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추천사 6
도시과학 개발: 성장과 혁신, 지속가능성 / 제프리 B. 웨스트 10
스마트시티가 미래다: 미래학자의 관점과 시나리오 / 제이슨 솅커 29
초록 31
ABSTRACT 32
시작하며 33
스마트시티의 근거 33
스마트시티의 목적 33
스마트시티의 기회 35
지속가능성과 자원 압력의 완화 36
성공을 위한 기술 기둥 37
스마트시티를 위한 신기술 38
필요한 사고방식-미래학자가 돼라 40
미래 스마트시티의 네 가지 시나리오 41
지지 요건과 한국 사례 45
결론 46
새로운 디지털 도시성을 향해: 지속가능성과 빅데이터의 세기에서 스마트시티의 미래 / 호세 카를로스 아르날 47
초록 49
ABSTRACT 50
시작하며 51
모두 실리콘밸리가 되고자 하였다 54
팬데믹 이후의 새로운 도시 경관 57
빅데이터의 위험 59
디지털시티를 위한 시민들의 협상 63
References 66
사람 중심의 스마트시티 / 쉬프라 나랑 수리;폰투스 웨스터버그;손덕환 67
초록 69
ABSTRACT 71
시작하며 74
스마트시티의 간략한 역사 75
사람 중심의 스마트시티를 향하여 78
사람 중심 스마트시티의 다섯 기둥 83
결론 93
References 94
개도국 도시의 스마트 여정: 세계은행 스마트시티 지원의 주요 시사점 / 베르니체 판 브롱크호스트;최나래 95
초록 97
ABSTRACT 98
시작하며 99
글로벌 스마트시티 협력 프로그램 GSCP 100
개도국 스마트시티의 수요는 무엇인가? 100
스마트시티 개발은 어떻게 더 잘 지원될 수 있을까? 104
스마트시티 개발에 주는 주요 교훈은 무엇인가? 108
결론: 더 나은 '도시'를 위한 '스마트' 기술들 110
기반시설 자금조달에서 더 커지는 데이터의 역할: 디지털 트윈, 정보 효율, 블록체인 토큰화 / 피터 아드리엔스 111
초록 113
ABSTRACT 114
데이터와 스마트 기반시설을 위한 사업 모델의 등장 115
지속가능한 자금조달을 위한 자본시장 위험관리 솔루션으로서 데이터 118
전략적 차원에서의 실행 120
실행과 수단, 운영 초점 121
데이터와 기술이 스마트 기반시설의 자금조달을 가능하게 한 경험 125
재무적 응용과 결론 129
요약 131
스마트시티 운영의 요소들 / 비제이 자가나단 134
초록 136
ABSTRACT 137
시작하며 138
개도국 도시에서의 스마트시티 운영 요소들 142
녹색 금융을 유치하기 위한 도시 청-녹색 해법 개발 153
결론 154
도시 전략: 지속가능한 모빌리티와 살기 좋은 도시를 위한 지역 디지털 트윈 / 히에로니무스 크리스티안 보르스트 156
초록 158
ABSTRACT 159
시작하며 160
방법론: 도시 전략을 지닌, 예측 가능한 지역 디지털 트윈 162
지속가능한 모빌리티의 적용: 델리, 싱가포르, 퀴라소 166
지속가능한 모빌리티와 살기 좋은 도시를 위한 지역 디지털 트윈: 안트베르펜과 암스테르담 167
향후 작업의 방향 169
결론 171
References 173
도시 경쟁력을 위한 오픈소스와 오픈 스탠더드 / 울리히 알러 176
초록 178
ABSTRACT 179
시작하며 180
스마트시티: 전환의 여정 182
파이웨어와 디지털 트윈 183
파이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스마트시티 185
인도 사례 187
파이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데이터 공간 188
데이터 공간을 통한 데이터 경제의 실행자로서 도시 190
파이웨어 재단에 대하여 191
결론 192
한국의 디지털플랫폼정부 추진 방향 / 고진 194
초록 196
ABSTRACT 197
왜 지금 디지털플랫폼정부인가? 198
그동안 우리 정부가 걸어온 길 198
디지털플랫폼정부라는 새로운 패러다임 199
디지털플랫폼정부 중점 추진 과제 200
디지털플랫폼정부, 디지털경제 패권국가 도약의 발판 202
대한민국의 스마트시티 실증 연구와 확산 전망 / 이갑재 204
초록 206
ABSTRACT 207
대한민국의 스마트시티 R&D 동향 208
데이터 기반의 스마트시티 모델 209
융ㆍ복합 분석과 도시 간 연결을 지원하는 데이터허브 210
융ㆍ복합 분석을 위한 표준과 링크드 데이터를 지원하는 개방형 플랫폼 212
대구시 스마트시티 데이터허브 구축 및 서비스 실증 213
시흥시 스마트시티 데이터허브 구축 및 서비스 실증 218
데이터 기반 스마트시티 모델의 보급과 전망 221
References 223
Eco Delta Smart Village: 물, 에너지, 도시 연계를 위한 최초의 주거 테스트베드 & 그 리빙랩 / 김진;김도균 224
초록 226
ABSTRACT 227
도시문제 해결 패러다임의 변화 228
부산 에코델타 스마트시티(Eco Delta Smart City, EDC)와 스마트빌리지 229
지속가능성을 위한 물 특화기술 230
지속가능성을 위한 에너지 혁신기술 231
스마트빌리지 시민참여 기반의 리빙랩 활동 234
향후 계획 237
기후위기와 지속가능한 도시 / 이제승 240
초록 242
ABSTRACT 243
도시화와 기후위기 244
기후위기와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 245
도시와 탄소중립 시나리오 246
지속가능한 도시개발 248
지속가능한 스마트시티 250
References 252
디지털 전환 이후 미래 2023 스마트시티 동향 / 이정훈;이재혁 253
초록 255
ABSTRACT 256
스마트시티 인덱스 보고서 역사 257
스마트시티 주요 동향 258
소결: 스마트시티 플랫폼으로서 지속적인 진화 263
References 264
판권기 265
표 1. 인구로 본 개도국 도시의 기반시설 부족 143
표 2. 탄소 가격 151
도시과학 개발: 성장과 혁신, 지속가능성 / 제프리 B. 웨스트 17
그림 1. 물리적ㆍ사회적 도시 네트워크의 사례 17
그림 2. 생물 네트워크의 사례들 17
그림 3. 다양한 동물의 체중 대비 신진대사율(와트)을 로그적으로 표시한 결과 18
그림 4. 도시 규모 대비 주유소 수의 로그적 표시 20
그림 5. 도시 인구 대비 다양한 사회경제적 지표의 로그적 관계 21
그림 6. 쥐의 성장 곡선 23
그림 7. 도시의 성장 추세 24
그림 8. 특이점 전과 후 25
그림 9. 이상적인 초기하급수적인 성장 26
사람 중심의 스마트시티 / 쉬프라 나랑 수리;폰투스 웨스터버그;손덕환 80
그림 1. 유엔 지속가능발전목표 17가지 80
그림 2. 나이지리아에서의 실증 프로젝트: 'Smart-Metered Solar Borehole' 82
그림 3. 국가 도시정책 프로그램 단계 82
그림 4. 사람 중심의 스마트시티 playbook 84
그림 5. 디지털 격차의 영향 87
개도국 도시의 스마트 여정: 세계은행 스마트시티 지원의 주요 시사점 / 베르니체 판 브롱크호스트;최나래 101
그림 1. GSCP 지원의 지리적인 분포 101
그림 2. 디지타이제이션과 디지털라이제이션, 디지털 전환 102
그림 3. 포트폴리오 운영을 통한 상향식 접근과 하향식 접근의 통합 107
기반시설 자금조달에서 더 커지는 데이터의 역할: 디지털 트윈, 정보 효율, 블록체인 토큰화 / 피터 아드리엔스 117
그림 1. 기반시설 자산에 대한 PPP 모델의 구조 117
그림 2. 실물 자산의 운영을 금융서비스 제공자 등에 실시간 공유 119
그림 3. 디지털 트윈의 전략적 실행을 위한 조직 구조 122
그림 4. 물리적 자산과 데이터 자원 흐름, 사회적 메트릭스로 구성된 토론토의 디지털 트윈 123
그림 5. 디지털 트윈의 과정 흐름 124
그림 6. 기반시설 프로젝트를 위한 데이터 기반 자금조달의 위험과 수익 128
그림 7. 데이터를 기반시설 자금조달 모델에 융합 131
스마트시티 운영의 요소들 / 비제이 자가나단 139
그림 1. 싱가포르의 스마트시티 틀 139
그림 2. 부문별 자금 조달 부족분 145
그림 3. 서울 시민과 생태계에 주어진 선물: 고가 철거와 청계천 복원 146
그림 4. 중국 샹양의 폐기물 에너지 프로젝트 153
그림 5. 도시 청-녹색 해법 154
도시 전략: 지속가능한 모빌리티와 살기 좋은 도시를 위한 지역 디지털 트윈 / 히에로니무스 크리스티안 보르스트 162
그림 1. 도시 전략 설계: 데이터 서비스와 기능적 서비스, 시각화를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활용하여 결합 162
그림 2. 암스테르담의 도시전략 지역 디지털 트윈과의 상호작용 사례 163
그림 3. 퀴라소대 학생들이 지역 디지털 트윈으로 일하는 방법을 교육받고 있다 168
그림 4. 디지털 트윈이 보여주는 암스테르담의 도로 교통 상황 170
도시 경쟁력을 위한 오픈소스와 오픈 스탠더드 / 울리히 알러 183
그림 1. 디지털 전환의 여정 183
그림 2. 스마트시티의 레퍼런스 아키텍처 186
그림 3. 데이터 공간의 구성 블록 189
그림 4. 파이웨어의 3년 비전 192
한국의 디지털플랫폼정부 추진 방향 / 고진 199
그림 1. 위 - 한국의 전자정부 추진 경과, 아래 - 현재 전자정부 시스템의 한계 199
그림 2. 디지털플랫폼정부 혁신 공식 200
그림 3. 디지털플랫폼정부 혁신 인프라 단계별 구현 전략 201
그림 4. 디지털플랫폼정부로 달라지는 새로운 대한민국 202
대한민국의 스마트시티 실증 연구와 확산 전망 / 이갑재 209
그림 1. 데이터 기반 스마트시티 모델 개념 209
그림 2. 스마트시티 데이터허브 기반 융ㆍ복합 서비스 210
그림 3. 데이터허브를 활용한 도시 연계 및 시스템 통합 211
그림 4. 스마트시티 개방형 데이터허브 표준 아키텍처 212
그림 5. 스마트 모빌리티 서비스 개념도 214
그림 6. 주차공유 서비스 시나리오 215
그림 7. 도시안전 서비스 시나리오 216
그림 8. 긴급구난 서비스 시나리오 217
그림 9. 5D 통합시설물관리 서비스 시나리오 217
그림 10. 소셜 크라우드소싱 및 시민참여 포털 서비스 시나리오 218
그림 11. 대기환경 측정 및 예측 서비스 시나리오 219
그림 12. 도시 에너지 관리 서비스 시나리오 220
그림 13. 독거노인 토털케어 서비스 시나리오 221
그림 14. 장애인 이동성 보장 서비스 시나리오 222
Eco Delta Smart Village: 물, 에너지, 도시 연계를 위한 최초의 주거 테스트베드 & 그 리빙랩 / 김진;김도균 230
그림 1. 부산 스마트시티 및 스마트빌리지 도입 물 특화기술 230
그림 2. 부산 스마트빌리지 열원 흐름도 232
그림 3. 부산 스마트빌리지 에너지 혁신기술 도입 현황 233
그림 4. 부산 스마트빌리지 에너지 인증서 234
그림 5. 스마트빌리지 리빙랩 운영 계획 235
그림 6. 관리세대 중심의 리빙랩 운영체계 및 입주민 설문 결과 236
그림 7. 스마트빌리지 리빙랩을 통한 공공-민간-시민 파트너십(Public-Private-People Partnership, P.P.P.P.) 활동 237
그림 8. 스마트빌리지 리빙랩 기반 데이터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현황(예시) 238
그림 9. 물-에너지-도시 넥서스가 구현된 물 특화 스마트시티 구상 안(예시) 239
기후위기와 지속가능한 도시 / 이제승 247
그림 1. 미국 주요 도시의 탄소배출량과 1인당 탄소배출량 247
그림 2. 대한민국 주요 도시의 탄소배출량과 1인당 탄소배출량 248
디지털 전환 이후 미래 2023 스마트시티 동향 / 이정훈;이재혁 257
그림 1. 연도별 스마트시티 보고서 257
그림 2. 2022년 워드 클라우드 결과와 스마트시티 8가지 관점 258
그림 3. 유럽의 디지털 포용 서비스 259
그림 4. 스마트 리질리언스 모델 개념 260
그림 5. 스마트 리질리언스 서비스의 기술 분포도 261
그림 6.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현황 및 리빙랩 내 기술 활용도 261
그림 7. 헬싱키의 도시 지능화에서 민주화 사례 262
그림 8. 메타트윈 기술의 핵심 요소 263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