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책머리에

1부
불가능에 대하여 이야기하기 … 12
-김훈의 역사소설
그들은 그것을 알지 못한 채 행하고 있다 … 34
-김영하, 〈옥수수와 나〉
불안과의 대화 … 49
-편혜영, 〈몬순〉
뿌리를 보는 시간 … 68
-김숨, 〈뿌리 이야기〉
어디서 오셨습니까, 어디로 가십니까? … 84
-구효서, 〈풍경소리〉
역사적 상상력이 머무는 곳 … 96
-2000년대 소설의 ‘역사’

2부
상상, 거짓말 그리고 이야기 … 120
-김애란, ≪달려라, 아비≫
비현실로 현실을 말하기 … 137
-박민규의 ≪카스테라≫
마카브르의 상상력 … 150
-편혜영, ≪아오이가든≫
사람의 길, 소설의 길 … 173
-손홍규, ≪봉섭이 가라사대≫
초능력을 가진 소년들 … 190
-김연수, ≪원더보이≫와 김영하, ≪너의 목소리가 들려≫
골방과 거리의 상상력 … 214
-김미월 소설과 서울
진실 혹은 거짓, 당신의 선택은? … 234
-김희선, ≪라면의 황제≫

3부
독서가 당신을 자유롭게 하리라 … 254
-김경욱, ≪위험한 독서≫
이야기의 리듬과 생의 리듬 … 260
-김애란, ≪두근두근 내 인생≫
불가능한 꿈에 관하여 … 264
-손홍규, 〈환멸〉
라르고, 어둠에서 빛으로 가는 길 … 267
-조해진, 〈빛의 호위〉
적막과 고립의 시간에서 벗어나기 … 272
-김주영, ≪빈집≫
과거로의 여행 … 277
-권여선, ≪비자나무 숲≫
눈을 감으면 보이는 것들 … 282
-강영숙, ≪슬프고 유쾌한 텔레토비 소녀≫
잔혹함의 묘사와 불편함의 진의 … 288
-안보윤, ≪우선멈춤≫
환상의 길, 나와 당신의 길 … 292
-최수철, ≪갓길에서의 짧은 잠≫
현실은 환상을 낳고, 환상은 현실을 낳는다 … 297
-김이환, 〈너의 변신〉
번역가의 시선과 위로의 말 건넴 … 302
-박찬순, ≪무당벌레는 꼭대기에서 난다≫
사소한 착각의 공감대 … 307
-윤고은, 〈요리사의 손톱〉
슬픔 저 너머로 … 312
-최은미, 〈창 너머 겨울〉
역사를 상상하다, 인간을 상상하다 … 317
-김탁환, ≪혁명≫
반죽의 시간 … 322
-김숨, 〈국수〉

이용현황보기

소통의 상상력 : 장두영 평론집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067662 811.309 -24-8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이용가능
0003067663 811.309 -24-8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한국소설,
소통의 상상력의 그 현장


장두영 문학평론가의 첫 평론집으로 한국소설의 다양한 작가들의 작품을 분석하고 있다. 김주영, 최수철, 김훈, 구효서, 김영하, 편혜영, 김숨, 김애란, 박민규, 손홍규, 김연수, 김미월, 김희선, 김경욱, 조해진, 권여선, 강영숙, 안보윤, 김이환, 박찬순, 윤고은, 최은미, 김탁환 소설가들의 소설과 2000년대에 발표된 역사소설을 ‘소통의 상상력’이라는 제목으로 묶었다. 날카롭고도 정확한 문장으로 소설가와 작품의 특징을 잘 짚어내어 서술하고 있어, 한국소설의 현장을 꼼꼼하고도 심도 깊이 살펴볼 수 있다.

책속에서

알라딘제공
소설이 실존적 상황과 내면 의식을 보여주기 위해 굳이 역사에 기댈 필요는 없다. 역사적 사실이라는 거멀못은 작가의 상상력을 제한하는 족쇄가 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그러나 김훈은 역사적 사실을 활용하여 상상력을 극대화하는 글쓰기 전략을 택한다. 작가의 상상력은 백의종군이라는 움직일 수 없는 사실에서 출발한다. 기존의 역사소설에서는 이것을 영웅의 ‘고난―극복’의 반복을 통한 서사 전개의 수단으로 활용한다. 고난의 강도가 강할수록 극복의 위대함은 높아지고 인물의 영웅성은 강화된다. 이순신을 소재로 한 여타의 작품에서 백의종군이 흔히 영웅적 면모를 구현하는 도약대로 기능하는 것은 이 같은 이유에서다. ≪칼의 노래≫는 이 같은 문학사적 관습을 위반하고 백의종군을 실존적 고민의 출발점으로 바꾼다. 정치적 맥락 따위의 전후 사정을 최대한 소거한 결과, 백의종군은 ‘임금이 나를 죽이려 했다’는 앙상한 뼈대로 남는다. -「불가능에 대하여 이야기하기-김훈의 역사소설」
결론부터 말하면 김숨의 <뿌리 이야기>는 뿌리 뽑힌 자들이라는 익숙한 주제를 다루면서도 자유로운 상상력과 새로운 접근법으로 익숙함의 무게를 벗어나는 데 성공한 작품이다. 이 소설은 전통적인 리얼리즘 소설과는 많은 차이를 보인다. 가령 철거촌에 대한 묘사를 보자. 이 소설은 철거민의 삶이 파괴당하는 과정을 묘사하지 않으며, 사회경제적 모순에 대한 분석으로 이어지지도 않는다. 대신 뿌리가 뽑힌 채 철거촌에 남겨진 나무를 보면서 뿌리가 뽑힐 때 나무가 느꼈을 공포감에 초점을 맞춘다. 이성이 아니라 감정을, 인간이 아니라 나무를, 냉철한 분석이 아니라 모호한 감상에 기대는 것이 이 소설의 ‘어떻게’다. -「뿌리를 보는 시간-김숨 <뿌리 이야기>」
중편 <풍경소리>는 청명한 가을 하늘 아래 어느 한적한 시골 산사로 우리를 데려간다. 온갖 세속의 번잡스러움을 벗어난 그곳에서 우리는 주인공과 함께 소박하지만 아름다운 것들을 보고, 듣고, 맛본다. 한참을 맑고 깨끗한 것들에 둘러싸여 있다 보면 어느새 마음이 정화되는 느낌이 솟아난다. 주인공이 마음의 상처에서 벗어나는 모습을 지켜보고 있노라면 흐뭇한 미소도 짓게 된다. 그런데 겉으로 드러난 따뜻함을 한 꺼풀 벗기고 나면, 이내 뭔가 허전하고 텅 빈 것 같은 느낌이 밀려온다. 이런 적막하고 쓸쓸한 분위기는 과연 어디에서 유래하는가? -「어디서오셨습니까, 어디로 가십니까?-구효서, <풍경소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