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01. 과업개요 17

1.1. 과업추진 배경과 목적 18

1.2. 과업의 법적 위상과 범위 19

1.3. 과업진행일정 20

02. 경상남도 건축자산 현황과 보전 및 활용사례분석 21

2.1. 건축자산의 개념 및 특성 22

2.1.1. 건축자산 개요 22

2.1.2. 건축자산의 개념 및 시간적 범위 설정 23

2.2. 건축자산 관련법규 및 관련계획 24

2.2.1. 건축자산 관련법규 24

2.2.2. 건축자산 관련정책 및 계획 34

2.3. 국내외 사례조사 및 분석 49

2.3.1. 건축자산 현황 및 문제점 49

2.3.2. 사례조사 선정기준과 대상 50

2.3.3. 건축자산 보전 및 활용 국내사례 51

2.3.4. 건축자산 보전 및 활용 외국사례 65

2.3.5. 사례종합 및 시사점 105

2.3.6. 국내외 사례분석을 통한 건축자산 보전 및 활용 요소 도출 108

2.4. 설문조사 및 분석 110

2.4.1. 설문조사 개요 110

2.4.2. 설문조사 분석 및 결과 110

03. 경상남도 건축자산 기초조사 및 목록구축 114

3.1. 경상남도 건축자산 기초조사 및 로드맵 115

3.1.1. 경상남도 건축자산 기초조사의 원칙 및 방향 115

3.1.2. 건축자산의 유형화 및 분류체계 117

3.1.3. 경상남도 건축자산 발굴대상과 방법 122

3.2. 건축자산 가치기준 설정 및 현장조사 로드맵에 따른 현장조사 125

3.2.1. 건축자산 분포현황 및 지역별ㆍ유형별 특성 125

3.2.2. 경상남도 건축자산 가치기준 설정 129

3.3. 경상남도 건축자산 목록구축 및 관리방안 133

3.3.1. 경상남도 건축자산 목록구축 및 관리방향 설정 133

3.3.2. 경상남도 건축자산 목록구축 및 유지ㆍ관리방안 134

3.3.3. 경상남도 우수건축자산 후보군 목록구축 및 주요사업 방안 도출 171

04. 경상남도 건축자산 진흥 시행계획(2022년~2026년) 181

4.1. 경상남도 건축자산 진흥 시행계획 기본구상 182

4.1.1. 건축자산 진흥 시행계획 수립 상의 문제점 및 상위계획 검토 182

4.1.2. 경상남도 건축자산 진흥 시행계획(2022년~2026년)의 추진방향과 목표 187

4.1.3. 경상남도 건축자산 진흥 시행계획 추진전략과 과제 188

4.2. 경상남도 건축자산 체계적 보전ㆍ활용 및 조성방안 189

4.2.1. 경상남도 건축자산의 유형화 및 정책적, 제도적 보전ㆍ관리 189

4.2.2. 입지 및 대상특성별 경상남도 건축자산 체계적 보전ㆍ활용방안 192

4.2.3. 건축자산 활용 도시재생 연계 및 보존전략 197

4.2.4. 도시재생 연계사업 210

4.2.5. 한옥 진흥방안 235

4.3. 지역별, 주체별 경상남도 건축자산 진흥 시행계획 243

4.3.1. 경상남도 건축자산 진흥 시행계획의 지역별 정책 및 역점 추진과제 243

4.3.2. 경상남도 건축자산 활용 주체별 역할 255

4.4. 경상남도 건축자산 진흥 시행계획 운영ㆍ관리방안 258

4.4.1. 건축자산 운영기준 258

4.4.2. 우수건축자산 운영 및 관리 261

4.4.3. 건축자산 진흥구역 운영기준 263

4.4.4. 참여소통 프로그램 운영 265

4.4.5. 건축자산 정보체계 구축ㆍ운영 방안 266

05. 경상남도 건축자산 정책적, 제도적 정비방안 267

5.1. 경상남도 건축자산의 보전ㆍ활용 및 조성을 위한 지원제도 정비 268

5.1.1. 경상남도 건축자산 지원제도의 문제점 268

5.1.2. 경상남도 우수건축자산의 보전ㆍ활용 및 조성을 위한 지원제도 정비 274

5.2. 경상남도 우수건축자산의 지원 및 재원 조달방안 292

5.2.1. 경상남도 우수건축자산 개발ㆍ활용을 위한 기준 및 지원방안 292

5.2.2. 경상남도 건축자산 보존ㆍ활용 가이드라인 304

5.2.3. 경상남도 우수건축자산 보전ㆍ활용 및 조성을 위한 재원 조달방안 311

5.3. 경상남도 건축자산 진흥 시행 연차별(2022년~2026년) 계획 314

5.3.1. 경상남도 건축자산 진흥 시행 연차별(2022년~2026년) 수립의 기본방향 314

5.3.2. 경상남도 건축자산 진흥 시행 연차별(2022년~2026년) 계획 315

[부록 1] 착수보고 자문의견 및 조치사항 317

[부록 2] 중간보고(1차) 자문의견 및 조치사항 318

[부록 3] 중간보고(2차 서면) 자문의견 및 조치사항 319

[부록 4] 건축정책심의위원회 심의의견 및 조치사항 321

[부록 5] 최종보고회 자문의견 및 조치사항 322

표목차

표 1.1. 과업의 범위 19

표 1.2. 과업진행일정 20

표 2.1. 우수건축자산의 가치(한옥 등 건축자산의 진흥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7조 제1항관련) 25

표 2.2. 우수건축자산 및 건축자산진흥구역에 대한 관계 법령의 특례(법 제14조) 26

표 2.3. 국가등록문화재 등록가치 공통 및 기타 주요기준(지침 제4조~제10조) 28

표 2.4. 건축정책의 기본방향(제2장 제7조~제9조) 29

표 2.5. 한옥 건축 및 한옥마을 조성 지원(조례 제9조 제1항) 30

표 2.6. 관련법규에 따른 경상남도 건축자산 진흥 시행계획상의 적용범위 및 대상 32

표 2.7. 제2차 건축자산 진흥정책의 문제점과 원인 진단 34

표 2.8. 건축자산과 한옥의 주요 정책이슈와 대응방안 35

표 2.9. 건축자산, 한옥 진흥을 위한 정책추진 현황 35

표 2.10. 건축자산, 한옥 진흥을 위한 중장기 추진 방향 36

표 2.11. 계획의 비전-목표-추진전략 36

표 2.12. 건축자산 진흥을 위한 전략별 추진과제 37

표 2.13. 한옥 등 건축자산법에 따른 주요 심의 38

표 2.14. 문화재 등록제도와 지정제도의 비교 39

표 2.15. 선(線)ㆍ면(面) 단위 문화재 등록대상과 내용 41

표 2.16. 미래유산의 유형 42

표 2.17. 미래유산 선정과정상 예상 문제점과 해결방안 46

표 2.18. 국가중요농업유산 지정현황 48

표 2.19. 건축자산 및 도심거리의 보전ㆍ활용과 정체성 확보 국내외사례 50

표 2.20. 대구 중구 근대로(路)의 여행 - 역사가로환경 재생형(선적 유산활용) 55

표 2.21. 전주 옛 도심(풍남문~객사) 역사문화거리 56

표 2.22. 대구 북성로 삼덕상회(태영철망) 리노베이션 - 건축자산중심 거점확산형(거점유산 활용) 57

표 2.23. 포항 구룡포 근대문화역사거리 - 역사가로환경 재생형(선적 유산활용) 58

표 2.24. 인천 개항누리길 - 면단위 지구관리형(면적, 선적 유산 활용) 59

표 2.25. 완주 삼례문화예술촌 - 면단위 지구관리형(소규모 면적 유산 활용) 60

표 2.26. 서울 돈의문 박물관마을 - 면단위 지구관리형(소규모 면적 유산 활용) 61

표 2.27. 조선식산은행 대구지점(현 대구근대역사관) - 건축자산중심 거점확산형(중규모 점적유산활용) 62

표 2.28. 이상화 고택 - 건축자산중심 거점확산형(소규모 점적유산 활용) 63

표 2.29. 국내 건축자산 활용 유형 요약 64

표 2.30. 멜버른 헤리티지오버레이(Heritage Overlay)상 도심주변지역의 유산관리 등급 66

표 2.31. 메인스트리트 프로그램의 4대전략과 8대원칙 68

표 2.32. 시정촌 지역의 역사적 풍치 지속향상계획상의 지원사업 69

표 2.33. 국외 건축자산 활용 유형 요약 71

표 2.34.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팩토리(Sapporo factory) 72

표 2.35. 프랑스 르아브르 독보방쇼핑센터(Le Havre Docks Vauban Shopping Center) 73

표 2.36. 프랑스 파리 베르시빌라주(Bercy Village) 74

표 2.37. 싱가폴 클라크키(Clarke Quay) 75

표 2.38. 싱가폴 라우파삿(Lau Pa Sat) 76

표 2.39. 싱가폴 차임스(CHIJMES) 77

표 2.40. 싱가폴 탄종파가르(Tanjong Pagar) 78

표 2.41. 일본 요코하마 아카렌가소코(赤レンガ倉庫) 79

표 2.42. 포르투갈 리스본 전기박물관(Museo de Electricidade - Electricity Museum) 80

표 2.43. 노르웨이 트론헤임 국립록음악박물관(Rochheim, Rock Museum) 81

표 2.44. 스페인 빌바오 아스쿠나센터(Azkuna Zentroa, 2015년 명칭변경) 82

표 2.45. 일본 나고야 도요타 산업기술기념관(トヨタ産業技術記念館) 83

표 2.46. 덴마크 코펜하겐 Sjakket Youth Club 84

표 2.47. 오스트리아 비엔나 가소메타 주거단지(Gasometers in Vienna) 85

표 2.48. 스위스 취리히 Puls 5 Technopark 86

표 2.49. 스위스 바젤 Transitlager 87

표 2.50. 덴마크 코펜하겐 제미니 레지던스(Gemini Residence) 88

표 2.51. 중국 베이징 798예술구와 751 D-PARK 89

표 2.52. 독일 뒤스부르크 노드랜드스케이프파크(Landschaftspark Duisburg-Nord) 90

표 2.53. 일본 나고야 노리다케의 숲(ノリタケの森) 91

표 2.54. 대만 타이베이 송산문창원구(松山文創園區) 92

표 2.55. 프랑스 파리 프로머나드 플랑테(Promenade plantee) 93

표 2.56. 미국 뉴욕 하이라인(High Line) 94

표 2.57. 스위스 취리히 Markthalle Im Viadukt 95

표 2.58. 일본 규슈 모지코 레트로라인(レトロ観光線) 96

표 2.59. 중국 소주 산당가(苏州 山塘街, Suzhou Santang) 97

표 2.60. 대만 타이베이 보피랴오 역사거리(剝皮寮歷史街區) 98

표 2.61. 일본 교토 기요미즈데라(清水寺) 주변 거리 99

표 3.62. 일본 가나자와(金沢) 히가시차야(東茶屋) 거리 100

표 2.63. 일본 나가사키 글로버가든(Glover Garden) 101

표 2.64. 스타벅스 일본 고베 기타노이진칸점(神戸北野異人館店) 102

표 2.65. 노르웨이 릴레함메르 마이하우겐 야외민속박물관(Maihaugen Open-Air Museum) 103

표 2.66. 국외 건축자산 활용 유형 요약 104

표 2.67. 우리나라 건축자산 관련 문제점 요약 108

표 2.68. 국내외 사례분석을 통한 건축자산 보전 및 활용 개선방안 109

표 2.69. 건축자산 인지도에 대한 분석 111

표 2.70. 건축자산 지정 및 보존활용 관련 분석 111

표 2.71. 보존방안 및 우선시되야하는 정책 112

표 3.1. 한옥 등 건축자산의 진흥에 관한 법률에 의한 건축자산의 유형 117

표 3.2. 건축자산정보체계구축 매뉴얼 118

표 3.3. 경상남도 각 시군별(구별) 분류번호 120

표 3.4. 건축자산 시설유형별 정리번호 120

표 3.5. 목록화 대상 건축자산 현황 121

표 3.6. 조사 기본정보와 방법 122

표 3.7. 신규 건축자산 선정기준 및 대상사례 124

표 3.8. 경상남도 시군 건축자산 현황(2022년 2월기준) 125

표 3.9. 동부권역 경상남도 건축자산의 유형 특징 128

표 3.10. 경상남도 건축자산 평가항목 및 평가기준 129

표 3.11. 국가등록문화재 등록가치 공통 및 기타 주요기준(지침 제4조~제10조) 130

표 3.12. 경상남도 건축자산 가치평가 세부항목과 항목별 평가내용 131

표 3.13. 경상남도 건축자산 평가단계 및 평가방법 132

표 3.14. 경상남도 건축자산 평가등급별 기준 132

표 3.15. 선과 면단위(가로 및 지구) 건축자산 평가등급별 기준 132

표 3.16. 경상남도 건축자산 세부 유형분류 135

표 3.17. 경상남도 창원시 창원지역 건축자산 목록 138

표 3.18.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지역 건축자산 목록 142

표 3.19. 창원시 진해지역 건축자산 목록 146

표 3.20. 경상남도 김해시 건축자산 목록 150

표 3.21. 경상남도 밀양시 건축자산 목록 154

표 3.22. 경상남도 양산시 건축자산 목록 158

표 3.23. 경상남도 통영시 건축자산 목록 158

표 3.24. 경상남도 진주시 건축자산 목록 160

표 3.25. 경상남도 사천시 건축자산 목록 160

표 3.26. 경상남도 거제시 건축자산 목록 162

표 3.27. 경상남도 의령군 건축자산 목록 162

표 3.28. 경상남도 함안군 건축자산 목록 162

표 3.29. 경상남도 창녕군 건축자산 목록 164

표 3.30. 경상남도 고성군 건축자산 목록 164

표 3.31. 경상남도 남해군 건축자산 목록 164

표 3.32. 경상남도 하동군 건축자산 목록 166

표 3.33. 경상남도 산청군 건축자산 목록 166

표 3.34. 경상남도 함양군 건축자산 목록 166

표 3.35. 경상남도 거창군 건축자산 목록 168

표 3.36. 경상남도 합천군 건축자산 목록 168

표 3.37. 경상남도 창원시 창원지역 건축자산 가치평가표 171

표 3.38.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지역 건축자산 가치평가표 172

표 3.39.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지역 건축자산 가치평가표 173

표 3.40. 경상남도 밀양시 건축자산 가치평가표 174

표 3.41. 경상남도 김해시 건축자산 가치평가표 175

표 3.42. 경상남도 양산시 건축자산 가치평가표 176

표 3.43. 2022년 경상남도 우수건축자산 후보군 목록-창원시 178

표 3.44. 2022년 경상남도 우수건축자산 후보군 목록-김해시, 밀양시, 양산시 178

표 3.45. 건축자산 구분에 따른 세부조사 항목 179

표 4.1. 건축자산 재정지원 관련규정 검토 183

표 4.2. 경남 건축자산을 활용한 지역정체성 확보 실천과제와 주요내용 186

표 4.3. 경상남도 건축자산 진흥 시행계획 추진목표 및 방법 187

표 4.4. 점단위 근대건조물 평가등급별 기준 190

표 4.5. 선과 면단위(가로 및 지구) 건축자산 평가등급별 기준 190

표 4.6. 건축자산의 정책적, 제도적 보전ㆍ관리방안 요약 191

표 4.7. 근대역사 특화거리 조성방향 195

표 4.8. 입지 및 대상특성에 따른 경상남도 건축자산 체계적 보전ㆍ활용 방안 요약 196

표 4.9. 건축자산을 활용한 특화거리 조성 200

표 4.10. 스토리텔링(Storytelling) 구축과정 201

표 4.11. 우리나라 도시별 건축자산(근대문화유산) 활용 스토리텔링과 테마 202

표 4.12. 건축자산을 활용한 스토리 투어 203

표 4.13. 건축자산공원 조성대상지 검토 208

표 4.14. 경상남도 도시재생 뉴딜사업 대상지 현황(2022년 도시재생 뉴딜 공모대상 22곳) 211

표 4.15. 경상남도 '22년 도시재생 뉴딜사업 공모 예정사업 211

표 4.16. 경상남도 '22년 도시재생 뉴딜사업 공모 대상지 건축자산 대상지 현황 212

표 4.17. 경상남도 도시재생사업 선정지역 중 건축자산 보전 및 활용 대상지 212

표 4.18. 경상남도 건축자산 보전 및 활용 선정 대상지 213

표 4.19. 마산화교소학교 현황사진 214

표 4.20. 마산화교소학교 도입시설 상세 216

표 4.21. 마산화교소학교 기본구상 내용 216

표 4.22. 마산화교소학교 사업추진비용 218

표 4.23. 마산어시장 객주창고 현황사진 220

표 4.24. 마산어시장 객주창고도입시설 상세 221

표 4.25. 마산어시장 객주창고 사업추진비용 224

표 4.26. 원동무역사옥 현황사진 225

표 4.27. 기존 건축물을 활용한 원동무역사옥 정비계획 226

표 4.28. 원동무역사옥 사업추진비용 228

표 4.29. 진해군항 및 도시계획 현장사진 232

표 4.30. 진해군항 및 도시계획구역 사업추진비용 234

표 4.31. 서울시 '한옥 유지관리 매뉴얼'의 점검표 사례 239

표 4.32. 경상남도 한옥 진흥 방안 요약 242

표 4.33. 경상남도 건축자산 진흥 활성화 정책 역점과 세부 추진과제 244

표 4.34. 경상남도 건축자산 전역 대상으로 공통 정책 역점과 세부 추진과제 246

표 4.35. 창원시 창원지역 건축자산 진흥 활성화 정책 역점과 세부 추진과제 246

표 4.36. 창원시 마산지역 건축자산 진흥 활성화 정책 역점과 세부 추진과제 247

표 4.37. 창원시 진해지역 건축자산 진흥 활성화 정책 역점과 세부 추진과제 247

표 4.38. 밀양시 건축자산 진흥 활성화 정책 역점과 세부 추진과제 248

표 4.39. 양산시 건축자산 진흥 활성화 정책 역점과 세부 추진과제 248

표 4.40. 김해시 건축자산 진흥 활성화 정책 역점과 세부 추진과제 249

표 4.41. 밀양시 내 철도관사 건축자산 현황 및 특성 249

표 4.42. 밀양시 철도관사 건축자산 현황사진 251

표 4.43. 7704 간판(구 양산면사무소) 건축자산 현황사진 252

표 4.44. 건축자산법에 따른 업무영역의 확대 내용 255

표 4.45. 건축자산 기초조사표(건축물, 기반시설, 공간환경) 259

표 4.46. 경상남도 건축자산 DB 등록 및 관리체계 260

표 4.47. 건축자산법 시행규칙[별지 제6호서식] 262

표 5.1. 한옥등 건축자산의 진흥에 관한 법률상 주요 내용 269

표 5.2. 경상남도 한옥 등 건축자산의 진흥 조례상 주요 내용 272

표 5.3. 경상남도 한옥 등 건축자산의 진흥에 관한 조례 개정방안 요약 283

표 5.4/표 5.3. 경남건축문화제의 우수건축자산 프로그램 상설화 방안 예 300

표 5.5/표 5.4. 경상남도 건축자산 관련 지역 거버넌스 구축(안)과 주요 사업 301

표 5.6/표 5.5. 제2차 건축자산 진흥계획과 경상남도 건축자산 진흥 시행계획의 추진전략 연계내용 303

표 5.7/표 5.6. 경상남도 건축자산진흥 시행 연차별(2022년~2026년) 추진일정 및 사업비 315

그림목차

[그림 2.1] 경상남도 건축자산 철거사례 22

[그림 2.2] 건축자산의 시간적 범위 23

[그림 2.3] 서울시 미래유산 선정절차 43

[그림 2.4] 정책과제 등 목표체계 44

[그림 2.5] 미래유산의 유형별 보전관리체계 46

[그림 2.6] 농업유산 후보지역 분포도 47

[그림 2.7] 명동 관광특구 내 건축자산 현황 52

[그림 2.8] 대구시 중구 일대 근대문화유산 분포도 53

[그림 2.9] 차이나타운 주변 건축물 외관 지침 사례 54

[그림 2.10] 역사도시만들기 법운영 체계 69

[그림 3.1] 창원 주남교 전경 116

[그림 3.2] 경상남도 건축자산 기초조사 및 우수건축자산 선정 프로세스 123

[그림 3.3] 1980년대 창원시청 전경 124

[그림 3.4] 경상남도 창원시 창원도시지역 건축자산 분포현황도 136

[그림 3.5] 경상남도 창원시 창원농촌지역 건축자산 분포현황도 137

[그림 3.6]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지역 전체 건축자산 분포현황도 140

[그림 3.7]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도심지역 건축자산 분포현황도 141

[그림 3.8]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지역 전체 건축자산 분포현황도 144

[그림 3.9]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도심지역 건축자산 분포현황도 145

[그림 3.10] 경상남도 김해시 도시(구도심)지역 건축자산 분포현황도 148

[그림 3.11] 경상남도 김해시 농촌지역 건축자산 분포현황도 149

[그림 3.12] 경상남도 밀양시 도시지역 건축자산 분포현황도 152

[그림 3.13] 경상남도 밀양시 농촌지역 건축자산 분포현황도 153

[그림 3.14] 경상남도 양산시 도시지역 건축자산 분포현황도 156

[그림 3.15] 경상남도 양산시 농촌지역 건축자산 분포현황도 157

[그림 3.16] 경남관광 길잡이-2015년 구축한 근대건축문화유산 웹사이트 관련 정보공유 플랫폼화 170

[그림 3.17] 2022년 경상남도 우수건축자산 후보군 분포 현황 177

[그림 4.1] 경상남도 건축자산 진흥 시행계획 수립단계 및 추진내용 188

[그림 4.2] 역사문화유산과 도시재생과의 연관관계 197

[그림 4.3] 문화적 도시재생사업 추진방향 및 전략 199

[그림 4.4] 체험형 문화공간 조성방안 200

[그림 4.5] 창원시 지역별 투어 프로그램 202

[그림 4.6] 우리나라 도시별 건축자산(근대문화유산) 활용 스토리텔링과 테마 202

[그림 4.7] 진해근대역사 문화거리투어 예시안 203

[그림 4.8] 건축자산 스토리투어(안) : 가) 근대역사문화거리 투어 204

[그림 4.9] 건축자산 스토리투어(안) : 나) 진해군항 근대문화유산 투어 204

[그림 4.10] 건축자산 스토리투어(안) : 다) 일제 강점기 군항도시 진해도시계획 투어 205

[그림 4.11] 건축자산 스토리투어(안) : 라) 근현대 창원국가산단 산업유산 투어 205

[그림 4.12] 건축자산 스토리투어(안) : 마) 마산산업유산투어 206

[그림 4.13] 건축자산 스토리투어(안) : 바) 창원 근현대 문화예술투어 206

[그림 4.14] 건축자산 스토리투어(안) : 사) 원마산 골목투어 207

[그림 4.15] 건축자산 스토리투어(안) : 아) 창원 역사마을길 투어 207

[그림 4.16] 창원지역내 도심공원현황도 208

[그림 4.17] 마산화교소학교 시설현황 215

[그림 4.18] 마산화교소학교 부지현황 및 주요 진입로 계획 217

[그림 4.19] 마산화교소학교 세부공간 프로그램 217

[그림 4.20] 마산어시장 객주창고 주변 탐방로 현황 219

[그림 4.21] 마산어시장 객주창고 시설 및 주변 현황 220

[그림 4.22] 마산어시장 객주창고 대상지 현황 222

[그림 4.23] 마산어시장 객주창고 대상지 주변과 문화벨트 조성 계획 222

[그림 4.24] 마산어시장 객주창고 공간 구상안 223

[그림 4.25] 마산어시장 객주창고 세부계획 223

[그림 4.26] 원동무역사옥 대상지 주변과 문화벨트 조성계획 227

[그림 4.27] 원동무역사옥 공간구상(안) 227

[그림 4.28] 진해 충무동 일원 건축자산 분포현황 및 주변 계획 228

[그림 4.29] 진해 충무동 일원 관련계획 229

[그림 4.30] 충무지구 건축경관 통합 마스터플랜상 진해군항 및 도시계획 관련 주요내용 230

[그림 4.31] 진해군항 및 도시계획 항공사진 231

[그림 4.32] 진해군항 및 도시계획구역 건축자산 분포현황 232

[그림 4.33] 진해군항 및 도시계획구역 마스터플랜 계획(안) 233

[그림 4.34] 진해군항 및 도시계획구역 슬로건 및 CI(예시) 233

[그림 4.35] 서울시 온라인 서울한옥포털 구축 사례 238

[그림 4.36] 경상남도 건축자산 진흥 시행계획의 건축자산 진흥 5대 핵심전략 및 정책 역점 243

[그림 4.37] 양산북부지구 도시재생뉴딜사업 총괄도 254

[그림 4.38] 문화역사플랫폼 조성사업 254

[그림 4.39] 경상남도 부서별 사업 역할도 256

[그림 4.40] 경상남도 민관협력 네트워크 257

[그림 4.41] 건축자산 선정절차 258

[그림 4.42] 건축자산 데이터베이스(DB) 관리체계 260

[그림 4.43] 우수건축자산 등록 프로세스 261

[그림 4.44] 건축자산 진흥구역 지정 절차 263

[그림 4.45] 건축자산 진흥구역 관리계획의 수립절차 264

[그림 5.1] 진해 충무지구 건축자산진흥구역 범위 및 분포도(충무지구 건축경관 마스터플랜, p.19) 296

[그림 5.2] 건축자산 분포특성 307

[그림 5.3] 철거 및 부분개조 기준 307

[그림 5.4] 저층부 외관 및 진입로 309

[그림 5.5] 담장의 유형과 보존 310

[그림 5.6] 건축자산 역사유적터(표지석) 표시 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