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초기 승가의 규율과 율장 97 초기 승가의 형성과 규율·97 / 율장의 형성·101 / 승가의 분열과 율장·106
II. 대승보살계의 등장과 발전 111 인도유래의 보살계·111 / 중국에서 형성된 범망계 ·114 / 새로운 보살계와 수계·117
Ⅲ. 한국불교에서의 계율 122 삼국시대의 불교와 계율·122 / 한반도에서의 계율의 발달·125 / 근현대 한국불교와 단일계단·130 ㆍ현대 사회 속의 불교 규율·135
교단과 종파 - 박광연
I. 교단의 개념과 동아시아의 교단 143 가설된 ‘교단’·143 / ‘교단’과 율장·144 / 동아시아의 교단·146
II. 20세기 한국의 불교 교단 연구사 149 1910~1930년대의 연구·149 / 1960~1980년대의 연구 ·151 1980~1990년대의 연구·152
Ⅲ. 선행 연구에 대한 의문과 새로운 자료 155 신라 중대 종파 성립설에 대한 의문·155 / 고려초 종파 성립설에 대한 의문·158 / 새로운 자료의 출현·160
Ⅳ. 한국 불교 교단에서 종단의 형성 과정 163 신라하대 ‘업’의 등장·164 / 광종~정종대 불교 정책과 교단의 변화·167 문종~선종대 조사·계보 인식의 형성·170 / 선종~숙종대 구산문과 천태종·172 ㆍ전근대 한국 불교 교단과 종단, 새로운 서술의 방향성·176
왕권과 이념 - 김자현
I. 인도와 동아시아 고대국가의 왕권과 불교 183 인도의 불교와 왕권·183 / 중국 및 일본의 불교와 왕권·146
II. 신라와 고려의 왕권과 불교 190 천강관념과 불교의 수용·190 / 불교와 토착신앙의 융합·196 / 고려의 숭불정책과 의례·198
Ⅲ. 조선시대 불교에 관한 재조명 203 유불교체와 조선왕실의 불교신앙·203 / 의승군의 활약과 호국불교에 대한 담론·209 / 조선시대 불교연구의 신경향·213 ㆍ한국 불교, 왕권과의 공존과 예속의 사이·218
신앙과 기원 - 김성순
I. 신앙과 기원의 종교학적 개념 탐색 229 신앙에 근거한 기원Pray행위의 범주와 정의·229 / 불교신앙과 기원행위의 교의적 구조·232 / 불보살의 본원력에 의지하는 왕생의 기원·234
II. 한국불교사에 나타나는 기원의 의례적 양태 238 일상수행으로서의 발원과 축원·238 / 재난의 소거를 위한 기원과 재일齋日·241 / 한국불교의 기일期日기도: 백일기도에서 만일기도까지·243
Ⅲ. 한국불교 사찰 절일과 기원의례 247 초하루불공과 신중신앙·247 / 세시의례와 특별기도·250 / 백중과 윤달의 천도기도·254 ㆍ한국 불교의 기원의례와 관련된 물질物質의 사례·257
문학과 심성 - 원혜영
I. 인도 및 동아시아 문학과 심성 269 인도문학과 심성·629 / 중국불교 문학과 심성·273 / 일본불교 문학과 심성·278
II. 한국불교 문헌에서 문학과 심성의 위상과 특징 238 향가와 심성·285 / 가사문학·288 / 선시·292
Ⅲ. 근대 이후의 한국불교와 관련된 문학과 심성의 지형도 295 ㆍ동아시아의 심성과 문학·303
『테마 한국불교 플러스』시리즈는 『테마 한국불교』 10권에 이어지는 인문한국불교총서로, 불교문화연구원 인문한국플러스(HK+)사업단의 아젠다 '한국불교의 글로컬리티: 문헌·계보학으로 본 전통의 재해석' 연구 성과물이다. 『테마 한국불교 플러스』는 근대 이후의 문헌 집성과 계 보학적 이해에 초점을 맞추어 '전통'이 만들어진 '근대'에서 출발하여 한국불교 전통의 형성 과정을 해부하고 역사상의 다층을 규명함으로써, 한국불교가 갖는 로컬리티와 글로벌리티가 결합된 글로컬리티의 특성을 도출하고자 한다. '한국불교의 글로컬리티: 문헌·계보학으로 본 전통의 재해석'이라는 주제 하에 문헌학과 계보학의 관점에서 7개의 테마로 나누어 탐색하였다. 문헌학의 <사상의 계통>에서는 고대불교사상을, <토픽 텍스트〉에서는 동아시아 찬술 불전과 연관지어 마음과 규율을 조명하였다. 계보학의 〈불교와 정치·경제)에서는 교단과 종파, 왕권과 이념을, 불교와 사회·문화>에서는 신앙과 기원, 문학과 심성을 다루었다. 이들 테마를 중 심으로 한국불교의 글로컬리티의 세계로 여정을 떠나 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