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지] 1
참여연구진 2
발간사 / 이현애 3
연구요약 4
목차 14
I. 서론 20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20
2. 연구 방법 및 내용 24
가. 연구 범위 24
나. 연구 방법 24
다. 주요 연구 내용 26
라. 연구 한계 28
II. 이주배경청소년 특성과 정책 수요 방향 32
1. 이주배경청소년 개념 32
2. 이주배경청소년 유형별 특성 35
가. 국제결혼가정 이주배경청소년 35
나. 외국인가정 이주배경청소년 36
3. 사회통합정책과 이주배경청소년 39
가. 사회통합정책의 유형 39
나. 포용과 이주배경청소년 정책 40
4. 이주배경청소년 지원 정책 수요 방향 43
가. 정체성과 사회적응 관련 특성과 수요 방향 43
나. 심리와 정신건강 관련 특성과 수요 방향 44
다. 부모와 가족 관련 특성과 수요 방향 45
라. 교육과 진로 관련 특성과 수요 방향 47
마. 사회참여 및 사회자본 특성과 수요 방향 48
5. 소결 50
III. 인천 이주배경청소년 현황과 지원 정책 54
1. 인천 이주배경청소년 현황과 정착 전망 54
가. 인천 이주배경청소년 현황 54
나. 인천 이주배경청소년 지역거주 전망 58
2. 중앙정부 이주배경청소년 법률 및 정책 현황 62
가. 법적 근거 62
나. 지원 사업 63
3. 인천광역시 이주배경청소년 조례 및 지원 정책 68
가. 법적 근거 68
나. 담당조직 및 주요 사업 70
4. 소결 76
IV. 인천 이주배경청소년 정책 수요 분석 80
1. 조사 개요 80
가. 이주배경청소년 조사 설계 80
나. 이주배경청소년 전문가 조사 설계 83
다. 자료 수집 및 분석 84
2. 이주배경청소년 실태 및 경향 분석 86
가. 부모의 이주 동기 86
나. 가정 내에서 사용하는 언어 87
다. 한국어 학습 88
바. 학교 생활 89
사. 교우 관계 90
아. 다문화 수용성 92
자. 신뢰 관계 및 정보 제공 92
차. 지역기관 및 단체 95
카. 여가 활용 96
타. 멘토링 참여 경험 98
파. 봉사활동 경험 99
하. 국가 정체성 100
거. 필요한 정책 101
3. 이주배경청소년 전문가 의견 분석 104
가. 정규학교 이탈 방지 방안 104
나. 진로상담 및 취업연계 104
다. 취학 전 아동·청소년 지원 106
라. 건강한 성장환경 조성 108
마. 청소년 전문 상담사를 통한 모국어 심리상담 110
바. 또래 관계 형성과 사회성 발달 지원 111
사. 다문화 친화적 환경 조성 112
아. 지역사회 다문화 수용성 증진 프로그램 지원 114
4. 소결 117
가. 이주배경청소년 실태 및 경향 조사 결과 117
나. 이주배경청소년 전문가 의견 조사 결과 121
V. 인천 이주배경청소년 지원 정책 제언 126
1. 요약 및 논의 126
2. 정책과제 130
가. 정규학교 이탈방지 및 진로지도 방안 130
나. 학교 적응을 위한 지원 방안 135
다. 심리·정서 및 또래 관계 형성 지원 방안 140
라. 인식개선을 위한 다문화 수용성 증진 방안 143
참고 문헌 148
판권기 152
[그림 I-1] 연구 수행 흐름도 27
[그림 II-1] 포용국가 3대 비전 및 9대 전략 41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