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저자들 소개

〈1부 서론과 역사적 개관〉
서론 CL?UDIO LAKS EIZIRIK (PORTO ALEGRE)
1 비온의 담는 것과 담기는 것 개념의 발달 _ LAWRENCE J. BROWN (NEWTON)
2 담아주기 개념의 뿌리로서의 외상: 비온 초심리학의 진화 _ DORIT SZYKIERSKI (TEL AVIV-YAFO)
3 윌프레드 비온의 “분기점”- 공개 강의에서부터 출판된 문헌까지(1975-1977) _ JOSEPH AGUAYO (LOS ANGELES)

〈2부 임상적 과정〉
4 담는 것-담기는 것 개념의 변천과 장 이론 _ANTONINO FERRO (PAVIA)
5 “환상의 커튼”으로서의 꿈꾸기: 비온의 안내를 따라 “왕도”를 재방문하기 _ JAMES S. GROTSTEIN (LOS ANGELES)
6 분석상황에서의 심리적 격랑_ RAUL HARTKE (PORTO ALEGRE)
7 두 사람을-위한-것이-아닌-꿈, 실연 그리고 분석가의 암묵적 알파-기능에 대한 성찰_ ROOSEVELT M. S. CASSORLA (CAMPINAS)

〈3부 병리적 상태들〉
8 원시적 양심: 근원적 마음에 대한 일별_ JOS? AM?RICO JUNQUEIRA DE MATTOS (SAO PAULO)와 JO?O CARLOS BRAGA(CURITIBA)
9 뒤집힌 담는 것-담기는 관계 -(♀♂): 윌프레드 비온의 강력한 개념의 발달과 적용 _ ALESSANDRO BRUNI (ROME)
10 낭만적 도착倒錯 : -L에 기초한 병리적 조직 - 담아주기와 시간 경험에 대한 성찰 - HEINZ WEISS (STUTTGART)
11 분기점, 부인 그리고 시기심_ RENATO TRACHTENBERG (PORTO ALEGRE)

〈4부 유아와 아동분석〉
12 유아관찰 : 파국적 변화에 대한 면밀한 검토 _ MARIANNE ROBINSON (SEATTLE)
13 위협으로 느껴지는 변화: 진전을 외상으로 경험하는 환자들에 대한 접근 _ ANGELIKA STAEHLE (DARMSTADT)

〈5부 응용 연구들〉
14 의미와 형태: 예술의 담아주기 기능 _ MARGOT WADDELL (LONDON)
15 형태가 가진 힘: 현대 히브리문학에서의 쇼아Shoah _ BEATRIZ PRIEL (TEL AVIV)

〈6부 마지막 사고〉
16 되돌아보기, 앞을 내다보기 _ HOWARD B. LEVINE (BROOKLINE)

찾아보기

이용현황보기

담는 것/담기는 것 안에서의 성장과 격랑 : 비욘의 유산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034545 150.195092 -23-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3034546 150.195092 -23-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B000087998 150.195092 -23-3 부산관 종합자료실(1층)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윌프레드 비온은 지그문트 프로이트 이후 가장 많이 인용되는 저자이다. 알파 기능, 깨어있는 꿈 사고에 대한 그의 공식화와 생각하기 및 담는 것/담기는 것에 대한 이론은 정신적 기능과 근원적 마음에 관한 탐구에 뿐만 아니라, 정신분석적 이론과 임상의 정교화에도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입증해왔다.

『담는 것/담기는 것 안에서의 성장과 격랑: 비온의 유산』은 2009년 보스턴에서 열린 국제 비온 학회에서 발표된 논문들을 기초로 한 것이며, 뛰어난 국제 비온 학자들과 전문가 그룹의 가장 최근 생각들을 보여준다. 이 책은 역사적/자전적 주제부터 임상, 이론, 발달론, 문화, 미학적 주제에 이르는 비온의 지적 체계에 관한 가장 최근 트렌드를 담고 있다.

『담는 것/담기는 것 안에서의 성장과 격랑: 비온의 유산』은 정신분석 분야에서 추가적인 창조적 탐구를 위한 필수적인 자극을 제공함으로써 정신분석 임상가, 정신분석 졸업생, 정신분석 훈련생, 정신분석 심리치료사, 그리고 모든 학파의 학자들에게 특별한 흥미를 불러일으킬 것이다.

책속에서

알라딘제공
비온은 유아기 환상에 대한 클라인 이론에서 벗어나면서, 그의 사고 이론을 발달시켰다. 그는 진실의 출현과 정신의 성장이라는 두 가지 원리를 강조하면서, 분석적 시간을 출발점으로 사용했다. 그에 따르면, 마음은 진실에 노출되는 것을 통해서 성장하고, 정신적 발달과 진실 모두를 위한 토대는 정서적 경험이다(Bion, 1962).
담는 것/담기는 것 개념은 비온의 사고이론에서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데, 사고가 전-관념과 현실의 짝짓기로 구성된다는 이 개념은 사고에 대한 관념과 이론의 구축을 향한 발걸음으로 인도한다. 독자는 이 책에서 세계 여러 다른 지역들 출신의 저자들이 쓴 일련의 논문들을 만날 것인데, 그 논문들 안에는 비온의 사고가 어떻게 새로운 아이디어를 관찰하고 발달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정점들을 열어주는지를 잘 보여주는, 임상적 세팅, 정상적 발달, 문화적이고 미학적 경험에서 이끌어낸 생생한 자료와 함께, 성장, 격랑 그리고 담는 것/담기는 것 개념들의 명료화가 추구되는 것을 발견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