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지] 1
목차 2
I. 지역예보 가이던스 5
1) 하층제트와 관련된 대구·경북 집중호우 예측 기술 6
1. 연구 배경 6
2. 자료조사 및 분석 7
3. 사례 분석 9
4. 요약 및 결론 11
2) 대구·경북 여름철 대류성 국지호우 판단 가이던스 12
1. 분석배경 12
2. 대구·경북 소나기 발생 특성 13
3. 소나기 발생 특성별 분류 14
4. 사례 분석 16
5. 요약 및 결론 18
3) 대구·경북 지역 특성을 반영한 BEST 가이던스 중기 기온 예측 자료 분석 19
1. 서론 19
2. 연구 방법 19
3. 최고기온 연구 20
4. 최저기온 연구 25
5. 주요 지형 및 사례 분석 27
6. 오차 특성 분석 주요 결론 및 제언 31
7. 참고자료 32
4) 우박 크기 예측 테이블 개선 연구 33
1. 배경 및 목적 33
2. 연구 방법 33
3. 테이블 사용법 33
4. 테이블 사용 예시 34
5. 2023.10.14. 우박 미관측(레이더 상 우박 탐지) 사례 35
6. 2023.10.26. 안동, 예천, 영양, 영주 우박 관측 사례 36
7. 한계점 및 참고문헌 38
II. 긴 기간 또는 여러 기간 동안 나타난 기상 현상들의 통계적 분석 39
5) 정체전선에서의 경북 지역 대류강도 유지 사례 분석 40
1. 분석 개요 40
2. 대류 강도 변화 점검 요소와 분석 결과 40
3. 분석 사례 41
4. 사례에서 850hPa 유선과 하층제트, 500hPa 한랭·건조역, 200hPa 상층제트 점검 41
5. 다른 사례(22.8.10.)에 적용 43
6. 요약 및 결론 43
6) 경상북도 군위군의 대구시 편입에 따른 예·특보구역 조정 조사 44
1. 관련 법률 44
2. 분석 개요 44
3. 지형특성 45
4. 기상특성 46
5. 기상특보 운영 47
6. 요약 및 결론 49
7) 2023년 여름 특성 & 호우 되돌아보기 50
1. 2023년 여름철 기온 50
2. 2023년 여름철 강수 51
3. 2023년 여름철 호우특보 52
III. 짧은 기간 발생한 기상 현상 분석 55
8) mT 가장자리에서 정체전선에 의한 호우 사례 분석 56
1. 언론 보도 및 피해 상황 56
2. 예보 및 기상 실황 56
3. 강수 메커니즘 57
4. 일기도 분석 57
5. 강수량 예보 실패 원인 59
6. 유사사례(2018.8.31.) 62
7. 결론(호우 조건 및 착안 사항) 64
9) 2022년 제11호 태풍 힌남노 사례 분석 65
1. 언론 보도 및 피해 상황 65
2. 기상실황 66
3. 강수 분석-1(대기의 실황) 67
4. 강수 분석-2(지형적 특성) 68
5. 유사사례 분석 69
6. 요약 및 결론 70
10) 동해상의 발달한 저기압에 의한 울릉도 호우 71
1. 언론 보도 및 피해 상황 71
2. 기상실황 71
3. 일기도 분석 72
4. 강수 메커니즘 73
5. 요약 및 결론 73
11) 동해안형(cP확장 W형) 대설 중 적게 온 사례 분석 74
1. 언론 보도 및 피해 상황 74
2. 기상실황 74
3. 예상 일기도 분석 75
4. 실황 분석 76
5. 요약 및 결론 78
12) 저기압 및 정체전선에 의한 호우 79
1. 언론 보도 및 피해 상황 79
2. 예보 및 기상실황 79
3. 쟁점 사항은? 80
4. 주요 분석 내용 80
5. 무엇을 더 고려했어야 했나? 82
6. 요약 및 결론 82
13) 고기압권 다발적인 강한 대류 호우 사례 분석 83
1. 기상상황 전개(레이더, 위성) 83
2. 기상 개요 83
3. 일기도 분석 84
4. 호우 가이던스 적용 85
5. 수치모델 예상 강수량 86
6. 유사사례 분석 87
7. 요약 및 결론 88
14) 태풍처럼 지나간 중규모 저기압 89
1. 예보와 기상 실황 89
2. 예보의 근거 90
3. 태풍 구조 형태의 중규모 저기압 91
4. 유사 TD(tropical Depression) 중규모 저기압 발달 원인 92
5. 결론 및 시사점 93
15) 지상 저기압 발달에 의한 경북북부동해안 집중호우 사례 94
1. 예보와 실황 94
2. 당초 예보 근거 94
3. 예보 실패 원인 95
4. 결론 98
16) 경북내륙 국지안개 발생 특성 99
1. 언론보도 및 피해상황 99
2. 대구·경북 안개 발생 특성 100
3. 사례일(23.11.22.) 일기도 분석 101
4. 사례일(23.11.22.) 안개 실황 및 관측자료 분석 102
5. 요약 및 결론 105
판권기 106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3068479 | 551.655199 -24-1 |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
0003068480 | 551.655199 -24-1 |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 서가번호: 36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