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제1장 연구개요 10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12

2. 연구목적 및 내용 13

3. 연구 추진체계 및 방법 14

1) 관련 자료 및 선행연구 검토 14

2) 초점 집단 인터뷰(FGI) 실시 15

3) 인터뷰 실시 15

제2장 학교 밖 위기청소년 17

1. 선행연구 검토 19

1) 학교 밖 청소년의 개념 19

2) 학교 밖 청소년 유형 및 특성 22

3) 위기 청소년 34

2. 용어 정의 41

제3장 서울시 학교 밖 위기청소년 현황 42

1. 학교 밖 청소년 실태 및 추이 44

1) 학교 밖 청소년 규모 및 학업중단율 44

2) 학교 밖 청소년 규모 파악을 위한 추정 방법 46

2. 서울시 학교 밖 위기 청소년 현황 52

1) 서울시 학교 밖 청소년 규모 52

2) 서울시 학교 밖 청소년의 생활 실태 및 경험 55

제4장 학교 밖 청소년의 삶 들여다보기 60

1. 학교 밖 청소년의 삶 62

1) 인터뷰 참여 청소년 특성 62

2) 학교중단 이전의 삶 64

2.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67

3. 학교 밖 청소년의 삶에 나타난 변화 97

제5장 논의 및 제언 103

1. 학교 밖 청소년의 욕구 105

2. 학교 밖 위기청소년 지역사회 적응 지원 방안 110

1) 학교 밖 청소년에 대한 인식 개선 111

2) 학교 시스템 내 상담 및 복지제도 확충 112

3) 학교 밖 청소년 지원정책 및 제도 개선 113

4) '학교 밖에 있는' 청소년 지원 정책 및 제도 등에 대한 정보 제공 115

참고문헌 116

판권기 123

표목차

〈표 1-1〉 FGI 참여 현황(관계기관 실무자) 15

〈표 1-2〉 인터뷰 참여 현황(학계 및 관계기관) 16

〈표 1-3〉 인터뷰 참여 현황(청소년) 16

〈표 2-1〉 청소년 관련 법에서 청소년의 연령 범위 20

〈표 2-2〉 학업 중단 이후 경로 유형에 따른 학교 밖 청소년 유형 23

〈표 2-3〉 진로결정과 현재생활 특성을 기준으로 한 학교 밖 청소년 유형화 24

〈표 2-4〉 청소년의 위험요인 28

〈표 2-5〉 청소년의 보호요인 31

〈표 2-6〉 위기수준과 특징 34

〈표 2-7〉 위기 수준의 기준과 특성 39

〈표 2-8〉 위기수준별 분포: 재학생과 학교 밖 청소년 40

〈표 2-9〉 소속에 따른 학교 밖 청소년의 위기수준(정규학교 제외) 41

〈표 3-1〉 초중고 고등교육단계별 학업중단 학생 수 및 학업중단율 45

〈표 3-2〉 연도별 초중고 학업중단 학생 수 및 학업중단율 45

〈표 3-3〉 한국 및 UNESCO 초중등 교육단계별 학교 밖 청소년 비율 46

〈표 3-4〉 국내 연구의 학교 밖 청소년 추정방법 48

〈표 3-5〉 학교 밖 청소년 규모 추정(간접추정방식) 48

〈표 3-6〉 경기도 학교 밖 청소년 추정방법과 추정치(2018년 12월 기준) 49

〈표 3-7〉 전국 2017년 기준 비인가 대안교육시설 현황(9월 기준) 50

〈표 3-8〉 광주광역시 5년간 학업중단 현황(2016~2020년) 51

〈표 3-9〉 최근 5년간 경기도 광주시 학교 밖 청소년 추이 52

〈표 3-10〉 서울시 학교 밖 청소년 규모(2014~2017년) 53

〈표 3-11〉 서울시 자치구별 학교 밖 청소년 규모(2017.12.31. 기준) 54

〈표 4-1〉 인터뷰 참여 청소년 특성 63

〈표 4-2〉 인터뷰에 나타난 학교 밖 청소년의 삶 100

〈표 5-1〉 인터뷰에 참여한 학교 밖 청소년의 지원욕구 110

그림목차

〈그림 1-1〉 연구추진체계 및 방법 14

〈그림 2-1〉 위기의 진행과정 35

〈그림 2-2〉 커넥션즈(Connexions)의 청소년 위기 수준 분류 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