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선생님, 이제 그만 저 좀 포기해 주세요 : 살려고 받는 치료가 맞나요 / 지은이: 김은혜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글ego prime, 2022
청구기호
610.2 -23-8
자료실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도서위치안내(서울관)
형태사항
231 p. : 삽화 ; 19 cm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97876806
제어번호
MONO12023000047587

목차보기더보기

○ 머리말 암 환자를 보는 한의사

● 1장 | 살려고 받는 치료가 맞나요
선생님, 이제 그만 제발 저 좀 포기해주세요
제가 와이프를 죽인 건가요?
지금 그만둬야 호상이야
하늘로 갈 때도 오토바이 타고 가야지
그러니 여한은 없어요
저 이렇게 계속 버티기만 하면 돼요?

● 2장 | 누가 무덤까지 못 들고 간다고 했나요
아버지, 그거 저희한테 주실 거죠?
내 새끼를 지켜라! 목숨을 건 외출
당신이 남편이면, 지금 저 남자는 누구죠?
남편은 치매라니까요?

● 3장 | 선생님이 제 선생님이어서 행복했어요
예쁘게 죽게 해주세요, 환자 티 안 나게
중국어 가르쳐 드리겠다는 약속, 못 지킬 것 같아요
줄 수 있는 게 내 작품뿐이라
한여름의 붕어빵

● 4장 | 가족을 놓아준다는 것
어머니, 불효한 자식을 살리셨습니다
막내딸 생일 파티
아들과의 마지막 축구 경기
알코올중독자의 딸일지라도
좋은 아빠, 또 좋은 아들이고 싶었는데
그래도 딸 결혼식에 손은 잡고 들어가야지

● 5장 | 그럼에도 불구하고
근데 왜 선생은 진료과목이 암으로 되어 있는 거요?
마지막인 줄 알았던 단풍
그 호두 파이, 다시 먹을 수 있을까요?
들어올 땐 하나 나갈 땐 둘
들어올 땐 둘 나갈 땐 셋
맺음말 글을 마치며, 또 다른 이야기의 시작

○ 번외 혼자였다면 버틸 수 없었을 나날들

○ 추천사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019429 610.2 -23-8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3019430 610.2 -23-8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 제공)

    “보호자 없음. 시도 가능한 항암치료 없음. 본인에게 설명함.”

    4차 병원,
    더 이상의 치료 방법이 없는 사람들이 모입니다.

    실제로 4차 병원이라는 단어는 없는 단어지만, 한방 암센터에서 말기 암 환자를 보는 한의사들은 스스로를 그렇게 부릅니다.

    환자들은 동네에 있는 1차 의원부터 대학병원 같은 3차 병원까지 다 돌고 나서야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 한의사를 찾습니다.

    --
    갑자기 나타난 죽음 앞에 초연할 수 있는 사람이 얼마나 있을까요?

    모두에게 기적이 일어나면 좋으련만, 그것이 어렵다는 것을 아는 암 환자나 한의사 모두 마음이 무겁습니다.

    『선생님, 이제 그만 저 좀 포기해 주세요』 는 억울하고 외로운 싸움을 해나가는 말기 암 환자들의 이야기입니다. 말기 암이라는 현실을 받아들여야 했던 절망, 삶의 끝자락에서의 인생에 대한 회고, 그리고 두려움 속에서도 웃고 사랑하는 이야기입니다.

    그리고 그들의 마지막을 함께하며, 그 모습들이 세상에서 흩어지지 않도록 기억하는 한 의료진의 이야기입니다.

    [출판사 서평]
    《선생님, 이제 그만 저 좀 포기해 주세요》는 의사 에세이입니다. 그런데 특이하게도 의사가 주인공이 아닌, 환자가 주인공인 에세이입니다. 의사의 전문성과 권위를 바탕으로 환자의 상황을 설명하기보다, 한발 물러선 시각에서 사람 대 사람으로서 느껴지는 휴머니즘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바로 이 부분 때문에 출간을 결심하게 되었습니다.

    "선생님이 우리 언니였으면 좋겠어요. 그럼 우리 엄마가 덜 속상할 텐데.”

    출간을 준비하며 팀원들 모두 몇 번이나 눈물을 흘렸는지 모릅니다. 밤에 원고를 검토하면 아침에는 퉁퉁 부은 눈으로 출근했습니다. 슬픔과 감동, 그리고 바쁜 일상에 한동안 잊고 지냈던 감정들의 환기처럼 느껴졌습니다.
    더보기
  • 책속에서 (알라딘 제공)



    [P. 47] [저 이렇게 계속 버티기만 하면 돼요?]

    밥은 잘 먹는다는 말에 뭐가 제일 먹고 싶었느냐고 물었더니 곱창이라는 대답이 돌아왔다. 정말로 평범한 16살이었다.

    조금의 눈물도 보이지 않겠다는 다짐이 흔들리는 순간이 몇 번 있었다. 곱창이 제일 먹고 싶다고 씩씩하게 말하던 아이가 그간 고생 많았다는 한 마디에, 굵은 눈물방울을 뚝뚝 흘리며 “원래 우는 성격 아닌데……. 그럼 저 이렇게 계속 버티기만 하면 돼요? 그러다 보면 낫는 날이 올 수도 있을까요?”라고 말했을 때.

    잠시 딸이 자리를 비운 틈을 타 참고 있던 눈물을 터뜨리며 “사실은 마음의 준비를 하라는 이야기 듣고 왔어요. 놓아야 할 때는 놓아주고 싶어요. 그렇지만 여기서 마지막으로 할 수 있는 치료는 없을까요?”라고 말하는 엄마를 보고있을 때.

    알고 보니 몇년 전 내가 떠나보낸 환자의 가족에게서 소개를 받아 오게 되었다는 얘기에 이어 “그분 누님이 선생님께 감사하대요.”라는 말을 전해 들었을 때.

    - <저 이렇게 계속 버티기만 하면 돼요?> 중에서
    [P. 125] [어머니, 불효한 자식을 살리셨습니다]

    “어머니! 저는 한방 같은 거 안 믿는다고요! 또! 또! 저를 속여서 데리고 오신 거예요?”

    노부부는 거부감을 강하게 내비치는 아들을 진정시키며 뭐라 설득하고 있는 듯했지만, 어르신들의 작은 목소리까지는 나에게 들리지 않았다. 하지만 대화의 결론이 부모가 원하는 대로 되지는 않은 게 분명한 것이, 몇분 뒤 스테이션을 박차고 쿵쿵 나가는 아들의 걸음 소리는 확실히 들렸다.
    -
    지금부터는 최근의 이야기다.

    “예전에 연구 글 보고 부모님이랑 왔다가 조금... 소란 피우고 나갔던 환자인데요, 저예전에 연구 글 보고 부모님이랑 왔다가 조금…… 소란 피우고 나갔던 환자인데요. 혹시 저번에 어머니께 주셨던 그 연구 약, 지금도 더 받을 수 있나요? 며칠 전부터 항암 치료를 시작했는데…….”
    -
    일 년 사이에 많은 심경의 변화가 있었다고 한다. 그럴 수밖에 없던 것이 모친이 돌아가셨다. 방구석에 틀어박혀서 죽을 날만 기다리던 아들은, 어느 날 모친이 쓰러지는 모습을 보고서 정신을 번쩍 차렸다. 갑자기 쓰러지신 건 오래전부터 있던 지병의 악화가 원인이었고, 이미 몸과 마음이 노쇠해져 있던 어머니는 결국 병마를 이기지 못하고 며칠 지나지 않아 돌아가셨다고 한다. 유품을 정리하던 중에 부친이 본인 앞에 한약 봉투 하나를 툭 던지며 말했다.

    “자, 너희 엄마가 너 살려보겠다고 받았던 약이다.”

    - <어머니, 불효한 자식을 살리셨습니다> 중에서
    더보기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