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지] 1
참여연구진 2
발간사 / 이현애 3
연구요약 4
목차 11
I. 서론 19
1. 연구배경 및 목적 19
2. 연구내용 21
3. 연구방법 21
4. 연구범위 및 제한점 23
II. 인천광역시 여성·가족정책 환경 27
1. 중앙의 여성·가족정책 동향 27
2. 인천지역 인구 및 여성·가족특성 40
가. 인구특성 40
나. 여성·가족 특성 44
다. 지역 성평등지수 60
3. 소결 및 시사점 65
III. 인천여성가족재단 연구사업 현황 및 성과 69
1. 연구사업 현황 69
가. 사업개요 69
나. 추진 현황 78
2. 연구성과 분석 87
가. 분석개요 87
나. 분석결과 104
다. 연구활동/과정(activities/process) 109
라. 산출(outputs) 112
3. 소결 및 시사점 148
IV. 인천여성가족재단 연구사업 의견조사 155
1. 조사개요 155
가. 조사설계 155
나. 조사참여자의 특성 156
2. 분석결과 158
① 미래시정을 견인하는 선도적 정책 개발 158
② 정책반영도 평가체계 개선 및 제고 159
③ 연구기획 기능의 강화 160
④ 정책(연구)대상 확대 161
⑤ 연구인력의 효율적 운영 162
⑥ 연구자별 업무량에 대한 기준 마련 163
⑦ 개별연구자의 연구역량 강화 164
⑧ 연구환경 개선 요구 165
⑨ 연구성과 확산 노력 166
⑩ 향후 연구사업 중점과제·분야 167
3. 소결 및 시사점 169
V. 인천여성가족재단 연구사업 발전방안 173
1. 재단 연구사업 추진방향 173
2. 재단 연구사업 향후 과제 175
가. 시민체감형 연구기획 기능 강화 175
나. 전주기적 연구관리체계(total research cycle management) 및 연구환경 개선 179
다. 연구성과 확산 다각화 및 정책체감도 향상 183
참고 문헌 187
부록 189
판권기 200
[그림 I-1] 인천여성가족재단의 새로운 가치체계(2022) 20
[그림 I-2] 연구 수행 절차 23
[그림 II-1] 『제2차 양성평등정책 기본계획(2018~2022)』의 정책체계 29
[그림 II-2] 『제4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2021~2025)』의 정책체계 31
[그림 II-3] 『제3차 중장기보육 기본계획(2018~2022)』의 정책체계 32
[그림 II-4] 『제6차 청소년정책 기본계획(2018~2022)』의 정책체계 34
[그림 II-5] 『제4차 건강가정기본계획(2021~2025)』의 정책체계 36
[그림 II-6] 『제6차 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양립 기본계획(2018~2022)』의 정책체계 38
[그림 II-7] 전국 및 인천광역시의 합계출산율 추이 50
[그림 II-8] 전국 및 인천광역시의 노령화지수 추이 52
[그림 II-9] 전국 및 인천광역시의 아동·청소년 인구변화 추이 53
[그림 II-10] 인천광역시의 영역 및 분야별 성평등 수준 변화 61
[그림 III-1] 재단 연구사업 단계별 추진 절차 75
[그림 III-2] 연구기획단계 세부절차 75
[그림 III-3] 연도별/부서별 연구수행 건수 80
[그림 III-4] 연도별/과제유형별 연구수행 건수 83
[그림 III-5] 연도별/정책대상별 연구수행 건수 86
[그림 III-6] 성과관리의 의미와 과정 88
[그림 III-7] 성과지표의 4가지 속성 89
[그림 III-8] BSC 개념(Kaplan & Norton 1993)의 4가지 관점 91
[그림 III-9] 공기업의 PSI(Public Satisfaction Index) 모델 93
[그림 III-10] 인천여성가족재단 총예산 대비 연구개발비 예산 105
[그림 III-11] 재단 연구인력 투여 106
[그림 III-12] 최종학위별 전공 분포(2013~2022) 107
[그림 III-13] 재단 연구수행 프로세스 110
[그림 III-14] 연구과제 예산: 1과제당, 연구기간(1개월당) 투여예산 113
[그림 III-15] 책임연구자 1인당 연구과제 수행 건수 114
[그림 III-16] 연도별/주제별 연구수행 건수 116
[그림 V-1] 인천여성가족재단 연구사업의 추진방향과 추진과제 174
[그림 V-2] 연구과제 수시 모집(홈페이지 사례) 176
[그림 V-3] 연구과제 수요조사 및 과제선정 의견수렴 절차(안) 177
[그림 V-4] 과제제안평가 세부절차(안) 178
[그림 V-5] 연구관리시스템(PMS) 182
[그림 V-6] 데이터 아카이빙 구축 및 운영사례(서울연구원) 183
[그림 V-7] 정책추진간담회 수시 운영(안) 184
[그림 V-8] SGIS를 활용한 인천광역시 신혼부부 통계 현황 185
[그림 V-9] QGIS를 활용한 어린이집 현황 185
[그림 V-10] 웹툰을 활용한 아동학대예방 교육자료 185
[그림 V-11] SNS를 활용한 시민정보 공유사례 186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