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들어가는 글

Intro.

1. 융합심리학의 출발: ‘인문융합상담’과 ‘융합심리 분석상담 치료’의 영역과 범위
1.1. 전통적인 심리학의 영역: 미시체계(micro-system)와 개인체계(individual system)
1.2. 융합심리학의 영역: 거시체계(macro-system)에서 바라보는 외부체계(exo-system)
2. 인문학의 규정
3. ‘통합(integration)’심리학과 ‘융합(convergence)’심리학 그리고 통섭(consilience)
4. 융합심리학의 주체와 대상
5. ‘인문융합’의 의미에 대한 고찰
5.1. 인문융합치료와 질적 연구방법론
5.2. 질적 연구의 개념 및 필요성
5.3. 다양한 질적 연구의 방법들
1) 현상학적 연구
2) 내러티브 연구
3) 문화기술지 연구
4) 근거이론
5) 사례연구
6. 인문융합상담 안에서 질적 연구방법론의 적용(해석학적 방법론)


I. 현상

1. 불안한 사람들과 사회
1.1. 가족제도의 붕괴와 1인 가족의 확산
1.2. 위험에 대한 인식과 체감의 증가(불안의 항상성)
1.3. 고독인가, 고립인가?
1.4. 디지털 시대 불안의 시원: 과도한 정보와 왜곡된 정보
2. 분노하는 사회
3. 우울(depression)한 사회
4. 위험한 종교적 처방
5. 신자유주의 경제의 위기
6. 코로나 19 팬데믹과 무너지는 세상
7. 끊임없는 세계적 참사
7.1. 우크라이나 전쟁
7.2. 튀르키예 지진 대참사
7.3. 후쿠시마 오염수 대방출


II. 융합심리분석상담 치료의 시작과 진단

1. 융합심리 분석상담 치료 Convergence Psychology Analysis Counseling Therapy Manual
1.1. 프로이트의 정신분석과정
1.2. 융의 분석심리학 전개과정
1.3. 융합심리분석상담과정
2. DSM-5(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매뉴얼)
2.1. 정신질환 분류의 역사적 변천
2.2. DSM 정신질환 분류
2.3. DSM-5 장애 전체 목록
3. MMPI, 다면적 인성검사(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
4. 불안(Anxiety)검사, 우울(Depression)검사, 분노(Anger, 공격성) 척도
5. 한국형 ADA(Anxiety, Depression, Anger) Convergence 진단: 마음진단 키트
6. 진단: 나의 이야기/인생 그래프(Life Cycle CT)
6.1. 분석심리학과 저널링(Journaling)
6.2. 라이프 사이클 CT: 성장기(아동기-청소년기)
6.3. 라이프 사이클 CT: 청년기(학업/사회진출, 혼인 전까지의 기간)
6.4. 라이프 사이클 CT: 성인기-중년기(결혼 이후부터 은퇴까지)
6.5. 라이프 사이클 CT: 성인 후기(은퇴 이후부터 지금까지)


III. 분석: 융합심리분석, PST-Convergence 분석키트

1. 빅데이터의 융합분석
1.1. 빅카인즈의 활용
1.2. 분석적 사고역량(Analytical Thinking): 세분하여 이해하고, 원인과 결과, 이유와 행동을 파악
1.3. 비판적 사고능력(critical thinking) 키우기
1.4. 사변적 기능(Speculative function): 문제해결을 위한 아이디어, 개념을 찾아냄
2. 심리학적 분석(Psychological Analysis): MBTI 분석
3. 영성적 분석(Spiritual Analysis): Enneagram 분석
4. 교류분석(Transaction Analysis): 에릭 번(Eric bern)의 교류분석 이론
4.1. 자아상태(ego state) 진단
4.2. 교류분석의 목표
4.3. 자아상태와 커뮤니케이션
4.4. 자아상태 진단: Ego-OK그램
4.5. 자아상태의 특징 및 기능분석과 변화
5. PST CONVERGENCE ANALYSIS KIT(마음분석 키트)


IV. 해석: 내담자의 프로파일 형성

1. MBTI 심리학적 해석 16가지의 유형별 특성
2. Enneagram 영성적 해석: 9가지 에니어그램 유형
3. Transaction Analysis: 교류분석을 통한 해석
3.1 자아상태의 진단과 기능분석
3.2 자아상태의 구조분석
3.3 의사교류분석의 이해


V. 상담의 전개와 융합

1. 상담치료기법 일반(수련)
1.1. 상담의 시작 단계: 상담자의 자세(Hill & O’Brien, 1999)
1.2. 적극적 경청의 기술 훈련
1) 제대로 참가하지 않는 그룹을 경험해 보기(15분)
2) 칵테일파티(10분)
3) 수동적 청취(30분)
4) 적극적 경청(15분)
5) 청취 기술(30분)
1.3. 상담 시작하기
1) 자유롭게 이야기하도록 유도하기
2) 문제 분류하기
3) 개방형 질문을 적절히 사용
4) 주제 이야기 계속하기
5) 간단한 촉진자극
6) 적극적이고 정확한 경청
7) 즉시성
8) 침묵의 사용
1.4. 상담구조화(상담 전 오리엔테이션)
1) 상담관계 및 시간에 대한 구조화
2) 상담자 역할의 구조화
3) 내담자 역할의 구조화
4) 비밀보장에 관한 구조화
1.5. 몸짓이 보내는 신호 알아채기 훈련

2. 상담의 발전 단계
2.1. 반응기술
1) 감정의 확인
2) 상담자의 자기감정 표현하기
3) 반영
4) 정확한 이해
2.2. 유도기술
1) 정보 주기
2) 충고하기
3) 직접질문
4) 설득하기
5) 지지와 격려
6) 사적 경험과 일화 이용하기
7) 해석
8) 직면
9) 문제의 명료화
10) 요약하기
2.3. 경험과 행동들에 대하여 들어보기
2.4. 테마-공감-공감하며 청취하기
2.5. 질문을 사용하는 방법(실재)
1) 질문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 실험해 보기
2) “왜” 유형 질문들의 효과
3) 닫힌 질문들의 한계
4) 열린 질문의 가치

3. 방어기제들
3.1. 실재 연습: 당신이 쓰고 있는 가면은 무엇인가요?
3.2. 연습 문제: 우리가 표출하기 꺼리는 감정들
3.3. 방어기제
1) 투사(Projection)
2) 부정(Denial), 부인
3) 억압(Repression)
4) 합리화(Rationalization)
5) 주지화(Intellectualization)
6) 승화(Sublimation)
7) 반동형성(Reaction formation)
8) 환치(Displacement) 또는 전치
9) 퇴행(Regression)
10) 동일시(Identification)
11) 유머(Humor)
12) 회피(Evasion)
13) 이타주의(Altruim)
14) 행동화(Acting out)
15) 왜곡(Distortion)
16) 허세(Show-off)
17) 수동 공격적 행동(Passive-agreessive behavior)
18) 통제(Controlling
19) 예견(Anticipation)
20) 해리(Dissociation)
21) 신체화(Somatization)

4. 상담의 행동변화 단계
4.1. 일반적 원리
1) 지시 또는 제안하기
2) 구체적 목표 설정하기
3) 약속하기
4) 상황 예견하기
5) 결과 평가
6) 기록하기
4.2. 구체적 기법
1) 보상의 이용
2) 모델 제시
3) 역할연기
4) 신체 자각, 이완, 활동
5) 사고와 상상

5. 상담의 종결 단계
5.1. 의뢰
5.2. 종결
1) 상담관계의 종결의 방식(Okun, 2002)
2) 상담을 종결하는 효과적인 주요 세 단계(Hill & O’brien, 1999)


VI. 치료

1. 인지행동치료의 전개: 고백(Confession)의 치료적 효과
인지행동치료(1) 설명과 이해: 부정적 스키마의 발견
인지행동치료(2) 자동적 사고와 정서 체크/치료(이해)
인지행동치료(3) 자기비판 영역 확인 변화
인지행동치료(4) 자동적 사고와 정서 체크/치료(이해)

2. 적극적 명상(intensive meditation/imagination)
상상치료(Imagination Therapy)
적극적 명상(Active meditation)
내면 통찰(Insighting Meditation)
통섭명상(Consilience Meditation): 당신의 장례식
통섭명상: 남아 있는 말들, 해야 할 것, 버킷리스트 작성

3. ‘정신신경면역학’의 치료적 효과
4. 명상과 뇌과학의 융합
5. 양자물리학의 원리: 상상의 힘을 이용한 치료
6. 인문의료 융합연구: 통합기능 의학
7. 사이먼튼 박사의 ‘마음의술’
- Imagination Therapy: 상상현실요법을 이용한 사회적 스트레스 및 불안감 감소 효과
8. 명상과 관상을 통한 마음훈련
9. ‘7 step’ Meditation & Contemplation Exercise: 7단계 명상과 관상훈련
10. 집중적 마음수련 치료(Intensive Mind Care Exercise Therapy)

글을 맺으며

이용현황보기

융합심리분석상담치료 = Convergence psychoanalysis counseling therapy. 2, 내 마음 진단, 분석 그리고 치료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066842 616.8914 -23-10 v.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3066843 616.8914 -23-10 v.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과거를 새롭게 해석하는 내적인 힘과 능력을 수련하고 연구하는
실천적 학문의 영역이 바로 ‘융합심리분석상담 치료’이다.


융합심리분석상담은 인생의 의미와 목적을 새로운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도록 한다. 지나간 시간을 새롭게 해석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지금 여기’를 바르게 자각하도록 도와 건강한 내일을 맞이할 수 있는 힘을 갖게 한다.

내담자를, 병적인 문제를 지닌 존재로만 볼 것이 아니라 스스로 전체성과 완전성을 실현하고자 하는 전인적, 통합적인 인간으로 바라볼 것을 강조한다. 바로 여기에서 영성적 통합의 과정이 시작된다. 이것은 자아실현을 넘어선 자아초월의 과정이며 자아완성의 길로 나아가는 출발점이다.

“몸의 중심은 어디인가? 그것은 머리도 아니고, 심장도 아니고, 다리 근육도 아니고, 바로 가장 아픈 곳이다. 마음의 중심은 또 어디인가? 마찬가지로 바로 가장 아픈 곳이다. 그곳은 과거의 어느 시간을 지나며 만났던 사람이나 사건, 상황이나 충격들에 의해 생겨났지만, 우리는 그것들을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지 잘 알지 못했고 그저 사라져 버리고 아무런 영향도 없다고 간과했을 것이다.”

현재의 과학기술의 진보는 물리적인 바이러스에 대응할 수 있지만, 더 큰 문제는 심리적, 사회적, 영성적인 측면에서 발생하고 있다. 그러한 문제들은 인문학, 사회과학, 자연과학의 융합을 통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이 저자의 말이다. 기후 위기와 생태위기는 과학과 기술만으로 해결하기 어려우며, 인문학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저자는 현재의 시대에는 인문학과 자연과학 그리고 사회과학은 ‘지구와 인간을 살리는 연구’에 집중해야 한다고 하였다. 또한 코로나 바이러스는 사람들을 공포로 몰아갔지만 그보다 먼저 치료해야 할 것은 인간의 이성과 욕망이라고 하였다. 그 방법 중 하나로 ‘인문융합상담’과 ‘융합심리분석상담치료’를 이야기하였고 그 치료 방법과 실천 사항을 담아낸 것이 이 책이다.

이 책은 어려운 이론만 늘어놓는 것이 아니라 이론과 적용 방법, 스스로 자신을 살펴볼 수 있는 심리 도구들도 제시해 주고 있다. 저자는 인간이 해야 할 지적 작업의 영역을 인공지능에 맡겨야 하는 시대가 다가왔다고 하였다. 그러면서 중요한 것은 변화하는 시대 속에서 지혜의 길을 찾아 나가는 것이며 그것이 인간존재의 핵심이라고 하였다. 이 책이 자신을 알아가고 다른 사람에게도 도움을 주는 도구가 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