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정신보건법 제24조 제1항과 제2항에 대한 헌법불합치결정과 신체의 자유의 객관적 가치질서로서의 의미 Ⅰ. 서론 Ⅱ. 정신보건법 제24조 제1항과 제2항에 대한 헌법불합치결정의 요지 Ⅲ. 정신보건법 제24조 제1항과 제2항의 위헌성에 대한 사견과 헌법재판소결정에 대한 평가 Ⅳ. 정신보건법에 대한 전문개정(정신건강복지법)과 입법자의 입법개선의무 Ⅴ. 결론
5 고령자의 의사결정지원을 위한 성년후견제도의 활용과 신탁제도의 이용방안 Ⅰ. 고령자들이 직면하는 위험 Ⅱ. 성년후견제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Ⅲ. 고령자의 안전한 재산관리를 위한 신탁서비스 활용
6 보충성의 원칙에 입각한 후견종료사유 개선방안 Ⅰ. 서론
7 공익의 대표자로서의 검사의 민사법상 권한 현실화를 위한 제언 Ⅰ. 문제제기 Ⅱ. 검사의 민사법상의 역할을 규정한 현행법의 재분석 Ⅲ. 영국 및 독일의 국친사상과 취약한 개인에 대한 국가 보호 Ⅳ. 공익의 대표자로서의 검사의 민사법상의 역할 재정립: 공익지원전담부서의 설치 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