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 I. 총 론 01. 수술 환자에서 영양공급의 중요성 I. 서론 / 3 II. 영양실조 / 4 1. 영양실조의 정의 _ 4 2. 영양실조의 빈도 _ 6 3. 영양실조의 영향 _ 6 III. 입원(수술) 환자에서의 영양공급 / 10
02. 영양소의 소화와 흡수 I. 서론 / 15 II. 탄수화물 / 15 1. 배경 _ 15 2. 탄수화물의 분류 _ 16 3. 탄수화물의 소화 _ 17 4. 탄수화물의 흡수 _ 18 III. 지질 / 21 1. 배경 _ 21 2. 지질의 구조 _ 21 3. 지방의 소화 _ 22 4. 지방의 흡수 _ 23 5. 식이 지질의 장내 운반과정 요약 _ 24 IV. 단백질 / 26 1. 배경 _ 26 2. 단백질의 구조 _ 26 3. 단백질의 소화 _ 28 4. 단백질의 흡수 _ 29 V. 비타민 / 31 VI. 수분, 미네랄(무기질), 전해질 / 32
03. 장내 미생물총 I. 서론 / 35 II. 장내 미생물총의 구성 / 36 III. 장내 미생물총 역할 / 38 1. 영양분 대사 조절 _ 38 2. 감염 방어 _ 39 3. 면역 조절 _ 39 4. 약물 대사 조절 _ 40 5. 위장관 구조와 기능 유지 _ 40 6. 뇌 건강과 인지기능 조절 _ 40 IV. 장내 미생물총에 영양을 미치는 인자 / 41 1. 연령 _ 41 2. 식이 _ 42 3. 항생제 _ 42 4. 양성자펌프억제제 _ 43 V. 장내 미생물총 불균형과 위장관 질환 / 44 1. 소화기암 _ 44 2. 염증성장질환 _ 45 3. C. difficile 감염 _ 45 4.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 _ 46 VI. 장내 미생물총의 치료적 조절 / 46 1. 프로바이오틱스, 프리바이오틱스, 신바이오틱스 _ 46 2. 대변미생물총이식 _ 47 3. 항생제 _ 48 VII. 결론 / 49
04. 영양소의 대사 I. 주 영양소 (다량영양소) / 55 1. 탄수화물의 대사 _ 55 2. 지방의 대사 _ 60 3. 단백질과 아미노산 대사 _ 65 II. 미량영양소 / 74 1. 미량원소의 생리학적 기능과 결핍상태 _ 74 2. 비타민의 생리학적 기능과 결핍 상태 _ 78
05. 체성분분석기 I. 서론 / 89 1. 체성분의 측정 _ 89 2. 생체전기임피던스분석 (BIA) _ 90 II. 결론 / 97
06. 외과환자에서 대사변화 I. 외과환자에서의 대사변화 / 100 II. 금식과 대사변화 / 102 1. 단순 금식 _ 102 2. 스트레스성 금식 _ 104 III. 신체의 손상이나 스트레스 상황에서의 대사변화 / 105 1. 신경내분비계의 변화 _ 106 2. 면역체계의 변화 _ 107 3. 인슐린 반응 _ 108 IV. 영양소의 대사변화 / 109 1. 탄수화물 _ 109 2. 단백질 _ 110 3. 지방 _ 111 V. 장기의 변화 따른 대사변화 / 111 1. 복강 _ 111 2. 식도 _ 112 3. 위 _ 112 4. 소장 _ 112 5. 대장 _ 113 6. 췌장 _ 113 7. 간 _ 113
07. 수술 전후의 영양평가 I. 서론 / 117 II. 영양평가의 의의 / 118 III. 영양평가의 주요 요소 / 123 1. 체중 및 과거력 _ 123 2. 이학적 검사 _ 125 3. 진단검사의학 데이터 _ 127 IV. 영양선별 및 영양평가 도구들 / 130 1. 영양 선별 도구 _ 132 2. 영양평가 도구 _ 134 V. 결론 / 140
08. 영양공급의 적용과 선택 I. 수술 전 영양공급 / 143 II. 수술 후 영양공급 / 145 1. 목표 열량의 계산 _ 146 2. 단백질 공급 _ 148 3. 탄수화물과 지질 _ 150 4. 수분과 전해질 _ 150 5. 비타민과 미량영양소 _ 151 6. 보충정맥영양요법 (SPN) _ 151 III. 영양공급 경로의 선택 / 153 IV. 결론 / 156
09. 경장영양 I. 서론 / 159 II. 경장영양의 장점 / 159 III. 경장영양의 적응증과 금기증 / 160 1. 적응증 _ 160 2. 금기증 _ 160 IV. 경장영양액 / 161 1. 혼합화 영양액 _ 164 2. 표준 경장영양액 _ 164 3. 가수분해 경장영양액 _ 164 4. 특수질환 영양액 _ 165 5. 영양 강화제 _ 165 V. 경장영양의 시행 / 165 VI. 경장영양의 경로 / 166 1. 경장영양을 위한 기구 _ 168 VII. 경장영양의 주입방법 / 172 1. 볼루스 주입 _ 172 2. 지속 주입 _ 172 3. 간헐적 주입 _ 173 4. 주기적 주입 _ 173 VIII. 모니터링 / 174 IX. 경장영양의 합병증 / 174 1. 기계적 합병증 _ 175 2. 위장관 합병증 _ 176 3. 대사적 합병증 _ 176
10. 정맥영양 I. 서론 / 179 II. 정맥영양의 적응증과 금기증 / 180 1. 일반 지침 _ 180 2. 위장관 기능 _ 181 III. 정맥영양의 투여경로 / 182 1. 중심정맥영양 _ 183 2. 말초정맥영양 _ 183 IV. 정맥영양의 새로운 개념 / 184 V. 정맥영양 조성 / 184 1. 포도당 _ 186 2. 아미노산 _ 186 3. 지방 _ 187 4. 전해질 _ 187 5. 비타민과 미량원소 _ 188 6. 약물투약 _ 189 VI. 영양 필요량 / 189 1. 에너지소비량 _ 189 2. 단백질소비량 _ 192 3. 수분소비량 _ 194 4. 정맥영양액 계산의 예 _ 195 VII. 정맥영양의 합병증 / 196 1. 영양 관련 합병증 _ 196 2. 영양재개증후군 _ 197 3. 간담도계 합병증 _ 204 4. 대사뼈질환 _ 204
11. 영양공급 경로를 위한 중재술 및 관리 I. 서론 / 207 II. 정맥영양요법 / 208 1. 고려 사항과 기구의 선택 _ 208 2. 도관의 관리 _ 214 3. 도관 관련 합병증 _ 217 III. 경장영양요법 / 220 1. 경로 선택 시 고려사항 _ 220 2. 튜브의 삽입 _ 222 3. 튜브의 관리 _ 226
12. 면역영양 I. 서론 / 229 II. 면역영양소 / 231 1. 글루타민 _ 231 2. 아르지닌 _ 232 3. 오메가-3 지방산 _ 233 4. 뉴클레오타이드 _ 235 5. 항산화 미량영양소 _ 236 III. 외과 환자에서의 면역영양 / 237 IV. 주요 가이드라인에서의 면역영양 / 239 1. 미국정맥경장영양학회 2016년 _ 239 2. 유럽정맥경장영양학회 2020~21년 _ 239 V. 결론 / 240
13. 수술 후 조기회복 프로그램 I. 서론 / 245 1. 수술 후 조기회복 프로그램의 개념 _ 248 2. 수술 스트레스 반응 _ 249 II. 수술 후 조기회복 프로그램의 주요 항목들 / 252 1. 수술 전 환자 교육 _ 252 2. 수술 전 금식 및 경구 탄수화물 음료 공급 _ 253 3. 수술 전 장세척 _ 254 4. 수술 중 정상체온 유지 _ 254 5. 복강 내 배액관 및 코위관 삽입 _ 255 6. 수술 전 후 적정 수액공급 _ 256 7. 예방적 항생제 _ 258 8. 경막외 진통법 및 수술 후 통증 조절 _ 258 9. 조기 경구 식이 _ 260 10. 심부정맥혈전증 예방 _ 261 11. 적극적 수술 후 조기 운동 _ 261 12. 퇴원계획 및 환자 교육 _ 262 III. 수술 후 조기회복 프로그램의 임상적 근거 / 262 1. 수술 후 조기회복 프로그램의 임상 적용 _ 264 2. 향후 연구 과제 _ 267
14. 영양집중지원팀 I. 서론 / 273 II. 영양집중지원팀의 목적과 기능 / 274 III. 영양집중지원팀의 효과 / 274 IV. 영양집중지원팀의 구성 / 275 1. 의사 _ 277 2. 간호사 _ 278 3. 영양사 _ 280 4. 약사 _ 281 V. 영양지원 전문가를 위한 교육 및 인증 제도 / 282 VI. 영양지원팀의 업무 / 283 VII. 성공적인 영양지원팀을 위한 조건들 / 284 VIII. 영양집중지원팀의 발전방향 / 284
PART II. 각론 01. 상처 치유와 영양 I. 서론 / 291 1. 상처의 정의와 분류 _ 291 2. 상처 치유의 단계 _ 292 3. 만성 상처 _ 295 II. 상처 치유에 영향을 주는 인자 / 296 III. 상처 치유에 있어서의 영양의 역할 / 297 1. 다량영양소 _ 298 2. 미량영양소 _ 300 3. 특수 영양보충제 _ 304
02. 위장관 수술 환자의 영양지원 I. 서론 / 309 II. 위장관 수술 후 영양학적 변화 / 309 III. 위장관 수술 환자에서 영양불량이 미치는 영향 / 311 IV. 위장관 수술 전후의 영양지원 / 312 1. 영양공급경로 _ 313 2. 시기 및 기간 _ 316 3. 영양성분 _ 317 V. 위장관 수술 전후의 영양지원 (국내 전향적 임상시험 결과) / 319 VI. 결론 / 319
03. 염증장질환 I. 서론 / 323 II. 염증장질환에서 영양결핍의 기전 / 324 III. 염증장질환에서 영양결핍의 특징 / 325 1. 질환에 따른 영양결핍의 특징 _ 325 2. 소아에서 영양결핍 _ 327 3. 질환의 활동도에 따른 영양결핍의 양상 _ 327 IV. 염증장질환에서 영양지원 / 328 1. 경정맥영양지원 _ 329 2. 결핍에 따른 영양지원 _ 330 3. 질병의 활동도에 따른 영양지원 _ 331 V. 수술 전후의 영양지원 / 332 1. 수술 전후 영양 _ 332 2. 수술 전후 선행재활과 재활 _ 333 3. 수술 후 조기회복 프로그램 (ERAS) _ 333
04. 짧은장증후군 I. 서론 / 337 1. 짧은장증후군의 원인 _ 337 2. 짧은장증후군의 증상 _ 338 3. 짧은장증후군의 진단 _ 339 4. 짧은장증후군의 치료 _ 339 5. 짧은장증후군의 예후 _ 340 II. 짧은장증후군에서의 가정정맥영양지원 / 340 III. 짧은장증후군에서의 경장영양지원 / 342 1. 경장영양공급의 중요성 _ 342 2. 식이 선택에서 고려되어야 하는 것들 _ 342 IV. 해부학적 특성에 따른 짧은장증후군의 치료 및 결과 / 344 V. 적절한 식이의 선택 / 345 1. 모유 _ 345 2. 경장영양 유동식 조성의 선택 _ 346 VI. 소장 세균과증식 (SIBO) / 348 1. SIBO의 정의 _ 349 2. 소장 내용물의 정체 원인 _ 349 3. 결과 _ 349 4. 치료 _ 349 VII. 경장영양공급의 증량 / 350 VIII. 결론 / 353
05. 장피부샛길 I. 서론 / 355 II. 장피부샛길의 형성과 특징 / 356 III. 분류 / 356 IV. 치료 / 358 1. 안정화 _ 358 2. 치료시기 결정 _ 360 3. 복원 수술 _ 361 V. 장피부샛길과 영양 / 363 1. 영양결핍 _ 363 2. 영양평가 _ 363 3. 경정맥영양 _ 365 4. 경장영양 _ 365 VI. 결론 / 366
06. 이식 I. 서론 / 369 II. 이식 전 영양 이상 상태 / 369 III. 이식 전 영양 유지 / 371 1. 영양 유지 방법 _ 371 2. 권장되는 영양소 _ 372 IV. 영양치료의 방식 / 372 1. 이식 초기 급성기 _ 374 2. 이식 후 안정기 _ 374 3. 영양 유지 방법 _ 374 V. 장기 이식에 따른 대사성 변화 / 376 1. 포도당 _ 376 2. 지질 _ 377 3. 단백질 _ 377 VI. 영양 소비량 / 377 1. 에너지 _ 377 2. 단백질 _ 378 3. 수액 _ 378 VII. 면역억제제와 영양상태 / 378 VIII. 이식 후 대사질환 합병증 / 379 1. 이상지질혈증 _ 379 2. 이식 후 당뇨 _ 379 3. 비타민 부족 _ 380 4. 고요산증후군 _ 380 IX. 음식의 안전성 / 380 X. 결론 / 381
07. 간 절제술 후 영양지원 I. 서론 / 385 II. 간질환에서의 영양적 측면 / 386 III. 간질환 환자의 영양평가 / 387 IV. 간절제술 후 영양지원 / 388 V. 결론 / 390
08. 췌장 수술과 영양대사의 변화 I. 서론 / 393 II. 췌장의 영양대사에서의 역할 / 393 III. 췌장 외분비 기능 평가방법 / 395 1. 직접 췌장 외분비기능검사 _ 395 2. 간접 췌장 외분비기능검사 _ 395 3. 일반적인 접근법 _ 396 IV. 췌장절제술 후 영양대사의 변화 및 영양치료 / 397 1. 수술 전 환자의 영양상태 및 관리 _ 397 2. 췌장절제술 방법에 따른 영양대사의 변화 _ 398 3. 수술 후 영양요법 _ 399 V. 수술 후 췌장기능부전의 치료 / 400 1. 외분비 기능 _ 400 2. 내분비 기능 장애 _ 404
09. 비만대사수술 전후 영양 관리 I. 서론 / 407 II. 비만대사수술 전 영양 관리 / 408 1. 수술 전 체중 감소 _ 408 2. 영양소의 결핍 교정 _ 409 III. 비만대사수술 후 영양 관리 / 409 1. 비만대사수술 후 식이 진행 _ 410 2. 다량영양소 _ 411 3. 미량영양소 결핍 _ 412 IV. 비만대사수술 후 중장기 정기 검사 / 420 V. 결론 / 421
10. 암환자의 영양지원 I. 서론 / 425 II. 암환자와 영양 / 427 1. 영양선별과 평가 _ 427 2. 영양 중재 _ 428 3. 특수 영양소 _ 434 III. 암성 종말증 / 435 1. 작용기전 _ 435 2. 바이오마커 _ 437 3. 치료 _ 438 IV. 결론 / 440
12. 외상 환자에서 영양지원 I. 외상 환자의 대사 변화 / 463 II. 외상 환자에서 영양지원의 목적 / 465 1. 급성 단백질 영양불량의 예방 및 최소화 _ 465 2. 지방제외체질량 감소 최소화 _ 465 3. 면역 기능 유지 _ 466 4. 위장관 기능의 유지 및 장관 면역의 유지 _ 466 5. 조직의 재생과 상처의 회복 촉진 _ 466 III. 영양지원의 실제 / 467 1. 영양공급량의 결정 _ 467 2. 영양지원의 시기 _ 470 3. 영양지원 방법 _ 470 4. 개복창상 환자에서 영양지원 _ 471 5. 면역영양의 사용 _ 471 IV. 결론 / 474
13. 중환자의 영양치료 I. 중환자의 대사변화 / 481 II. 영양치료 목적 / 482 III. 중환자의 영양평가 / 482 1. GLIM criteria _ 483 2. Nutrition Risk in critically III 점수 _ 485 IV. 영양계획 / 486 1. 열량소비량 _ 486 2. 단백질공급 _ 491 V. 경장영양 / 492 1. 공급시기 _ 492 2. 공급경로 _ 492 3. 공급방법 _ 492 VI. 정맥영양 / 493 1. 공급시기 _ 493 2. 정맥영양 구성 _ 494 VII. 모니터링 / 495 1. 대사상태 모니터링 _ 495 2. 정맥영양 모니터링 _ 498 3. 경장영양 모니터링 _ 499 VIII. 면역영양 / 502 1. 오메가-3 지방산 _ 502 2. 글루타민 _ 502 3. 비타민 C _ 503 4. 셀레늄 _ 504 IX. 영양치료 프로토콜 / 504 X. 결론 / 504
14. 소아외과와 영양 I. 소아의 성장 / 509 II. 소아에서의 영양평가 / 511 1. 임상적 평가 및 신체계측 _ 511 2. 병력 및 음식섭취력 _ 513 3. 영양평가의 방법 _ 514 III. 소아에서의 영양 소비량 / 516 IV. 소아에서의 장내 미생물총 / 518 1. 영아의 장내 미생물 _ 518 2. 미숙아와 신생아괴사소장대장염 _ 518 V. 소아외과 영역에서의 영양 / 519 1. 미숙아 및 저출생체중아 _ 519 2. 구토 및 위식도역류 소아환자 _ 520 3. 크론병 소아환자 _ 522 4. 심장질환 소아환자 _ 524 5. 중환자실 소아환자 _ 525 6. 외상 및 화상 _ 527 7. 만성 신장병 소아환자 _ 528
15. 고령환자에서의 영양지원 I. 서론 / 533 II. 고령환자에서의 영양평가 / 534 III. 고령환자에서의 영양지원 / 537 IV. 유럽정맥경장영양학회 고령환자 영양 관리 권고안 / 540 1. 고령환자에서의 영양 관리의 일반 원칙 _ 541 2. 고령환자에서의 영양불량의 일반적 예방 및 치료 _ 543 3. 고령환자에서의 탈수증 예방 및 치료 _ 549 4. 고령환자에서의 탈수증 진단 및 치료 _ 550 5. 고령환자에서의 비만 치료 _ 551 V. 결론 / 551
16. 화상환자에서의 영양지원 I. 서론 / 553 II. 화상으로 인한 대사 변화 / 554 III. 화상환자의 영양 소비량 / 554 1. 탄수화물 _ 554 2. 지방 _ 554 3. 단백질 _ 555 4. 비타민 _ 555 5. 미량원소 _ 555 IV. 화상환자의 영양지원 / 556 V. 영양평가방법 / 556 VI. 결론 / 557
17. 가정 영양지원 I. 서론 / 559 II. 대상자 / 559 III. 영양 관리 계획 수립 / 560 1. 기간과 목표에 따른 주입 경로 결정 _ 560 2. 영양필요량 _ 562 IV. 영양액 선택 / 563 1. 경장영양 _ 563 2. 정맥영양 _ 564 V. 퇴원 준비와 교육 / 564 1. 환경 확인 _ 564 2. 영양액 조달 _ 564 3. 환자와 보호자 교육 _ 565 VI. 영양지원 진행 (주입방법과 도구 선택) / 567 1. 경관영양 _ 567 2. 정맥영양 _ 567 VII. 모니터링 / 568 1. 가정경관영양 _ 568 2. 가정정맥영양 _ 568 VIII. 합병증과 관리 / 570 1. 중심정맥도관 관련 합병증 _ 570 2. 경관영양 합병증 _ 571 3. 장관부전관련간질환 (IFALD) _ 574 4. 대사뼈질환 _ 574 5. 수분과 전해질 불균형 _ 574 6. 비타민 및 미량영양소 불균형 _ 575 IX. 지속적인 관리 / 575
18. 선행재활 I. 서론 / 577 II. 임상적 근거 / 578 III. 선행재활의 구성 요소 / 580 1. 선별검사 _ 581 2. 평가 _ 582 3. 선행재활의 적용 _ 585 IV. 기타 고려사항 / 589 V. 결론 / 589
19. 의료용 식품 I. 서론 / 593 II. 의료용 식품의 정의 / 594 III. 국외 의료용 식품 제도 / 596 1. 미국 _ 596 2. 유럽연합 _ 598 3. 일본 _ 600 IV. 우리나라 현황 / 602 1. 경장영양제 관리 제도 _ 602 2. 특수의료용도식품 정의 및 관리 제도 _ 603 V. 결론 / 604
20. 영양치료 질 향상 I. 서론 / 607 II. 의료서비스 질 향상의 중요성 / 609 III. 질 향상과 결과연구조사 / 609 1. 목표 _ 609 2. 윤리적인 심의 _ 610 IV. 질 관리 표준 및 규제 시 고려사항 / 610 1. 전문가 실무의 기준 _ 610 2. 미국정맥경장영양학회 (ASPEN) 영양 관리 프로세스 _ 611 3. 관련법규 및 해당의료기관의 규정준수 _ 612 4. 영양관련 처방과 권한 _ 612 V. 질 향상의 방법론 / 613 1. PDSA _ 613 2. 식스 시그마 _ 614 3. 의료 정보학 _ 614 VI. 의료서비스 질의 측정 / 615 1. 질관련 지표 _ 615 2. 자료의 수집 _ 615 3. 벤치마킹 _ 616 4. 데이터 관리 _ 617 VII. 결론 / 617
21. 임상 영양윤리 I. 인공 영양 및 수분 공급 / 621 II. 병원 내 금식 / 626 III. 입원환자에서의 윤리적인 비타민, 미량영양소 처방 / 627
이용현황보기
임상대사영양학 = Clinical metabolism and nutrition for surgical patients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078062
615.854 -24-3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이용가능
0003078063
615.854 -24-3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대한외과대상영양학회에서 2016년 임상대사양양학 교과서 초판을 출간한 이후 8년 만에 “임상대사영양학 2판”을 발간하게 되어, 학회 회장으로서 무한한 영광으로 생각합니다. 최근 기저질환을 가진 고령의 수술환자들이 늘어나면서 수술 전후 순조로운 회복을 위한 진료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습니다. 초판 출간 이후, 관련된 연구와 가이드라인 등이 연이어 발표되었고, 특히 우리나라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들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외과대상영양학회에서는 최신지견을 업데이트한 임상대사영양학 교과서의 개정판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고 김범수 편찬위원장을 비롯한 편찬위원회에서 2년간의 지난한 과정을 거쳐 2판을 출간하게 되었습니다. “임상대사영양학 2판”은 초판에서 다루었던 내용에 더하여 고령환자 및 화상환자에서의 영양지원, 가정영양지원, 선행재활 등 영양지원 및 치료에 대한 광범위한 최신 지견을 추가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급변하는 디지털시대에서 교과서가 어떤 의미가 있을까 생각해 보면, 혼란스러울 정도로 쏟아지는 정보의 홍수 속에서 공신력 있는 학술단체가 가장 신뢰할 만한 최신 정보와 지식을 선별, 제공함으로써 해당 학문의 이정표를 세워주는 것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대한외과대사영양학회는 앞으로도 임상대사영양학 분야의 중심학술단체로서 그 책임을 다할 것입니다. “임상대사영양학 2판”은 학생, 전공의, 의료인 및 관련되시는 많은 분들이 공부하고 연구하고 임상에서 실제 환자를 진료할 때 실질적 도움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제작되었습니다. 그리고 관련 분야에서 우리나라의 연구가 더욱 활발해져서 향후 개정판에서는 우리 데이터를 더욱 많이 인용할 수 있게 되기를 바랍니다. 끝으로 “임상대사영양학 2판”을 위해 바쁘신 중에도 귀한 시간을 내주신 마흔 분의 집필진, 우리 학회 자문위원 및 임원진 그리고 특히 지난 2년간 각고의 노력으로 오늘을 있게 한 김범수 편찬위원장과 열세 분의 편찬위원들께 마음속에서부터의 깊은 존경과 감사를 표합니다. 2024년 3월 대한외과대사영양학회 회장 박상재
서문 대한외과대사영양학회에서는 2016년도 외과환자의 대사와 영양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임상환자를 위한 중요한 길잡이가 될 수 있는 교과서로 “임상대사영양학”을 발간하였습니다. 초판 발간 이후 의학은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특히 외과환자의 대사에 대한 이해 수술 전후 영양치료에 대한 최신 치료법이 계속 개발되어 대한외과대사영양학회 박상재 회장님께서 임상대사영양학 교과서 개정판을 발간하기로 기획하셨으며 각 분야의 전문적인 교과서 집필진을 모시고 개정작업에 들어갔습니다. 8년만에 2판을 발간하게 되어 학회 회원으로서 또한 편찬위원장으로서 매우 기쁘게 생각합니다. 외과환자에서 대사를 이해하고 영양불량의 교정 및 치료 등이 외과환자에서 합병증 및 재원기간, 재입원율 및 의료비 등 예후에 중요하다는 것이 점차 증명되었고 이에 관련된 여러 논문들도 발간되고 있습니다. 또한 대사영양학에 대한 이해와 영양치료에 대한 각분과의 관심도 또한 점차 증대되고 연구도 활발해지고 있습니다. 임상환자에서 내/외과적으로 처한 환경에 따른 영양지원 및 추천되어지는 영양치료에 대한 원칙을 기술한 교과서 개정이 필요한 시기였습니다. 이에 이번 임상대사영양학 2판에서는 임상대사영양학의 현 상황을 고려하여 최신경향에 발맞추어 최신 지견을 담았으며 40분의 각 분야의 임상경험이 풍부한 전문가를 모시고 초판에서 다루지 않았던 9개의 새로운 장을 추가하여 총 35장으로 구성하였습니다. 초판에서와 같이 총론 및 각론으로 나누었고 총론 14개, 각론 21개의 장으로 구성하였습니다. 추가된 내용은 장내세균총, 체성분분석기, 고령환자, 화상환자에서의 영양지원, 가정영양지원, 선행재활, 의료용식품, 영양치료의 질향상, 윤리 및 법적인 측면 등으로 최근 영양지원 및 치료에 대한 최신 지견을 기술하였습니다. 이번 2판에서 국내 각 병원에서의 데이터들의 연구결과도 많이 인용되었으면 하는 아쉬움이 있지만 향후 개정판에서는 좀더 향상된 내용으로 발간되리라 기대합니다. 초판에서와 달리 증거기반의 의학을 제공하고자 참고문헌을 교과서의 본문에 표기하여 참고문헌을 좀더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단어의 선택은 국문교과서인 만큼 우리말을 사용하였고 색인에 표시된 단어는 대한의사협회 의학용어집 6판을 참고로 표기하였습니다. 대한외과대사영양학회는 학회의 회원수도 400명 이상으로 많이 증가하였으며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있다. 더욱이 국제화에 발맞춰 2022년도에는 아시아외과대사영양학회도 창립하여 국제적위상을 드높이고 있습니다. 이 교과서가 의사, 간호사, 영양사, 약사 뿐만아니라 학생에게도 임상환자의 대사영양에 대한 이해를 공유 및 교육하는데 이바지하고 국내 임상 영양치료의 표준 교과서가 되기를 희망합니다. 끝으로 2판을 기획해주시고 편찬작업을 맡겨주신 박상재 회장님, 뒤에서 밀어 주신 학회 상임이사님들과 대한외과대사영양학회 회원님들께 감사드리며, 무엇보다도 바쁘신 가운데도 집필을 수락해주신 각 대학에서 전문가로 활동 중이신 집필진 선생님, 교과서가 잘 출판될 수 있도록 노력을 아끼지 않으셨으며 편찬 방향과 의도를 함께 토의하고 감수까지 해주신 편찬위원회 간사, 위원님들과 권지영 실장님, 가본의학서적에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2024년 3월 대한외과대사영양학회 편찬위원회 위원장 김범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