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1부 / 대한민국은 성공, 사회는 위기? 제1장 대한민국은 성공, 국력은 세계 6위 20 영국 5위, 한국 6위, 프랑스 7위, 일본 8위 20 동아시아 주변국에서 세계의 중심국으로 도약 21
제2장 자살, 우리 사회를 읽는 유행 코드 23 1997년말 외환위기 등 경제위기 때마다 자살률 폭등 23 10~20대 자살률, 4년 만에 40% 증가 26 2030세대 22.5% 자살 시도 28 자살예비군 급증이 핵심 포인트 29 50대 이상 남성 노인 자살률이 높다 30 2027년까지 자살률 30% 줄이겠다? 32 지난 8년간 출생신고 안 된 아기 2236명 33 자살자 통계, 신뢰할 수 있을까? 34 학생과 청소년 자살, 교육부와 경찰청 통계가 다르다 36 자살하면 모든 게 해결된다? 37
제3장 자살, 복합적인 사회병리현상 38 ‘묻지마 살인’ 급증, 길거리 다니기 겁난다 38 “사람을 죽여보고 싶었습니다” 40 부산 돌려차기 사건 40 스물셋 초등 교사의 안타까운 죽음, 무너진 교권 41 경제위기 넘어 사회위기로 44 인스타그램, ‘호텔 프로포즈’ 치면 해시태그(#)가 4만4000개 45 삶의 가치 1위 응답도 ‘경제적 능력’ 46 인간이 돈의 주인? 돈이 인간의 주인! 48 한국인의 최애最愛 가치는 ‘돈’ 50 행복학의 권위자 에드 디너 교수 52 “도움 받을 가족 ㆍ 친구 있는가?” OECD 가입국 중 ‘꼴찌’ 53 돈만 있으면 행복하다? 55 정신적 불행이 일상화된 사회? 56
제4장 자살 시도자들의 증언 58 자살 시도자 인터뷰 59 외아들의 자살 60 “한 번도 아픔을 말한 적 없다” 62 자살 시도했던 J양, 더 이상 자살을 생각하지 않는다 64 죽음을 정확하게 가르치는 것, 자살예방의 토대 65
/ 제2부 / 왜 자살해서는 안되는가 제1장 “왜 자살하면 안되나요? 정말 궁금합니다.” 70 자살자, 죽음을 어떻게 이해했는가 71 A 죽는 게 사는 것보다 낫다 73 B 세상과 결별한다 75 C 자살하면 고통에서 벗어난다 75 자살 예방 해법은 없는가? 76 자살의 근본원인, 죽음에 대한 잘못된 인식 78 자살예방 다큐 ‘자살, 한국 사회를 말하다’ 80
제2장 현대 정신건강의학의 최면치료 82 최면 치료 통한 임종 장면 회상 82 최면 치료 통한 자살 장면 회상 84 30대 여성, 태어나면서부터 우울했다? 85 최면치료 통해 우울증 원인 발견 87 어머니의 자살, 돌잡이에게도 깊은 상처를 남겼다 89 자살한 남편의 영혼을 만났다 91 “나는 자살을 많이 했다” 93 최면치료 전문가 김영우 박사(정신건강의학 전문의) 95 자살 선택이 왜 잘못인지, 차분히 교육해야 98 “자살하면 어떻게 되는가” 99
제3장 불교의 천도재와 구명시식 101 티베트 20대 여성, “자살해도 고통은 계속된다” 101 천장터 순례 티베트 가족 103 죽음, 삶의 자연스러운 과정 104 죽음 이해의 차이, 삶의 차이로 이어진다 106 구병시식 치유 과정, 영국 BBC 통해 전세계 방송 107 자살 충동에 17년간 시달린 여인 108 탤렌트 김수미, 빙의에 3년간 시달렸다 111 죽음 체험 프로그램 운영한다면 113 고산 스님이 경험한 사례 114 일미 스님이 경험한 사례 116 “자살하면 끝인 줄 알았는데.....” 117 아버지의 자살 이후 자살은 계속 이어졌다 118 소녀의 자살 이후 급사가 이어졌다 120
제4장 우리 사회와 역사를 함께 하는 민간신앙 122 가수 송가인의 어머니, 씻김굿 전수교육조교 123 무속, 많은 예술가의 상상력 자극 124 삶과 죽음, 씻김굿에서 조화롭게 구획된다 126 서울 한복판에서 ‘진도 씻김굿’ 풀어냈다 128 자살한 어머니, 죽어도 아들을 떠나지 못했다 129 “내가 혼이라니 웬말이요?” 131 자살예방 다큐 제작, 자살자 영혼을 초혼하다 132 동생의 자살 이후, 집안에 우환이 계속 이어졌다 135 자살자 영혼을 초혼한 무속인 136 자살하면 다음 삶에서 똑같은 과제를 만난다 137
/ 제3부 / 죽고 싶어 자살하는 사람은 없다 제1장 자살자가 원하는 것은 죽음이 아니다 142 자살자 유서 “자살은 최악의 선택” 144 자살자도 죽음이 두렵다 145 두 가지 갈림길, 삶과 죽음 146 “이제 자살을 더 이상 생각하지 않는다” 148 “고통을 겪음으로써 성숙해진다” 149 자살해도 고통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150
제2장 왜 생사관 확립이 시급한가? 153 우리 사회 죽음 이해의 현주소 153 ‘죽음의 의료화 현상’: 아름다운 마무리에 관심 없다 154 연명의료결정법은 웰다잉 법이 아니다 156 OECD국가 중 자살률 1위 157 육체 중심의 죽음 이해, 삶의 질 떨어뜨린다 158 고독사의 확산 “설마, 저 늙은이가 나라는 말이여?” 159 혼자 살다 아무도 모르게 죽는다 160 고독사 위험군 152만명 161 현직 경찰의 저서 『고독사는 사회적 타살입니다』 163 스티브 잡스 “죽음, 삶의 최고 발명품” 165 도쿄 도시마 구청, 슈카쓰終活 안심 센터 개설 167 고독사, 두 가지 방식으로 해결책 모색 168
제3장 죽음, 삶의 끝인가? 새로운 시작인가? 170 죽음이 삶에게 전하는 선물 170 왜 나라고 죽어서는 안 되는가? 172 죽음, 삶의 자연스러운 과정 174 평온한 죽음, 삶의 최대 성취 175 말기환자에게 어떤 희망을 줄 수 있을까? 176 죽으면 다 끝나는가? 177 죽음 이해, 설명이나 설득의 문제가 아니다 179 어느 의사의 고백 180 호스피스 봉사자, 임종 순간 보았다 183 “죽은 아내가 밤마다 꿈에 나타났다” 185 김영우 “죽어도 생명이 끊어지지 않는다” 186 교통사고로 죽은 아들, 어머니와 만났다 187 퀴블러-로스 “죽음은 존재하지 않는다” 189 의식영역 확장해야 죽음을 이해할 수 있다 190 영혼의 존재, 죽음의 순간 누구나 알게 된다 191 정진석 추기경에게 ‘죽음’과 ‘부활’을 물었다 193 법정스님 “육체 안에 영혼이 있는 게 아니다” 195 육체가 죽어 화장하면 나는 어디 있는가? 197 우리는 자기 자신을 얼마나 알고 있는가? 199
제4장 현대인의 죽음 이해에 7가지 질문을 던진다 201 죽어가는 사람에게 읽어주는 『티베트 사자의 서』 201 티베트 30대 남성 인터뷰 “우리에게 자살의 권리는 없다” 203 가난해도 ‘백발의 위엄’ 지키며 떠나도록 배려하는 나라 204 현대인의 죽음에 대한 두려움 205 “당신도 아다시피 누구나 죽어가고 있다” 206 티베트에선 누구나 천장을 원한다 209 부모의 시신을 어떻게 독수리에게 줄 수 있을까? 211 천장, 티베트인은 명예로 여긴다 211 티베트인과 현대인의 죽음 이해 비교 212 소크라테스의 철학적인 죽음 212 “너 자신을 알라” 214 죽음 이해 비교 - 생사학과 현대인 죽음 이해의 차이 214
/ 제4부 / 죽음을 알면 자살하지 않는다 제1장 자살 미수자의 증언과 자살자의 죽음체험 220 자살 시도해 육체에서 벗어났다 220 자살 미수자의 증언 222 최면치료 통한 자살자의 죽음체험 회상 223 임사체험 연구 50여 년 전부터 시작 224 뇌 기능이 전혀 없었던 파멜라 레이놀즈의 임사체험 225 칼 베커 교수, “죽음, 끝이 아니다” 226 자살예방의 해법, “죽음을 알면 자살하지 않는다” 228
제2장 심리학의 양적 분석도구 활용 230 「자살 예방의 철학」 수강생 설문조사 결과 231 우울증 판정 학생 집중 분석 232 사례 1) “자살, 고통의 해결책 아니다” 233 사례 2) “죽는다고 고통에서 벗어나는 게 아니다” 234 사례 3) “자살 생각을 하지 않은 적이 없었다” 236 자살은 해결책이 아니다 238 현실의 고통을 받아들여 감내해야 한다 238 ‘죽고 싶다’ 대신 ‘잘 살고 싶다’ 238 최양, 자살예방은 불가능하다고 생각했지만 239 2023년 1학기 수강생 중 자살 시도 학생 28% 240 자살 현상의 뿌리, 자살하면 고통에서 벗어난다? 242
제3장 죽음 통해 삶을 배운다 244 사례 1) 할머니가 어느 날 갑자기 사라지셨다 244 사례 2) “살기 힘든데 왜 자살하면 안되는가” 246 “죽고 싶은 게 아니다” 247 사례 3) “나는 조울증 환자였다” 248 “조울증에서 어떻게 벗어나게 되었는가” 249 사례 4) “자살을 매 순간 생각하고 있었다.” 249 사례 5) “죽음 통해 삶을 배운다” 251 H양 수강 소감 252 사례 6) “위기에 빠진 나의 삶을 구하다” 255 “생사관의 확립과 생명 교육이 먼저” 257 사례 7) 「자살 예방의 철학」 수강 소감 258
이용현황보기
죽기 위해 자살하는게 아니다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055072
362.28 -23-4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3055073
362.28 -23-4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대한민국은 성공, 사회는 위기? 미국 뉴스매거진 US뉴스&월드리포트가 최근 발표한 ‘2022년 세계 국력 랭킹’에서 영국이 5위, 한국은 6위, 프랑스는 7위, 일본은 8위로 평가되었으므로, 우리나라는 이제 G7 수준에 근접했다. 해방 이후 짧은 기간 안에 산업화와 민주화를 성취한 국가로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한국의 성공이 정점에 도달한 시점에 조금 다른 질문을 받고 있다. “한국은 성공을 거둔 것으로 보이지만, 자살률은 왜 이렇게 높은가? 한국의 출생률이 세계에서 가장 낮은데, 도대체 어디서부터 잘못된 것인가?” 우리 사회는 아직 정신적으로 미숙하고 불안정한 상태에 있어서 국가로서는 성공했지만, 자살률 1위와 최저 출산률이 시사하듯이 사회적으로 위기에 처해있다. 자살예비군 급증이 핵심 포인트 우리 사회는 1997년 외환 위기 이후 자살률이 증가해 2003년부터 OECD 가입국 중 1위를 오랫동안 기록하고 있는데, 경제적, 사회적 상황의 악화로 인해 자살 충동자가 양산되고 있다. 취업포털 ‘사람인’이 2011년 2030세대 성인남녀 1,83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결과는 충격적이다. 22.5%는 “실제로 자살을 시도해봤다”고 응답했고, 63.3%는 스트레스가 심각한 상태라 답했다. 또 한국대학생교육협의회가 2018년 대학생 2600명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자살위험군이 14.3%에 달했다. 불안증상은 74.5%, 우울증상은 42.3%가 앓고 있었다. 자살자가 2021년 1만 3,352명, 2022년 1만 2,906명이었는데, 자살자 13,000여 명은 사실 빙산의 일각에 불과하다. 문제의 핵심은 자살률 증가가 아니라 자살 충동자와 시도자, 즉 자살예비군의 양산이기 때문이다. 자살하면 모든 게 해결된다? 자살은 개인적 고민과 사회문제가 원인으로 작용한다. 개인의 고민과 사회병리현상은 당사자가 원하는 대로 해결해 주는 것은 쉽지 않다. 또한 사람들은 개인적 고민이나 사회적 문제만으로 자살하는 게 아니다. 자살에 또 다른 원인이 있다. 우리 사회에는 살다가 힘들면 자살이 해결책이라도 되는 듯이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 “죽으면 다 끝나니까, 자살하면 삶의 고통에서 벗어난다. 자기 판단에 따라 자살해도 된다.” 자살을 시도하는 사람들은 “죽으면 모든 것이 해결된다”는 잘못된 인식을 갖고 있다. 개인적 고민이나 사회적 문제 이외에, 자살과 죽음에 대한 오해도 자살을 부추긴다. “자살은 해결책이 아니다. 죽는다고 고통에서 벗어나는 게 아니다.” 이런 사실을 우리 사회에서 누가 차분히 설득력 있게 말할 수 있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