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천도ㆍ9
성군의 탄생ㆍ17
제1차 왕자의 난ㆍ27
제2차 왕자의 난과 태종의 등극ㆍ37
경복궁의 봄ㆍ43
유모 이씨와 농촌 생활ㆍ54
충녕과 서연관 이수의 만남ㆍ68
수학(修學)ㆍ81
이두ㆍ한자의 이해ㆍ90
부자(父子)ㆍ106
세자 책봉ㆍ128
조선 4대 임금 세종ㆍ136
세종의 고뇌ㆍ139
집현전 설치ㆍ152
문자 혁명의 기틀을 다지다ㆍ162
스승 이수의 죽음ㆍ167
악인(樂人) 박연ㆍ173
정관보와 윤관 제작ㆍ183
선조(先組)의 정신 세계ㆍ189
신묘한 음의 세계ㆍ200
세종과 취옥ㆍ220
집현전 모임ㆍ226
성음 연구ㆍ235
재회ㆍ245
취옥, 후궁이 되다ㆍ255
웅혼한 민족ㆍ261
북악의 가을ㆍ276
글자꼴을 확정짓다ㆍ290
새 문자의 윤곽이 드러나다ㆍ307
별리ㆍ320
글자에 숨을 불어 넣다ㆍ333
제규약ㆍ342
반대 상소문ㆍ352
상소문에 대한 세종의 대처ㆍ357
용비어천가ㆍ363
위대한 임금, 위대한 글자ㆍ368
□ 작가의 말 : 우리 글이 있다는 기쁨ㆍ379

이용현황보기

(대통령의 선생님이 쓴) 소설 훈민정음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051028 811.33 -23-1590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3051029 811.33 -23-1590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1] 훈민정음 창제 이유와 목적
세종어제 훈민정음(世宗御製訓民正音)
나라의 말이 중국과 달라 한자와 서로 통하지 아니하므로
이런 까닭으로 어리석은 백성들이 이르고자 할 바가 있어도
마침내 제 뜻을 능히 펴지 못하는 사람이 많노라.
이를 가엾게 여겨 새로 스물여덟 글자를 만드노니
사람마다 쉽게 익혀 날마다 쓰는 것이 편안하게 하고자 할 따름이니라.

[2] 훈민정음(訓民正音)의 뜻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라는 뜻으로, 1443년에 세종이 창제한 우리나라 글자를 이르는 말이다.
1997년에 유네스코 세계 기록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우리나라 국보이다.

책속에서

알라딘제공
"유구한 역사의 흐름 속에 있었던 민족의 수난과 고려를 비롯한 수많은 나라의 흥망성쇄와
그리고 가깝게는 두 번의 피비린내 났던 왕자의 난과 외가의 참변과 양녕의 폐위와 그리고 처가의 몰락......등.
노도와 같은 이 물줄기는 과연 무엇 때문에, 누구를 위하여 이제껏 흘러오고 있는지 아십니까?
이는 오직 앞에 계신 전하를 위함 때문입니다."
대왕의 스승이었던 '이수'의 말이 떠오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