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지] 1

제출문 2

보고서 요약서 3

요약문 4

SUMMARY 5

Table of Contents 6

목차 7

제1장 서론 10

1. 급변하는 세계와 원자력 인재상(Nuclear homo future) 10

2. 원자력 인재의 수급과 활용 방안 수립의 중요성 11

3. 연구의 목표와 내용 및 범위, 추진 전략 13

4. 연구보고서의 구성 및 타 연구와의 관계 14

제2장 원자력 산업·인력 현황 및 동향 16

제1절 한국의 원자력정책 궤적과 인적개발 16

1. 원자력 진흥 및 개발 측면 16

2. 원자력 안전성 및 안전규제 측면 20

제2절 에너지전환정책과 원자력산업계 동향 24

1. 정부의 에너지전환 정책 내용 24

2. 에너지전환정책이 원자력 산업에 미치는 영향과 파급효과 검토 29

제3절 원자력 인력 수급 현황 및 문제점 37

1. 원자력산업 범위 및 기술 인력 37

2. 국내 원자력산업 및 인력 현황 37

제4절 해외 원자력 인력 수급 정책 사례 49

1. 개요 49

2. 미국 51

3. EU - 인력 공동 활용 53

4. 일본 55

5. 러시아 57

제5절 인력 수급의 문제점 및 시사점 58

1. 원자력 인력 현황이 보여주는 시사점 58

2. 원자력 정책에 대한 시사점 60

제3장 미래 원자력 핵심 기술·인력 수급 전망 분석 64

제1절 현 원자력기술 수준과 잠재력 64

1. 원자력 기술의 정의 64

2. 세계 인적 자원 경쟁력 지수(GTCI :Global Talent Competitiveness Index) 64

3. 한국 원자력 에너지 기술의 현주소 66

4. 주요국 대 한국 기술수준 평가 및 기술격차 68

제2절 미래사회와 중점기술의 수요 전망 80

1. 미래 과학기술 예측과 원자력 이슈 80

2. 미래 과학기술예측에 따른 원자력 중점기술 수요 전망 83

3. 정부의 원자력관련 중장기 계획 추진에 따른 원자력 중점기술 수요 전망 84

4. 미래 원자력 중점기술 실현을 위한 정부 정책의 우선순위 분석 86

제3절 원자력 핵심 인력 수급 전망 88

1. 원자력 핵심 인력 정의 및 범위 88

2. 원자력 산업 인력 수요 전망 94

3. 원자력 핵심 인력 수요 전망 97

제4절 미래 인력 수요와 현 수준과의 미스매치 98

1. 설계, 제작 분야 핵심인력 미스매치 99

2. 연구개발 및 교육 분야 인력 미스 매치 100

3. 안전성 연구 및 안전규제 인력 미스매치 102

4. 시사점 103

제4장 원자력 핵심기술·인력 수급과 활용 최적화 방안 105

제1절 기본 방침 105

제2절 수요창출을 통한 정책 추진 방안 107

1. 대형 R&D 기획 추진 107

2. 엔지니어링 기술 고도화 사업 추진 방안 115

3. 글로벌 원전 공급망을 위한 중소기업 역할 강화 방안 119

4. 국제협력을 통한 해외취업 지원 120

제3절 인력 혁신을 통한 최적화 방안 121

1. 유사 원자력공학과에 대한 고려 123

2. 원자력대학생 논문연구회의 부활 124

3. 융합·창의 중심의 석·박사 지원프로그램 강화 125

4. 산·학·연 협력 및 신규 인프라 구축지원 126

5. 연구인력 세대교체시기에 따른 고급 신진 연구인력 지원 127

6. 생애주기 개발(Carrier Development) 및 멀티 플레이어(Multi-Player) 127

7. 원자력 정책 및 핵비확산 전문가 양성 128

제5장 결론 및 제언 130

제1절 결론 130

제2절 정책 건의 사항 132

제6장 연구 목표 달성도 및 기여도 135

제1절 연구 목표 달성도 135

제2절 기여도 136

제7장 연구개발 활용계획 137

〈붙임〉 참고문헌 138

〈별첨〉 자체평가 의견서[내용없음] 7

[뒷표지] 140

표목차 8

〈표 2-1〉 에너지전환(탈원전) 로드맵 25

〈표 2-2〉 2000년 이후 건설 중이거나 계약 중인 원자로 판매자 30

〈표 2-3〉 세계 원자력발전용량 전망 32

〈표 2-4〉 지역별 원자력 발전 용량(GWe) 전망 33

〈표 2-5〉 에너지원별 고용 및 소득 창출 효과 36

〈표 2-6〉 연도별 채용실적 및 전망 추이 38

〈표 2-7〉 2018년 원자력산업분야 분야별 인력 39

〈표 2-8〉 2018년 원자력산업분야 학력별 인력 추이 41

〈표 2-9〉 2018년 원자력산업분야 연령별 인력 추이 43

〈표 2-10〉 2018년 원자력산업분야 근속년수별 인력 44

〈표 2-11〉 국내 원자력 관련 대학 교수진 현황 46

〈표 2-12〉 국내 원자력 관련 대학 인력 현황 46

〈표 2-13〉 2013~2018년(5년) 원자력전공인력 취업 현황 47

〈표 2-14〉 EU의 네트워킹 사례 54

〈표 3-1〉 원자력 에너지 기술 논문 및 특허 현황 69

〈표 3-2〉 국가별 원자력 에너지 기술 논문 건수 및 증가율 70

〈표 3-3〉 국가별 원자력 에너지 기술 특허 건수 및 증가율 70

〈표 3-4〉 국가별 분석 결과 71

〈표 3-5〉 전문가 정성 평가 결과 72

〈표 3-6〉 원자력 환경방호기술 논문 및 특허 현황 72

〈표 3-7〉 국가별 원자력 환경방호기술 논문건수 및 증가율 73

〈표 3-8〉 국가별 원자력 환경방호기술 특허 건수 및 증가율 74

〈표 3-9〉 원자력 환경방호기술 국가별 분석 결과 74

〈표 3-10〉 원자력 환경방호기술 전문가 정성평가 결과 75

〈표 3-11〉 핵융합 에너지 기술 우리나라 논문 및 특허 현황 76

〈표 3-12〉 국가별 핵융합 에너지 기술 논문 건수 및 증가율 77

〈표 3-13〉 국가별 핵융합 에너지 기술 특허 건수 및 증가율 77

〈표 3-14〉 국가별 핵융합 에너지 기술 분석 결과 78

〈표 3-15〉 핵융합 에너지 기술 전문가 정성 평가 결과 79

〈표 3-16〉 핵융합 에너지 기술 국가별 전체 기술수준 및 격차 79

〈표 3-17〉 제5회 기술예측조사의 원자력 분야 기술(예시) 83

〈표 3-18〉 시나리오별 내용 96

〈표 4-1〉 에너지원별 수소생산 단가 비교 113

〈표 4-2〉 원자력안전관리부담금 산출방법 117

〈표 4-3〉 엔지니어링활동분류별 기술자 노임단가 117

그림목차 9

〈그림 2-1〉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의 주요설비 신설폐지계획 25

〈그림 2-2〉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초안 28

〈그림 2-3〉 한국 원전 수출 경쟁력의 SWOT 분석 결과 31

〈그림 2-4〉 세계 원자력 발전용량 전망 32

〈그림 2-5〉 한국의 에너지 성과 지수 34

〈그림 2-6〉 각국의 연료별 에너지자립도 34

〈그림 2-7〉 발전원별 이산화탄소 배출계수 35

〈그림 2-8〉 2009~2018년(10년간) 원자력산업분야 인력 추이 38

〈그림 2-9〉 2009~2018년(10년간) 원자력산업분야 직능별 인력 추이 40

〈그림 2-10〉 2009~2018년(10년간) 원자력산업분야 학력별 인력 추이 42

〈그림 2-11〉 2009~2018년(10년간) 원자력산업분야 전공별 인력 추이 43

〈그림 2-12〉 일본 원자력 교육훈련 네트워크(조직 체계) 56

〈그림 2-13〉 일본 원자력 교육훈련 네트워크(Working Group) 56

〈그림 3-1〉 세계 인적자원 경쟁력 지수(GTCI) 순위 65

〈그림 3-2〉 원자력 에너지 기술 논문 및 특허 증가율 69

〈그림 3-3〉 원자력 환경방호기술 논문 및 특허 점유율 73

〈그림 3-4〉 국가별 핵융합 에너지 기술 논문 점유율 76

〈그림 3-5〉 기술별 실현 시기 84

〈그림 3-6〉 미래 원자력 전문기술 인력 수요 전망 85

〈그림 3-7〉 미래 원자력 전문기술인력 분야별 수요 분포(대형운전 운영 미포함) 86

〈그림 3-8〉 원자력 6개 기술 분야 정부 우선 정책 순위 87

〈그림 3-9〉 핵심인력 성장 과정 89

〈그림 3-10〉 근속 년수별 핵심 인력 분포 현황 91

〈그림 3-11〉 원자력 핵심 인력 분포 현황 93

〈그림 3-12〉 2013~2018년 직능별/분야별 인력 분포 현황 94

〈그림 3-13〉 2018년 분야별 인력 분포 현황 94

〈그림 3-14〉 IAEA 인력 수요 피크 곡선 95

〈그림 3-15〉 전체 원자력 산업 인력 수요 전망 96

〈그림 3-16〉 2020~2030년까지 핵심 인력 수요 현황 97

〈그림 3-17〉 설계 분야(좌) /기자재 제작분야(우) 인력 수요 곡선 99

〈그림 3-18〉 설계/기자재 제작분야 핵심 인력 수요 전망 99

〈그림 3-19〉 연구개발 및 교육 분야 핵심인력 전망치 101

〈그림 3-20〉 안전 규제 인력 수요 곡선 103

〈그림 3-21〉 원자력 안전분야 핵심인력 수요 전망치 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