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제1장 서론 13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4

1. 연구 배경 14

2. 연구 목적 15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17

1. 연구 범위 17

2. 연구 방법 18

제2장 환경 분석 및 이론 검토 20

제1절 정책 환경 분석 21

1. 국외 환경 21

2. 국내 환경 29

제2절 교류협력망 이해 36

1. 교류협력망 이론 36

2. 한국어교육 관련 교류협력 41

3. 타 분야 교류협력망 사례 45

제3절 소결 52

제3장 국외 한국어교육 교류 협력 사업 현황 및 주요국 분석 54

제1절 문화체육관광부 55

1. 국립국어원(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55

2. 세종학당재단(King Sejong Institute Foundation) 63

3. 해외문화홍보원(Korean Culture and Information Service) 82

4. 한국문학번역원(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 of Korea) 83

제2절 외교부 84

1. 재외동포재단(Overseas Koreans Foundation) 84

2. 한국국제교류재단(Korea Foundation) 93

3. 한국국제협력단(Korea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102

제3절 교육부 103

1. 교육부 재외동포교육담당관(Ministry of Education Overseas Korean Education Division) 103

2. 국립국제교육원(National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ducation) 106

3. 한국교육원(Korean Education Center) 113

4. 국제한국어교육재단(lnternational Korean Education Foundation) 114

5. 교육부 재외교육지원센터(Ministry of Education Center for Overseas Korean Education) 119

6. 한국학중앙연구원(Academy of Korean Studies) 122

7. 한국교육과정평가원(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128

제4절 주요국 사례 129

1. 일본 129

2. 프랑스 132

제5절 소결 139

제4장 국외 한국어교육 운영 현황 및 전문가 조사 143

제1절 국외 대학의 한국어ㆍ한국학 운영 현황 144

1. 일반 현황 144

2. 대륙별 현황 146

제2절 한국어 교육자 조사 156

1. 조사 개요 156

2. 조사 체계 157

3. 조사 대상 158

4. 세부 조사내용 159

5. 조사 결과 160

제3절 한국어교육학회장 연구 자문 및 조사 209

1. 연구 자문회의 209

2. 국외 한국어교육학회장 조사 211

제4절 소결 213

1. 국외 대학의 한국어ㆍ한국학 운영 현황 213

2. 한국어 교육자 조사 213

3. 한국어교육 학회장 조사 215

제5장 국외 한국어교육 교류협력망 구축을 위한 정책 방안 216

제1절 정책 방향 217

1. 기본 방향 설정 217

제2절 세부 과제 220

1. 현지 교원 공급 다변화 220

2. 인프라 확대 및 교재 개발 및 보급 224

3. 교류협력 프로그램 강화 228

제3절 연구 종합 231

참고문헌 235

[부록 1] 교육자 설문조사 양식 241

[부록 2] 교육자 설문조사 양식(영어) 253

[부록 3] 학회장 설문조사 265

판권기 269

표목차

〈표 1-1〉 연구의 공간적 범위 17

〈표 2-1〉 최근 5년간 한류 동호회 회원 수 변화 24

〈표 2-2〉 한국어 학습자 대상 25

〈표 2-3〉 한국어교원 대상 25

〈표 2-4〉 인구 감소 추계 29

〈표 2-5〉 국내 체류 외국인 증가 현황 31

〈표 2-6〉 한국어교육이 필요한 다문화 학생 수 현황 31

〈표 2-7〉 부처별 한국어교육 정책 추진 결과(1998~2021년 상반기 총 1,089건) 41

〈표 2-8〉 애틀랜타 한국교육원 거점 네트워크의 연결 중심성 순위 42

〈표 2-9〉 국외 한국어교육 관련 학회 설립 현황(2022년 현재) 43

〈표 2-10〉 국외 한국어교육 관련 협의회 설립 현황 43

〈표 2-11〉 해외 한국어 교육실습 기관 44

〈표 2-12〉 재외동포 사회 지원사업 대상별 유형 48

〈표 2-13〉 재외동포 사회 지원사업 수요조사 사업 현황(2015~2021) 48

〈표 3-1〉 2019-2021 세종학당 특성화 사업 현황 65

〈표 3-2〉 한국어교원 연수센터의 교육과정 67

〈표 3-3〉 2019-2021 세종학당 한국어교원 온라인 재교육 과정 운영 현황 67

〈표 3-4〉 교재 다국어 번역본 개발 현황(2019-2021) 67

〈표 3-5〉 세종학당 교원 한국어교육 학위취득 추진실적 68

〈표 3-6〉 세종학당 한국어교원 양성과정 운영 지원 참가 자격 요건 69

〈표 3-7〉 현지화 교원 근무조건 72

〈표 3-8〉 2022년 세종학당 현지화 교원 선발 세부 사항 72

〈표 3-9〉 2022년 세종학당 현지화 교원 선발 파견지 73

〈표 3-10〉 세계한국어교육자대회 근황(2019~2022) 75

〈표 3-11〉 누리 세종학당 연도별 운영 실적 79

〈표 3-12〉 온라인 한국어 레벨테스트 구성 80

〈표 3-13〉 한국 문화원 운영 현황(2022년 4월 기준) 82

〈표 3-14〉 재외동포 교육 사업 연도별 지출 현황 84

〈표 3-15〉 2021년도 사이버 교사 연수 지원 세부 사항 89

〈표 3-16〉 2021년도 한글학교 교사 현지 연수 지원 세부 실적 90

〈표 3-17〉 2021년도 조선어 교원 초청 연수 91

〈표 3-18〉 2021년도 CIS 지역 한국어 교사 초청 연수 91

〈표 3-19〉 한국국제교류재단 한국학 진흥사업 연도별 지출 현황 93

〈표 3-20〉 KF 글로벌 e-스쿨 사업 중 한국어교육의 대륙별 수신현황(수신강좌 수 기준) 95

〈표 3-21〉 KF 글로벌 e-스쿨 사업 중 한국어교육의 대륙별 수신현황(수강생 수 기준) 95

〈표 3-22〉 교원 고용 지원 및 객원교수 파견을 통한 강좌제공 현황 100

〈표 3-23〉 교육부 2021년 해외 한국어교육 지원 사업 기본 계획 104

〈표 3-24〉 국립국제교육원 재외동포 교육 운영 지원 사업 현황 107

〈표 3-25〉 한국어능력시험 주요 국가별 지원자 현황 107

〈표 3-26〉 교원 해외 파견 사업 참가 요건 108

〈표 3-27〉 재외동포 국내 교육과정 세부 사항 109

〈표 3-28〉 교원 해외 파견(ODA) 사업 참가요건 110

〈표 3-29〉 한국어교원 파견 대상자 선발 관련 한국어교육 경력 우대사항 111

〈표 3-30〉 재외 한국교육원 분포 현황 113

〈표 3-31〉 대륙별 교과용 도서 및 교재 보급 현황(2009~2021 누적) 115

〈표 3-32〉 2022년 재외동포 어린이 한국어 그림일기 대회 수상작 작품 전시 현황 117

〈표 3-33〉 해외 한국학 지원 사업 지원 영역 및 신청 자격 세부 내용 123

〈표 3-34〉 2022년도 해외 한국학 지원 사업 선정과제 중 한국어 관련 과제 현황 123

〈표 3-35〉 세계한국학대회 개최 현황 127

〈표 3-36〉 일본국제교류기금 일본어 교육, 학습 지원사업 130

〈표 3-37〉 부처별ㆍ기관별 주요 국외 한국어교육 사업 현황 141

〈표 4-1〉 해외 대학 한국어ㆍ한국학 운영 현황(대륙별) 144

〈표 4-2〉 해외 대학 한국어ㆍ한국학 운영 상위 10개국 현황 145

〈표 4-3〉 동북아시아 한국어ㆍ한국학 운영 현황 146

〈표 4-4〉 동남아시아 한국어ㆍ한국학 운영 현황 147

〈표 4-5〉 서남아시아 한국어ㆍ한국학 운영 현황 148

〈표 4-6〉 태평양 국가별 한국어ㆍ한국학 운영 현황 148

〈표 4-7〉 북미 국가별 한국어ㆍ한국학 운영 현황 149

〈표 4-8〉 중남미 국가별 한국어ㆍ한국학 운영 현황 150

〈표 4-9〉 러시아 및 중앙아시아 국가별 한국어ㆍ한국학 운영 현황 151

〈표 4-10〉 유럽 국가별 한국어ㆍ한국학 운영 현황 152

〈표 4-11〉 중동 및 아프리카 국가별 한국어ㆍ한국학 운영 현황 154

〈표 4-12〉 국외 한국어교육 현황 조사 모집단 추정 158

〈표 4-13〉 국외 한국어교육 현황 세부 조사내용 159

〈표 4-14〉 응답자 현황 160

〈표 4-15〉 국외 한국어교원 소속 기관 현황(동북아) 162

〈표 4-16〉 국외 한국어교원 소속 기관 현황(유럽) 164

〈표 4-17〉 국외 한국어교원 소속 기관 현황(북미) 165

〈표 4-18〉 국외 한국어교원 소속 기관 현황(동남아) 166

〈표 4-19〉 국외 한국어교원 소속 기관 현황(러시아, 중앙아시아) 167

〈표 4-20〉 국외 한국어교원 소속 기관 현황(중남미) 168

〈표 4-21〉 국외 한국어교원 소속 기관 현황(아프리카, 중동) 168

〈표 4-22〉 국외 한국어교원 소속 기관 현황(서남아) 169

〈표 4-23〉 국외 한국어교원 소속 기관 현황(태평양) 169

〈표 4-24〉 근무 중인 기관 내 한국어교원 수, 평균 교원 수, 교원 수별 비율(대륙별) 173

〈표 4-25〉 학회 활동 여부 177

〈표 4-26〉 학회 활동자의 가입 학회 현황 177

〈표 4-27〉 학회 활동자 대륙별 분포현황 178

〈표 4-28〉 (전공 과정 운영 기관) 주전공 과정에서 사용하는 한국어 교재_국내 제작 179

〈표 4-29〉 (전공 과정 운영 기관) 주전공 과정에서 사용하는 한국어 교재_현지 제작 180

〈표 4-30〉 (전공 과정 운영 기관) 주전공 과정에서 사용하는 한국어 교재_기타 181

〈표 4-31〉 (전공 과정 운영 기관) 대륙별 국내 제작 한국어 교재 사용 현황_개괄(① 대학 주전공 과정) 181

〈표 4-32〉 (전공 과정 운영 기관) 대륙별 국내 제작 한국어 교재 사용 현황_세부(① 대학 주전공 과정) 182

〈표 4-33〉 (전공 과정 운영 기관) 부전공 과정에서 사용하는 한국어 교재_국내 제작 183

〈표 4-34〉 (전공 과정 운영 기관) 부전공 과정에서 사용하는 한국어 교재_현지 제작 183

〈표 4-35〉 (전공 과정 운영 기관) 부전공 과정에서 사용하는 한국어 교재_기타 184

〈표 4-36〉 (전공 과정 운영 기관) 대륙별 국내 제작 한국어 교재 사용 현황_개괄 184

〈표 4-37〉 (전공 과정 운영 기관) 대륙별 국내 제작 한국어 교재 사용 현황_세부 184

〈표 4-38〉 (전공 과정 운영 기관) 교양 과정에서 사용하는 한국어 교재_국내 제작 185

〈표 4-39〉 (전공 과정 운영 기관) 교양 과정에서 사용하는 한국어 교재_현지 제작 185

〈표 4-40〉 (전공 과정 운영 기관) 교양 과정에서 사용하는 한국어 교재_기타 186

〈표 4-41〉 (전공 과정 운영 기관) 대학원 석사/박사 과정에서 사용하는 한국어 교재_국내 제작 186

〈표 4-42〉 (전공 과정 운영 기관) 대학원 석사/박사 과정에서 사용하는 한국어 교재_현지 제작 186

〈표 4-43〉 (전공 과정 운영 기관) 어학원 과정에서 사용하는 한국어 교재_국내 제작 187

〈표 4-44〉 (전공 과정 운영 기관) 어학원 과정에서 사용하는 한국어 교재_현지 제작 187

〈표 4-45〉 (전공 과정 운영 기관) 기타 과정에서 사용하는 한국어 교재_국내 제작 187

〈표 4-46〉 (전공 과정 운영 기관) 기타 과정에서 사용하는 한국어 교재_현지 제작 188

〈표 4-47〉 (전공 과정 미운영 기관) 교양 과정에서 사용하는 한국어 교재_국내 제작 188

〈표 4-48〉 (전공 과정 미운영 기관) 교양 과정에서 사용하는 한국어 교재_현지 제작 189

〈표 4-49〉 (전공 과정 미운영 기관) 교양 과정에서 사용하는 한국어 교재_기타 189

〈표 4-50〉 (전공 과정 운영 기관) 주전공 과정에서 직접 개발한 한국어 교재 189

〈표 4-51〉 (전공 과정 운영 기관) 부전공 과정에서 직접 개발한 한국어 교재 190

〈표 4-52〉 (전공 과정 운영 기관) 교양 과정에서 직접 개발한 한국어 교재 191

〈표 4-53〉 (전공 과정 운영 기관) 대학원 석/박사 과정에서 직접 개발한 한국어 교재 191

〈표 4-54〉 (전공 과정 운영 기관) 어학원 과정에서 직접 개발한 한국어 교재 191

〈표 4-55〉 (전공 과정 운영 기관) 기타 과정에서 직접 개발한 한국어 교재 192

〈표 4-56〉 (전공 과정 미운영 기관) 기타 과정에서 직접 개발한 한국어 교재 192

〈표 4-57〉 향후 한국어 교재 개발 계획_동남아시아 192

〈표 4-58〉 향후 한국어 교재 개발 계획_러시아 193

〈표 4-59〉 향후 한국어 교재 개발 계획_서남아시아 194

〈표 4-60〉 향후 한국어 교재 개발 계획_북남미 194

〈표 4-61〉 향후 한국어 교재 개발 계획_호주 194

〈표 4-62〉 향후 한국어 교재 개발 계획_유럽 195

〈표 4-63〉 향후 한국어 교재 개발 계획_동북아시아 195

〈표 4-64〉 (전공 과정) 세부 과정별 한국어 수강생 수: 평균값 정리(대륙별) 197

〈표 4-65〉 (교양 과정) 세부 과정별 한국어 수강생 수: 평균값 정리(대륙별) 200

〈표 4-66〉 한국어를 배우려는 이유(1+2순위) 201

〈표 4-67〉 한국어 전공 졸업생의 타 전공 대비 취업률 204

〈표 4-68〉 한국어 전공 졸업생의 한국어 능력 206

〈표 4-69〉 한국어교육과 관련하여 한국과 필요한 교류 협력 형태 208

〈표 4-70〉 한국어교육과 관련하여 국립국어원의 지원 필요 사항 208

〈표 4-71〉 한국어교육학회장 "교육자 대상 설문지" 검토 자문 결과 209

〈표 4-72〉 한국어교육학회장 "국외 학회장 대상 설문지" 검토 자문 결과 210

〈표 4-73〉 대만 한국어문교육학회 현황 및 요청 사항 211

〈표 4-74〉 호주 한국어교사협회 현황 212

〈표 4-75〉 재미한국학교협의회 현황 및 요청 사항 212

〈표 5-1〉 국립국어원 국외 한국어교육 사업 현황 217

〈표 5-2〉 기관별 주요 교원 공급 및 교육 지원 사업 현황 221

〈표 5-3〉 기관별 주요 인프라 확대 및 주요 교재 개발 보급 현황 225

〈표 5-4〉 기관별 주요 교류협력 프로그램 현황 229

그림목차

[그림 1-1] 연구 수행 방법 및 과정 19

[그림 2-1] 한국어 잠재적 수요자 변화 22

[그림 2-2] 10년간 한류 동호인 수 증가 추이 23

[그림 2-3] 대륙별 한류 동호인 수 변화 23

[그림 2-4] 비상교육의 MASTER-K 플랫폼 26

[그림 2-5] 살랑 코리아의 살랑 플랫폼 26

[그림 2-6] 트이다(TEUIDA)의 가상 대화 콘텐츠 27

[그림 2-7] 듀오링고 모바일 앱(App) 28

[그림 2-8] 생산연령인구 변화 30

[그림 2-9] 연도별 다문화학생 수 변화 32

[그림 2-10] 부모 국적별 다문화학생 현황(2022년) 32

[그림 2-11] 한국어 능력 진단-보정 시스템 시행 흐름도 34

[그림 2-12] 네트워크 유형 39

[그림 2-13] 아시아발전재단의 한국어 강의 교재 44

[그림 2-14] 주요국 외교부 공공외교 예산 현황(2020년 기준) 46

[그림 2-15] 국민외교와 공공외교의 비교 47

[그림 2-16] 기초과학연구원 글로벌 협력 네트워크 구축 추진 조직 49

[그림 2-17] 통합 커뮤니케이션 전략 수립 50

[그림 2-18] 국영문 IBS Research 발간 51

[그림 2-19] 한국어 국외 보급 네트워크 행위자의 역할 구조(예시) 53

[그림 3-1] 국립국어원 개발 한국어 교재 8종 및 (개정)세종한국어 58

[그림 3-2] 2022년 국외 한국어 연구자 배움이음터 전경 60

[그림 3-3] 국내외 한국어교육 관련 주요 업무협약 체결 사례(국립국어원) 61

[그림 3-4] 2022 세계 한국어 한마당 전경 62

[그림 3-5] 세종학당 운영 성과(2021년) 64

[그림 3-6] 2022년도 세종학당 한국어교원 양성과정 수료식(인도네시아) 70

[그림 3-7] 2022 유라시아 세종학당 워크숍 전경 71

[그림 3-8] 국외 한국어교육 관련 주요 업무협약 체결 사례(세종학당재단) 75

[그림 3-9] 2022 세계한국어교육자대회 전경 76

[그림 3-10] 2022 세종학당 한국어 말하기ㆍ쓰기 대회 77

[그림 3-11] 서울시 온라인 세종학당 홈페이지 78

[그림 3-12] 누리 세종학당 홈페이지(좌: 한국어/우: 영어) 78

[그림 3-13] 한국어 전자도서관 서비스 홈페이지 79

[그림 3-14] 온라인 한국어 레벨테스트 서비스 응시 결과 구성 80

[그림 3-15] 메타버스(가상 확장 세계) 세종학당 캠퍼스 81

[그림 3-16] 2022년도 한글학교 교사 온라인 연수 시행 89

[그림 3-17] 스터디 코리안 홈페이지 92

[그림 3-18] KF 글로벌 e-스쿨 사업 중 한국어교육 비중 95

[그림 3-19] 외교관 한국 언어문화연수 수혜자 지역별 분포 96

[그림 3-20] 2022년도 외교관 한국 언어문화연수 97

[그림 3-21] 해외 한국어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 강사 역량 강화 워크숍 98

[그림 3-22] 해외 한국어/한국학 교수직 설치 현황 99

[그림 3-23] Korean At Your Door(KAYD)의 온라인 수업 모습 101

[그림 3-24] 국립국제교육원 조직도(일부) 한국어능력시험센터 107

[그림 3-25] 2022 해외 청소년 한국어교육 연수 전경 116

[그림 3-26] 제20회 재외 한국어교육자 국제학술대회 전경 118

[그림 3-27] 재외 교육기관 포털 홈페이지 120

[그림 3-28] 재외 교육기관 온라인 소식지 OK-e NOW 121

[그림 3-29] 제11회 세계한국학대회 전경 127

[그림 3-30] 프랑스 IFprofs의 네트워크 현황 136

[그림 4-1] 해외 대학 한국학 운영 지역별 분포 145

[그림 4-2] 해외 대학 한국학 운영 학위, 비학위 현황 145

[그림 4-3] 상위 10개국 분포 146

[그림 4-4] 상위 10개국 학위, 비학위 과정 현황 146

[그림 4-5] 동북아시아 한국학 운영 현황 146

[그림 4-6] 동북아시아 학위, 비학위 과정 현황 146

[그림 4-7] 동남아시아 한국학 운영 현황 147

[그림 4-8] 동남아시아 학위, 비학위 과정 현황 147

[그림 4-9] 서남아시아 한국어ㆍ한국학 운영 현황 148

[그림 4-10] 서남아시아 학위, 비학위 과정 현황 148

[그림 4-11] 태평양 국가별 한국어ㆍ한국학 운영 현황 149

[그림 4-12] 태평양 국가별 학위, 비학위 과정 현황 149

[그림 4-13] 북미 국가별 한국어ㆍ한국학 운영 현황 149

[그림 4-14] 북미 국가별 학위, 비학위 과정 현황 149

[그림 4-15] 중남미 국가별 한국어ㆍ한국학 운영 현황 150

[그림 4-16] 중남미 국가별 학위, 비학위 과정 현황 150

[그림 4-17] 러시아 및 중앙아시아 국가별 한국어ㆍ한국학 운영 현황 151

[그림 4-18] 러시아 및 중앙아시아 국가별 학위, 비학위 과정 현황 151

[그림 4-19] 유럽 국가별 한국어ㆍ한국학 운영 현황 153

[그림 4-20] 유럽 국가별 학위, 비학위 과정 현황 153

[그림 4-21] 중동 및 아프리카 국가별 한국어ㆍ한국학 운영 현황 155

[그림 4-22] 중동 및 아프리카 국가별 학위, 비학위 과정 현황 155

[그림 4-23] 국외 한국어교육 현황조사 체계도 157

[그림 4-24] 최근 3년간 연평균 한국어 관련 담당 수업 개수 161

[그림 4-25] 2022년 현재 한국어 관련 담당 수업 개수 162

[그림 4-26] 현재 근무 기관에 개설된 한국어 교육과정 유형(전공 과정) 170

[그림 4-27] 현재 근무 기관에 개설된 한국어교육 유형(교양 과정) 170

[그림 4-28] 현재 근무 기관에 개설된 한국어교육 유형(전공 과정+교양 과정) 171

[그림 4-29] 한국어 교육과정 운영 기간(누적) 171

[그림 4-30] 연간 한국어 관련 과목 개수 172

[그림 4-31] 한국어 관련 수업 개설 유형(중복 응답) 172

[그림 4-32] 한국어교원 수 173

[그림 4-33] 아시아의 한국어교원 수 174

[그림 4-34] 유럽, 북미, 중남미의 한국어교원 수 174

[그림 4-35] 아프리카/중동, 러시아/중앙아, 태평양의 한국어교원 수 175

[그림 4-36] 유형별 소속 한국어교원 수: 평균값 정리 175

[그림 4-37] 한국어교원 중 모국어 화자 수 176

[그림 4-38] 한국어교원 중 한국에서 파견된 교원 수 176

[그림 4-39] 한국어 교재의 직접 개발 이유 196

[그림 4-40] (전공 과정) 세부 과정별 한국어 수강생 수: 평균값 정리 197

[그림 4-41] (전공 과정) 세부 과정별 한국어 수강생 수: 동북아, 동남아, 서남아 198

[그림 4-42] (전공 과정) 세부 과정별 한국어 수강생 수: 유럽, 북미, 중남미 198

[그림 4-43] (전공 과정) 세부 과정별 한국어 수강생 수: 러시아/중앙아, 아프리카/중동, 태평양 199

[그림 4-44] (교양 과정) 세부 과정별 한국어 수강생 수: 평균값 정리 199

[그림 4-45] 한국어를 배우려는 이유(1+2순위) 200

[그림 4-46] 한국어를 배우려는 이유: 동북아, 동남아, 서남아(대륙별) 201

[그림 4-47] 한국어를 배우려는 이유: 유럽, 북미, 중남미(대륙별) 202

[그림 4-48] 한국어를 배우려는 이유: 러시아/중앙아, 아프리카/중동, 태평양(대륙별) 202

[그림 4-49] 최근 3년간 한국어를 배우려는 학생 수 변화 203

[그림 4-50] 최근 3년간 한국어를 배우려는 학생 수 변화(대륙별) 203

[그림 4-51] 한국어 전공 졸업생들의 타 전공 대비 취업률 204

[그림 4-52] 한국어 전공 졸업생들의 타 전공 대비 취업률(대륙별) 205

[그림 4-53] (전공 과정) 한국어 전공 졸업생들의 한국어 능력 205

[그림 4-54] 한국어 전공 졸업생들의 한국어 능력: 동북아, 동남아, 서남아(대륙별) 206

[그림 4-55] 한국어 전공 졸업생들의 한국어 능력: 유럽, 북미, 중남미(대륙별) 207

[그림 4-56] 한국어 전공 졸업생들의 한국어 능력: 러시아/중앙아, 아프리카/중동, 태평양(대륙별) 207

[그림 5-1] 국외 한국어교육 교류협력망 구축을 위한 정책 수요 218

[그림 5-2] 국외 한국어교육 교류협력망 구축을 위한 정책 방향 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