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Ⅰ. 제1차 망명기 김대중의 미국에서의 활동 : 류상영(연세대 국제학대학원 교수, 전 김대중도서관 관장)
1. 서론: 김대중의 인식과 전략, 그리고 활동
2. 유신 선포와 김대중의 망명 결심
3. 김대중의 미국에서의 활동과 네트워크
(1) 교포사회 민주화 세력과의 연대와 전략
(2) 미국 주요 인사들과의 네트워크와 전략
4. 미국의 한국에 대한 인식과 한미관계
(1) 박정희 정부의 미국에 대한 인식과 대응
(2) 미국의 유신정권에 대한 분석과 대응
5. 유신체제 직후 야당의 와해와 김대중 회유
6. 맺음말

Ⅱ. 김대중의 제1차 망명기 일본 활동의 의미-정계 및 언론계를 중심으로 : 정근주(호쿠세이가쿠엔 대학교 교수)
1. 들어가는 말
2. 김대중납치사건 이전의 한국 및 김대중에 대한 인식
3. 일본에서의 인적 네트워크 형성
(1) 정계 네트워크
(2) 언론계 및 『세카이(世界)』네트워크
4. 언론을 통한 김대중의 활동 및 주장
(1) 망명 투쟁의 이유 및 유신체재에 대한 반박
(2) 한국 민주주의 정착의 문제점: 국내적 요인
(3) 한국 민주주의 정착의 문제점: 국외적 요인
(4) 통일문제와 민주화
(5) 일본의 한국 인식에 대한 문제점과 김대중의 제언
(6) 민족주의자적 면모와 자주 의지의 표출
5. 맺음말

Ⅲ. 김대중의 1차망명활동과 한민통 구상 : 장신기(연세대학교 김대중도서관 사료연구 담당)
1. 들어가는글
2. 망명 직후, 일본과 미국에서의 활동
(1) 망명투쟁 결심 과정
(2) 망명 초기 일본에서의 생활과 활동
(3) 망명 초기 미국에서의 생활과 활동
(4) 해외 한인들을 기반으로 한 조직 결성을 결심하게 된 계기
3. 한민통 결성 : 시작과 진행과정
(1) 김대중과 재일 한인 민주화 세력이 결합하게 된 배경과 원인
(2) 김대중과 재미 한인 민주화 세력이 결합하게 된 배경과 원인
(3) 한민통이 결성되기까지
4. 한민통의 성격 : 노선
(1) 김대중과 해외 한인운동가들 사이의 입장 차이의 배경
(2) 대한민국 절대지지
(3) 선민주 후통일 노선
5. 한민통의 성격 : 조직과 활동방향
(1) 조직
(2) 활동방향
6. 납치직후 한민통의 변화 방향
(1) 조직 체계 변화
(2) 노선 : 유지와 변화의 양상
7. 결론

이용현황보기

김대중 1차 망명과 반유신 민주화 운동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025759 951.733 -23-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3025760 951.733 -23-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3033624 951.733 -23-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불가
0003033625 951.733 -23-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불가
B000086535 951.733 -23-3 부산관 종합자료실(1층)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이 도서는 김대중도서관이 장기 프로젝트로 기획 중인 김대중 연구총서 시리즈의 다섯번째로, 올해 8월 8일 김대중 납치사건(1973년 8월 8일)발생 50주년을 기억하고자 특별히 기획·출간된 연구서다.
김대중 납치사건은 한국 현대사와 한일관계에 있어 매우 큰 영향을 주었기 때문에 이와 관련한 조사와 연구는 상당수 이루어졌다. 그러나 납치사건의 배경이 되는 김대중 1차 망명 활동에 대한 연구는 전무했다. 때문에 이 책은 김대중 납치사건의 배경이 되는 유신정권 초기 김대중 망명 활동의 내용과 성격을 최초로 연구한 3편의 논문이 수록되어 있다는 점에서 학문적인 의미가 매우 크다.
한편, 연세대 김대중도서관은 2003년 11월 개관한 아시아 최초의 대통령도서관으로, 민주주의·시장경제·평화 등 김대중 전 대통령이 추구한 인류 보편적인 가치를 연구하고 관련 사료를 수집, 제공하는 전문적인 학술연구기관이다.

1) 이 책은 유신 정권 초기 미국과 일본에서 이뤄진 김대중 망명활동의 내용과 성격을 1차 사료에 근거해서 분석한 최초의 연구서라는 점에서 학문적인 의미가 크다. 김대중은 유신반대선언을 한 최초의 인물이엇다. 1972년 10월 17일 유신이 선포되었는데 그 다음날인 10월 18일에 일본 도쿄에 있던 김대중은 유신반대 성명을 발표했다. 이는 국내외를 통틀어서 최초의 유신반대 행동이라는 점에서 역사적 의미가 있다. 김대중은 1973년 8월 8일 일본 도쿄에서 중앙정보부 요원들에 의해 납치되기 전까지 일본과 미국을 오가면서 반유신 투쟁을 전개했는데, 이는 유신 정권 초기 이뤄진 민주화운동으로서 역사적 의미가 매우 크다. 그런데 이렇게 역사적 의미가 큰 김대중 망명활동에 대한 연구는 그동안 이뤄지지 않았었다. 이 연구는 미국과 일본에서 이뤄진 김대중의 망명투쟁을 활동지역별로 구분해서 치밀하게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2) 김대중납치사건은 한국현대사와 한일관계에 있어 매우 큰 영향을 주었기 때문에 이와 관련한 조사와 연구는 많이 이뤄졌다. 그런데 정작 납치사건의 배경이 되는 김대중 1차망명활동에 대한 연구는 전무했다. 납치사건의 성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사건의 배경이 되는 김대중 1차망명에 대한 연구가 필수적임에도 그동안 납치사건 발생과 그 이후 전개 과정에 대한 내용이 주로 다뤄졌었다. 유신 정권은 김대중의 망명활동이 성공하는 것에 큰 부담을 느끼고 있었기 때문에 김대중의 자진귀국을 위해 온갖 회유와 협박을 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김대중은 귀국을 거부하고 망명투쟁을 이어가자 결국 납치사건을 일으켰고 김대중은 미국의 도움으로 구사일생 끝에 목숨을 건질 수 있었다. 김대중 1차망명활동과 납치사건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이 책은 김대중납치사건의 배경을 이해하는 데에 큰 기여를 할 수 있다.

3) 이 책은 한국 민주화운동사 연구의 외연을 확장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김대중은 1차망명활동을 통해 미국인과 일본인을 상대로 한 국제연대 활동을 전개했고 해외 한인들의 역량을 국내 민주화운동의 동력으로 삼으려고 하는 등 한국 민주화운동의 지평을 크게 확장했다. 이와 같은 김대중의 활동은 그 이후 한국 민주화운동 전개 과정에서 큰 영향을 주었다. 김대중 1차망명활동은 한국 민주화운동을 국제적 관점에서 이해하는 데에 중요한 배경이 된다는 점에서 이 책의 의미는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