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지] 1

머리말 / 김선미 2

목차 3

I. 서론 14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4

2. 연구의 내용 및 범위 19

3. 연구 방법 20

가. 문헌연구 22

나. 초점집단면접(FGI) 22

다. 설문조사 22

라. 델파이 조사 23

마. 연구진 협의회 23

4. 관련 선행 연구 분석 24

5.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26

6. 연구 추진 일정 27

II. 국내 및 국외 관련 법령과 매뉴얼 분석 30

1. 장애학생 현장실습 운영 30

가. 법적 근거 30

나. 현장실습 유형 37

2. 17개 시도교육청 장애학생 현장실습 관련 지침 분석 37

가. 분석 대상 37

나. 연구방법 및 분석절차 38

다. 분석 결과 39

3. 특수교육대상자 현장실습 운영 개선 방안(2019)과 직업계고 현장실습 매뉴얼(2022)의 비교 43

가. 기본내용 43

4. 해외 법령 및 매뉴얼 분석 53

가. 미국 연방 법령 분석 53

나. 지방자치 법규 분석 58

5. 국내·외 현장실습 운영 비교 63

가. 한국과 미국의 현장실습 유형 비교 63

나. 한국의 「직업교육훈련 촉진법」과 미국의 Strengthening Career and Technical Education for the 21st Century Acts(Perkins V) 비교 64

다. 한국의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과 미국의 Individual with Disabilities Education Act(IDEA) 비교 66

라. Minnesota, Virginia, Oklahoma 현장실습 가이드라인 비교 67

6. 논의 및 시사점 68

가. 현장실습운영위원회 측면 68

나. 현장실습운영 현장실습운영위원회 측면 69

다. 현장실습 운영비 측면 69

라. 온라인 통합 지원 서비스 70

마. 유형별 현장실습 운영 방안 측면 70

바. 해외 비교 측면 71

사. 기타 측면 71

III. 초점집단면담(FGI) 74

1. 연구 참여자 74

2. 사전조사서 분석결과 74

가. 현장실습 운영 75

나. 현장실습 지원 77

다. 지원 체계 79

라. 온라인 시스템 80

3. FGI 결과 82

가. 현장실습 운영 82

나. 현장실습 교육과정 연계 85

다. 현장실습 지원 체계 86

라. 현장실습 온라인 시스템 89

4. 논의 및 시사점 91

IV. 설문조사 94

1. 설문조사 문항 개발 94

2. 설문조사 본 문항 94

3. 설문조사 결과 95

가. 현장실습 운영 관련 99

나. 현장실습운영위원회 관련 122

다. 교육과정 연계 및 매뉴얼 관련 133

라. 시스템 관련 138

마. 연수 및 운영비 관련 141

바. 개방형 문항 146

4. 논의 및 시사점 150

V. 델파이 조사 154

1. 연구 방법 및 내용 154

가. 연구대상 154

나. 조사도구 154

다. 연구 절차 155

라. 자료 분석 155

2. 연구결과 155

가. 델파이 1차 조사 결과 155

나. 델파이 2차 조사 결과 167

3. 논의 및 시사점 178

VI. 제언 182

1. 연구 개요 182

2. 개선 방안 182

가. 현장실습 운영 시기와 기간 182

나. 현장실습운영위원회 구성 및 역할 183

다. 현장실습 유형 183

라. 현장실습 지원을 위한 전문 인력 확보 및 역할 강화 183

마. 연수 184

바. 교육과정 연계 운영 방안 184

사. 현장실습 예산 확보 185

아. 온라인 통합지원 시스템 기능 정비 185

자. 장애학생 인식 개선 및 사회적 지원 확대 186

참고문헌 190

부록 194

부록 1. FGI 사전 조사지 194

부록 2. 설문조사지 203

부록 3. 델파이 1차 조사지 222

부록 4. 델파이 2차 조사지 239

표목차 5

〈표I-1〉 연구의 내용과 범위 19

〈표I-2〉 연구 방법 20

〈표I-3〉 선행연구 목록 25

〈표I-4〉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26

〈표II-1〉 「초·중등교육법시행령」 관련 조항 30

〈표II-2〉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시행령」 중 의무교육 관련 조항 31

〈표II-3〉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시행령」 중 진로 및 직업교육 시설 관련 조항 31

〈표II-4〉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시행령」 관련 전공과 관련 조항 31

〈표II-5〉 「직업교육훈련 촉진법」 중 현장실습 운영 관련 조항 32

〈표II-6〉 「직업교육훈련 촉진법」 중 현장실습 산업체 선정 관련 조항 33

〈표II-7〉 「직업교육훈련 촉진법」 중 현장실습 계약 관련 조항 34

〈표II-8〉 「직업교육훈련 촉진법」 중 현장실습 시간 관련 조항 34

〈표II-9〉 「직업교육훈련 촉진법」 중 현장실습 산업체 현장지도 관련 조항 35

〈표II-10〉 「직업교육훈련 촉진법」 중 현장실습산업체의 책무 관련 조항 35

〈표II-11〉 「직업교육훈련 촉진법」 중 현장실습 안전교육 관련 조항 35

〈표II-12〉 「산업재해보상보험법」 관련 조항 36

〈표II-13〉 「산업교육진흥 및 산학연협력촉진에 관한 법률 시행령」 관련 조항 36

〈표II-14〉 현장실습의 유형 37

〈표II-15〉 17개 시도 특수교육대상자 현장실습 운영 지침 및 매뉴얼 목록 37

〈표II-16〉 분석틀 38

〈표II-17〉 2019-2022 특수교육대상자 현장실습 참여 학생 수 40

〈표II-18〉 2019-2022 현장실습처 유형 및 우수실습처 지정 현황 41

〈표II-19〉 시도교육청 별 운영지침 분석 42

〈표II-20〉 특수교육대상자와 직업계고 현장실습운영위원회 구성 비교 43

〈표II-21〉 특수교육대상자와 직업계고 현장실습운영위원회 역할 비교 44

〈표II-22〉 특수교육대상자와 직업계고 현장실습운영비 비교 46

〈표II-23〉 특수교육대상자와 직업계고 온라인 통합 지원 서비스 비교 47

〈표II-24〉 특수교육대상자와 직업계고 현장실습 유형 비교 49

〈표II-25〉 특수교육대상자와 직업계고 교내 직무체험형 현장실습(교내 현장실습) 비교 49

〈표II-26〉 특수교육대상자와 직업계고 교외 현장실습 비교 50

〈표II-27〉 특수교육대상자와 직업계고 실습 관련 서식 비교 51

〈표II-28〉 특수교육대상자와 직업계고 직무지도원(훈련지원인)과 기업현장교사 비교 53

〈표II-29〉 매뉴얼 제공 주와 담당부서 및 특수교육대상자 언급 주 54

〈표II-30〉 Perkins V 관련 조항 55

〈표II-31〉 ESSA 관련 조항 55

〈표II-32〉 WIOA 관련 조항 57

〈표II-33〉 Bulletin 101 관련 조항 58

〈표II-34〉 Minnesota 주 관련 조항 59

〈표II-35〉 Minnesota 주 WBL 관련 제공 문서 60

〈표II-36〉 Virginia 주 관련 조항 60

〈표II-37〉 Virginia 주 WBL 관련 제공 문서 61

〈표II-38〉 Oklahoma 주 관련 조항 62

〈표II-39〉 Oklahoma 주 WBL 관련 제공 문서 63

〈표II-40〉 한국과 미국의 현장실습 유형 비교표 64

〈표II-41〉 「직업교육훈련 촉진법」과 Perkins V 비교표 65

〈표II-42〉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과 IDEA 비교표 66

〈표II-43〉 Minnesota, Virginia, Oklahoma 현장실습 가이드라인 비교 68

〈표II-44〉 학교(교원)와 정부 기관(고용공단, 개발원 또는 노무사)의 구체적 역할 구분 예시 69

〈표III-1〉 FGI 전문가 위원의 인구학적 배경 74

〈표III-2〉 사전조사서 분석 결과 75

〈표III-3〉 FGI 분석 결과 82

〈표IV-1〉 설문 조사도구 하위영역별 구성 94

〈표IV-2〉 설문조사 참여자 기본사항 95

〈표IV-3〉 현장실습 지도시 변인 분석(다중응답) 96

〈표IV-4〉 지역, 소재지에 따른 현장실습 지도 경험 분석 97

〈표IV-5〉 지역, 소재지, 기타 분류에 따른 현장실습 연수 이수 여부 분석 98

〈표IV-6〉 현장실습 운영 유형 분석(다중응답) 99

〈표IV-7〉 소속 과정에 따른 현장실습 운영 유형 경험(다중응답) 99

〈표IV-8〉 현장실습을 운영한 실습처 구분(다중응답) 100

〈표IV-9〉 고등학교 특수교육대상자 인턴십 현장실습의 적절한 운영 시기 100

〈표IV-10〉 고등학교 특수교육대상자 인턴십 현장실습의 적절한 운영 기간 101

〈표IV-11〉 전공과 특수교육대상자 인턴십 현장실습의 적절한 운영 시기 102

〈표IV-12〉 전공과 특수교육대상자 인턴십 현장실습의 적절한 운영 기간 103

〈표IV-13〉 전공과 특수교육대상자 인턴십 현장실습의 적절한 취업 전환 시기 105

〈표IV-14〉 기본사항에 대한 기타문항 응답 105

〈표IV-15-1〉 검토 영역: 현장실습 유형 규정 106

〈표IV-15-2〉 검토영역: 행정절차 간소화 만족도 107

〈표IV-15-3〉 검토영역: 전환학기 및 특화교육과정 운영 만족도 107

〈표IV-15-4〉 검토영역: 나이스 장애학생 진로취업지원 시스템 만족도 108

〈표IV-15-5〉 검토영역: 취업기회 확대(정부주도 인턴십 등) 108

〈표IV-15-6〉 검토영역: 안전. 인권 지원 강화 109

〈표IV-15-7〉 검토영역: 학습중심 현장실습 매뉴얼 제공 110

〈표IV-15-8〉 검토영역: 현장실습 컨설팅 지원 강화 만족도 110

〈표IV-16〉 학습중심 현장실습 내용의 실행도, 중요도 조사 111

〈표IV-17-1〉 나이스 장애학생 진로취업지원 시스템 IPA 113

〈표IV-17-2〉 현장실습 지원을 위한 전문인력 배치(노무사, 취업지원관 등) IPA 113

〈표IV-17-3〉 교육과정 연계 현장실습의 운영 IPA 114

〈표IV-17-4〉 현장실습 운영을 위한 예산 확보 IPA 115

〈표IV-17-5〉 현장실습(우수)사업체 선정 과정에서의 학교 부담 완화 IPA 115

〈표IV-17-6〉 현장실습(우수)사업체 지정 및 선정 과정에서 시도교육청 역할 강화 IPA 116

〈표IV-17-7〉 지역사회 기반 현장실습 프로그램 운영 및 사업체 확보 IPA 117

〈표IV-18〉 유용하다고 판단되는 현장실습 유형 117

〈표IV-19〉 배치유형에 따른 현장실습 운영 구분 119

〈표IV-20〉 학교 부담 완화를 위한 지원 요구 120

〈표IV-21〉 교육 현장 변화를 고려할 때 추가·보완되어야할 부분 121

〈표IV-22〉 각 항목에 따른 학습중심 현장실습운영위원회의 실행도, 중요도 조사 122

〈표IV-22-1〉 현장실습 운영계획 심의 및 추진사항 점검 IPA 123

〈표IV-22-2〉 현장실습 참여 기관 심의 및 선정 IPA 124

〈표IV-22-3〉 현장실습 내용의 직무 연관성 및 교육과정과의 관련성 검토 IPA 125

〈표IV-22-4〉 학생의 현장실습 참여 심의(개별 학생의 참여기간, 참여 프로그램 등) IPA 125

〈표IV-22-5〉 평가보고회 등을 통한 당해년도 현장실습 자체진단 평가 및 결과공개 IPA 126

〈표IV-22-6〉 취업 전환 심의 IPA 126

〈표IV-23〉 현장실습운영위원회 구성 및 운영 측면의 개선 방안(다중응답) 127

〈표IV-24〉 노무사의 업무 수행 여부 128

〈표IV-25〉 특수교육대상자 현장실습 전담노무사 배치시 적절한 형태 129

〈표IV-26〉 현장실습운영위원회 학생 위원 참여 방안 130

〈표IV-27〉 사업체 사전 점검(사전실사) 방안 131

〈표IV-28〉 우수 사업체 사전 점검(사전실사) 방안 132

〈표IV-29〉 교육과정 연계 가능성 133

〈표IV-30〉 현장실습 사전교육(산업안전, 노동인권, 성희롱 예방 교육 등) 운영 정도 134

〈표IV-31〉 현장실습 임장 지도 실시 정도 135

〈표IV-32〉 현장실습 안전사고 처리 절차 인식 정도 136

〈표IV-33〉 사전교육 운영 방안 137

〈표IV-34〉 기업용 매뉴얼(직업계고 현장실습) 인지 유무 138

〈표IV-35〉 특수교육대상자 학습중심 현장실습 기업용 매뉴얼 개발 방안(다중응답) 138

〈표IV-36〉 나이스 장애학생 진로취업지원 시스템 사용 유무 138

〈표IV-36-1〉 나이스 장애학생 진로취업지원 시스템 기타 응답 139

〈표IV-37〉 나이스 장애학생 진로취업지원 개선 방안 139

〈표IV-38〉 나이스 장애학생 진로취업지원 시스템 미사용 이유 140

〈표IV-39〉 직업계고 학습중심 현장실습 관리시스템(하이파이브 Hifive) 관련 140

〈표IV-40〉 적절한 연수 운영 주체(기관) 141

〈표IV-41〉 연수 방식 적절성 142

〈표IV-42〉 필수 연수 지정에 대한 의견 143

〈표IV-43〉 학습중심 현장실습 연수 관련 문항 분석 143

〈표IV-44〉 현장실습 운영비의 학교 기본 경비 편성 여부 144

〈표IV-45〉 특수교육대상자 현장실습 예산(운영비) 관련 문항 분석 145

〈표IV-46〉 현장실습 운영비 관련 기타 응답 분석 145

〈표IV-47〉 개방형 문항의 번호 정리 146

〈표IV-48〉 개방형 문항 분석 결과 146

〈표V-1〉 연구대상자 개인 정보 154

〈표V-2〉 운영시기 및 운영기간 개선 방안 타당성조사 결과 156

〈표V-3〉 임장지도 개선 방안 타당성조사 결과 157

〈표V-4〉 현장실습운영위원회 개선 방안 타당성조사 결과 158

〈표V-5〉 현장실습 운영 유형 타당성 조사 결과 159

〈표V-6〉 현장실습운영위원회 역할 개선 방안 타당성조사 결과 160

〈표V-7〉 전담노무사 배치방식 개선 방안 타당성조사 결과 160

〈표V-8〉 전담노무사 역할 개선 방안 타당성조사 결과 161

〈표V-9〉 교육과정에 근거한 학습중심 현장실습 운영방안 타당성조사 결과 162

〈표V-10〉 사전교육 실시 타당성조사 결과 163

〈표V-11〉 교원 연수 실시 타당성조사 결과 164

〈표V-12〉 예산 확보를 통한 학교 지원 방안 타당성조사 결과 164

〈표V-13〉 현장실습 관련 개선 요구 사항 타당성조사 결과 165

〈표V-14〉 나이스 진로취업지원 시스템 개선 방안 타당성조사 결과 166

〈표V-15〉 특성화고·마이스터고 포털(Hifive-교육부) 연계·활용 개선 방안 타당성조사 결과 167

〈표V-16〉 운영시기 및 운영기간 개선 방안 타당성조사 결과 168

〈표V-17〉 임장지도 개선 방안 타당성조사 결과 169

〈표V-18〉 현장실습운영위원회 개선 방안 타당성조사 결과 170

〈표V-19〉 현장실습 운영 유형 타당성조사 결과 171

〈표V-20〉 전문인력 배치 방식 타당성조사 결과 171

〈표V-21〉 현장실습운영위원회 역할 타당성조사 결과 172

〈표V-22〉 전담노무사의 역할 타당성조사 결과 173

〈표V-23〉 교육과정에 근거한 학습중심 현장실습 운영방안 타당성조사 결과 173

〈표V-24〉 사전교육 실시 타당성조사 결과 174

〈표V-25〉 교원 연수 실시 타당성조사 결과 175

〈표V-26〉 예산 확보를 통한 학교 지원 방안 타당성조사 결과 176

〈표V-27〉 현장실습 관련 개선 요구 사항 타당성 조사 결과 176

〈표V-28〉 나이스 진로취업지원 시스템 개선 방안 타당성조사 결과 177

〈표V-29〉 특성화고·마이스터고 포털(Hifive-교육부) 연계·활용 개선 방안 타당성조사 결과 178

그림목차 10

[그림I-1] 범부처 취업지원 전달체계 및 장애학생 이력관리시스템 추진 체계도(안) 18

[그림I-2] 「특수교육대상자 학습중심 현장실습 개선 방안」 도출을 위한 연구 수행 체계도 21

[그림I-3] 연구 추진 일정 27

[그림II-1] 현장실습 우수산업체 지정 절차 안 45

[그림II-2] 직업계고의 노무사 역할 45

[그림II-3] 직업계고의 현장실습 우수산업체(선도기업) 선정 절차 46

[그림IV-1] 현장학습 실행도-중요도에 따른 IPA 산점도 112

[그림IV-2] 현장실습운영위원회의 실행도, 중요도에 따른 IPA 산점도 123

[그림V-1] 운영시기 및 운영기간 개선 방안 156

[그림V-2] 임장지도 개선 방안 157

[그림V-3] 현장실습운영위원회 개선 방안 158

[그림V-4] 특수교육대상자 학습중심 현장실습 운영 유형 개선 방안 159

[그림V-5] 현장실습운영위원회 역할 개선 방안 159

[그림V-6] 교육과정에 근거한 학습중심 현장실습 운영방안 개선 방안 도식 161

[그림V-7] 사전교육 실시 개선 방안 도식 162

[그림V-8] 교원 연수 실시 개선 방안 도식 163

[그림V-9] 예산 확보를 통한 학교 지원 방안 개선 방안 164

[그림V-10] 나이스 진로취업지원 시스템 개선 방안 166

[그림V-11] 특성화고·마이스터고 포털(Hifive-교육부) 연계·활용 개선 방안 167

[그림V-12] 운영시기 및 운영기간 개선 방안 도식 167

[그림V-13] 임장지도 개선 방안 169

[그림V-14] 현장실습운영위원회 개선 방안 170

[그림V-15] 특수교육대상자 학습중심 현장실습 운영 유형 171

[그림V-16] 현장실습운영위원회 역할 개선 방안 172

[그림V-17] 교육과정에 근거한 학습중심 현장실습 운영방안 개선 방안 도식 173

[그림V-18] 사전교육 실시 개선 방안 도식 174

[그림V-19] 교원 연수 실시 개선 방안 도식 175

[그림V-20] 예산 확보를 통한 학교 지원 방안 개선 방안 176

[그림V-21] 나이스 진로취업지원시스템 개선 방안 177

[그림V-22] 특성화고·마이스터고 포털(Hifive-교육부) 연계·활용 개선 방안 178

이용현황보기

특수교육대상자 학습중심 현장실습 개선 방안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049207 371.9 -23-6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3049208 371.9 -23-6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