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연구요약 3
01. 서론 13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4
1. 연구의 배경 14
2. 연구의 목적 15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6
제3절 선행연구 17
제4절 연구 수행체계 18
02. 기회의 개념적 이해 19
제1절 기회의 어원 20
제2절 형식적/실질적 기회평등 26
1. 형식적 기회 평등 26
2. 실질적 기회 평등 32
제3절 능력주의와 기회평등 40
1. 형식적 능력주의(formal meritocracy) 40
2. 실질적 능력주의(real meritocracy) 43
제4절 소결 46
03. 기회의 현실적 이해 50
제1절 기회의 병리학 51
1. 세습체제의 강화 52
2. 교육 병리 53
3. 서울중심주의와 '강남'의 탄생 55
4. 왜곡된 공정 담론 56
제2절 복지국가와 기회 59
1. 사회 정책적 이념으로서 '기회' - 자유와 평등의 콜라보 혹은 딜레마로서 '기회' 60
2. 자유주의와 평등주의의 혼종으로서 복지국가 64
3. 기회복지의 가능성과 타당성 69
제3절 소결 81
04. 변화된 현실과 기회의 미래 83
제1절 '더 고른 기회': 기회평등을 위한 사회적 협력 모델 84
1. 기회 평등의 문제 84
2. 롤스 이후 자유주의적 기회 평등 85
3. 사회주의적 기회 평등 87
4. 로머의 사회주의적 기회 평등 91
제2절 '더 많은 기회': 다원적 능력주의와 기회다원주의 94
1. 다원적 능력주의 94
2. 기회다원주의 99
제3절 '더 나은 기회': '가능성 접근'과 기회복지국가 103
제4절 기회 너머: '더 고른, 더 많은, 더 나은 기회'로 충분한가? 108
제5절 소결: '기회의 정치'를 위하여 116
05. 기회의 경제적 가치 추정 Ⅰ - 재화 성격 및 추정 방법 121
제1절 기회의 재화로서의 성격 122
제2절 기회(기회재)의 가치 추정 방법론 124
1. 조건부가치측정법(Contingent Valuation Methods) 124
2. 선택실험법 127
제3절 조건부가치측정법(CVM)과 선택실험법(CE)의 비교 130
제4절 소결 133
06. 기회의 경제적 가치 추정 Ⅱ - 모형 및 결과 134
제1절 기회재의 가치 추정 모형 135
제2절 조사 설계 141
제3절 자료 수집 150
제4절 모형 추정 결과 153
제5절 대안 모형: 기회의 평균 감소율 분석(보론) 199
제6절 기회의 가치 평가(종합) 205
제7절 소결 210
07. 기회의 확대 전략 213
제1절 기회의 확대 방향: 격차사회 지양 및 사회경제적 가치 제고 214
1. 자본주의 구조와 격차사회 214
2. 사회경제적 측면에서의 '기회'의 개념 217
3. 격차사회와 '기회'의 가치 219
4. '기회' 확대를 위한 기회 공여정책의 미래 방향 225
제2절 기회의 가치 확대 사례분석: 금융이용 기회 230
1. 금융이용 기회의 개념 230
2. 금융이용 기회 개념의 형성 과정 234
3. 금융이용 기회 확대의 중요성 238
4. 금융이용 기회 확대를 위한 대안과 경기도에 주는 함의 241
제3절 기회 개념 확산 공론화 방안 245
1. 시민참여 확대의 필요성 245
2. 숙의민주주의와 공론화 246
3. 공론화의 유형과 선택기준 248
4. 경기도의 공론화 사례와 공론화 제도 252
5. 기회 개념의 공론화 추진방안 256
제4절 의식조사 결과의 정책적 함의 259
1. 조사 개요 259
2. 주요 조사 결과 261
제5절 소결 269
08. 결론 및 정책제안 272
제1절 결론 273
제2절 정책제안 279
참고문헌 281
Abstract 289
[부록] 설문지 291
판권기 2
[그림 1-1] 연구의 수행체계 18
[그림 6-1] 기회의 두 가지 의미 설명카드 예시 143
[그림 6-2] 세 가지 기회 유형에 대한 설명카드 예시 144
[그림 6-3] CVM 가상상황 설정 146
[그림 6-4] '더 고른 기회' 지불의사금액 분포, 전체 표본 155
[그림 6-5] '더 나은 기회' 지불의사금액 분포, 전체 표본 156
[그림 6-6] '더 많은 기회' 지불의사금액 분포, 전체 표본 157
[그림 6-7] '더 고른 기회' 지불의사금액 분포, 경기도 표본 157
[그림 6-8] '더 나은 기회' 지불의사금액 분포, 경기도 표본 158
[그림 6-9] '더 많은 기회' 지불의사금액 분포, 경기도 표본 159
[그림 7-1] 격차사회에서 '기회'의 필요성 216
[그림 7-2] '기회'의 속성적 의미와 유사어 217
[그림 7-3] 기회 불평등 5차원 요인 분석 222
[그림 7-4] 기회의 의미와 가치 223
[그림 7-5] 공론조사의 절차 249
[그림 7-6] 시민배심원제의 절차 249
[그림 7-7] 합의회의의 절차 250
[그림 7-8] 시나리오 워크숍의 절차 251
[그림 7-9] 타운홀 미팅의 절차 251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3090269 | 361.61 -24-13 |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 이용가능 | |
0003090270 | 361.61 -24-13 |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사회과학자료실(208호) / 서가번호: 15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