품교역 추이(2007~20년) 114

그림 3-5. 파키스탄의 대중국 주요 수출품목 추이(2007~20년) 117

그림 3-6. 파키스탄의 대중국 주요 수입품목 추이(2007~20년) 119

그림 3-7. 파키스탄의 외국인직접투자(FDI) 유입 추이(2011/12~2021/22): 주요국별 120

그림 3-8. 파키스탄의 외국인직접투자(FDI) 유입 현황(2011/12~2021/22): 산업별 121

그림 3-9. 방글라데시의 대중국 상품교역 추이(2007~20년) 125

그림 3-10. 방글라데시의 대중국 주요 수출품목 추이(2007~20년) 128

그림 3-11. 방글라데시의 대중국 주요 수입품목 추이(2007~20년) 131

그림 3-12. 방글라데시의 외국인직접투자(FDI) 유입 추이(2000~21년): 주요국별 132

그림 3-13. 중국의 대방글라데시 외국인직접투자(FDI) 유입 현황(stock): 산업별 133

그림 3-14. 스리랑카의 대중국 상품교역 추이(2007~20년) 137

그림 3-15. 스리랑카의 대중국 주요 수출품목 추이(2007~20년) 140

그림 3-16. 스리랑카의 대중국 주요 수입품목 추이(2007~20년) 142

그림 3-17. 스리랑카의 외국인직접투자(FDI) 유입 추이(2000~21년): 주요국별 143

그림 3-18. 스리랑카의 외국인직접투자(FDI) 유입 현황(2010~19년): 산업별 144

그림 3-19. 중국의 개발금융 지원 규모(2000~17년) 148

그림 3-20. 중국의 개발금융 지원 형식 추이(2000~17년) 149

그림 3-21. 남아시아 3개국에 대한 중국의 개발금융 규모(2000~17년) 150

그림 3-22. 중국의 대파키스탄 개발금융 지원 규모 추이(2000~17년) 151

그림 3-23. 중국의 대파키스탄 개발금융 지원 형태(2000~17년) 152

그림 3-24. 중국의 대파키스탄 개발금융 규모 추이(2000~17년): 산업별 154

그림 3-25. 중국의 대파키스탄 차관 규모 추이(2000~17년): 기관별 155

그림 3-26. 중국의 대방글라데시 개발금융 규모 추이(2000~17년) 156

그림 3-27. 중국의 대방글라데시 개발금융 규모 추이(2000~17년): 원조형태별 157

그림 3-28. 중국의 대방글라데시 개발금융 규모 추이(2000~17년): 산업별 158

그림 3-29. 중국의 대방글라데시 차관 규모 추이(2000~17년): 기관별 159

그림 3-30. 중국의 대스리랑카 개발금융 규모 추이(2000~17년) 160

그림 3-31. 중국의 대스리랑카 개발금융 규모 추이(2000~17년): 원조형태별 161

그림 3-32. 중국의 대스리랑카 개발금융 규모 추이(2000~17년): 산업별 162

그림 3-33. 중국의 대스리랑카 차관 규모 추이(2000~17년): 기관별 163

그림 4-1. 일본의 대동남아시아ㆍ남아시아 무역 장기 추이(1962~2021년) 166

그림 4-2. 일본의 대남아시아 주요국별 무역 장기 추이(1962~2021년) 167

그림 4-3. 일본의 전체 ODA에서 남아시아의 비중 추이(2000~19년) 169

그림 4-4. 일본기업의 향후 1~2년간 사업 확대 의향(2019년) 171

그림 4-5. 일본기업의 방글라데시 사업 시 문제점(2019년) 172

그림 4-6. 파키스탄 내 주요 JICA 사업 지도 186

그림 4-7. 방글라데시 내 주요 JICA 사업 지도 193

그림 4-8. 스리랑카 내 주요 JICA 사업 지도 199

그림 4-9. 구동맹과 신동맹 201

그림 5-1. 인도의 파키스탄 수출입 추이(2010~19년) 212

그림 5-2. 인도의 스리랑카 수출입 추이(2010~19년) 213

그림 5-3. 인도의 방글라데시 수출입 추이(2010~19년) 213

그림 5-4. 인도의 지역별 해외 차관 추이(2001~22년) 224

그림 5-5. 인도의 대방글라데시, 대스리랑카 해외 차관 추이(2001~22년) 225

그림 5-6. SAARC 회원국 229

그림 5-7. 인도의 대남아시아 교역 및 비중 231

그림 5-8. 빔스텍 발전 경과 234

그림 5-9. 빔스텍 회원국 235

그림 5-10. 인도 북동부주 위치 236

그림 5-11. 인도ㆍ방글라데시 접경지의 소수민족 거주지 247

그림 5-12. 인도ㆍ방글라데시 철도 노선 250

그림 6-1. 파키스탄의 주요 수입국 변화(2000년, 2010년, 2019년) 257

그림 6-2. 방글라데시의 주요 수입국 변화(2000년, 2010년, 2019년) 258

그림 6-3. 스리랑카의 주요 수입국 변화(2000년, 2010년, 2019년) 259

그림 6-4. 대남아시아 주요 공여국과 한국의 ODA 금액 비교(2010년, 2020년) 262

글상자목차

글상자 2-1. 파키스탄 경제특구법 주요 내용 44

글상자 3-1. 파키스탄 카라코람(Karakoram) 고속도로 104

글상자 3-2. 파키스탄 과다르(Gwadar) 항구 105

글상자 3-3. 파키스탄 디아메르-바샤(Diamer-Bhasha) 댐 건설 106

글상자 3-4. 방글라데시 치타공(Chittagong) 항구 108

글상자 3-5. 방글라데시 푸르바찰(Purbachal) 스마트시티(Smart City) 프로젝트 109

글상자 3-6. 스리랑카의 기후변화 파트너십 111

글상자 3-7. 파키스탄 코할라 수력발전소 건설 사업(Kohala Hydropower Project) 121

글상자 3-8. 방글라데시 파드마대교(Padma Multipurpose Bridge) 건설 사업 133

글상자 3-9. 스리랑카 연꽃탑(Nelum Kuluna, Lotus Tower) 건설 144

글상자 4-1. 질 높은 인프라 투자에 대한 G20 원칙 176

글상자 4-2. 파키스탄 동서 도로 개선 사업 187

글상자 4-3. 파키스탄 소아마비 퇴치 프로젝트 188

글상자 4-4. 방글라데시의 일본 산업단지 194

글상자 4-5. 방글라데시 기상 레이더 시스템 구축 및 개선 사업 194

글상자 4-6. 스리랑카 콜롬보항 개발 사업 200

글상자 4-7. 인도와 일본의 인도 북동부 인프라 사업 206

글상자 5-1. 인도ㆍ스리랑카 기술 협력 TTF(Technology Transfer Facility) 239

글상자 5-2. 인도 방글라데시 우정의 다리(Maitri Setu) 건설 246

글상자 5-3. 방글라데시 아가르탈라-아카우라(Agartala-Akhura) 철도 건설 249

글상자 5-4. 인도의 사가르(SAGAR) 정책 253

글상자 5-5. 스리랑카 트링코말리 항구 254

글상자 5-6. 인도ㆍ스리랑카 해양구조 조정센터(MRCC) 254

이용현황보기

주요국의 대남아시아 경제협력 전략과 정책 시사점 : 중국, 일본, 인도를 중심으로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021648 337.54 -23-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3021649 337.54 -23-1 서울관 국가전략정보센터(107호) 이용가능
B000101324 337.54 -23-1 부산관 주제자료실(2층)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