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4. 조선후기 『화엄소초』의 한국 유전과 불교미술의 제작 양상 …………………………· 348 김자현
05. 과도科國와 사기私記를 활용한 간경법看經法 …………………………………………·· 097 봉선사 능엄승가대학원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선화(선암)
이용현황보기
징관(澄觀)의 불교세계에 대한 해석 : 동아시아 불교의 관점에서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078482
294.83 -24-1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이용가능
0003078483
294.83 -24-1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글로컬 한국불교 총서 글로컬 한국불교 총서는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에서 기획한 한국불교 관련 연구 및 번역 시리즈이다. 이는 본 연구원에서 수행한 인문한국(HK) 사업(‘글로컬리티의 한국성: 불교학의 문화확장 담론’)에 이어지는 인문한국플러스(HK+)사업의 아젠다 ‘한국불교의 글로컬리티: 문헌·계보학으로 본 전통의 재해석’의 학문적 심화와 사회적 확산을 위해 특화된 기획 총서이기도 하다. ‘글로컬glocal’은 글로벌global과 로컬local의 합성어로서, 한국불교의 지역적 특수성과 범세계적 보편성을 동시에 조망할 수 있는 개념이다. 본 총서는 이러한 시각에서 한국불교를 새로운 차원에서 조명하는 연구서와 번역서로 구성되며, 이를 통해 한국불교의 글로컬리티를 탐색해 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