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서설

〈계원담총〉

시의 원류와 근래 시의 병폐
시의 풍교적 효용성과 이양연의 시
이양연의 딱다구리와 널다리 시
금강산 시의 수작
박은과 허난설헌의 시격
최립 시의 굳센 풍격
이안눌과 최립의 시격 비교
이규보와 박은의 시격 비교
이항복의 시격과 기상
박홍미 시의 풍격과 시참
역대 왕소군 시의 고하
남상교의 「유서팔영」 시
이제현, 신위, 조수삼의 버들솜 시
표절을 범한 옛 시 구절
우연히 같게 된 옛 시 구절
여러 기러기 시의 고하
정철을 애도한 권필의 시
옛 시 평가의 어려움
중국인이 경복한 김상헌의 시격
안동 김문 육창六昌 시의 성대함
김창흡의 청심루 시에 얽힌 이야기
유몽인의 시격
재앙을 막는 시와 부르는 시
재앙을 멈춘 정약용의 시
이희지의 시재
이정 시의 차운작
임진왜란 때 이호민의 시
김귀영의 칠보시
윤휴의 독창적인 재주
이명한이 놀란 강백년의 시
임금이 아낀 오도일의 시재
나그넷길을 읊은 작자 미상의 명구들
정유길의 충후한 시격과 일화
신유한 시의 호방함
임금이 칭찬한 채팽윤의 즉석 시
하늘과 사람을 감동시킨 단종릉 참배시
내가 지은 사릉 참배시
이광려의 시격
일본에서 이름난 이언진의 시재
이언진을 조문한 이용휴의 시
이용휴의 뛰어난 풍경 묘사
박지원의 고아한 한시
천한 종으로 시를 잘 쓴 이단전
시로 면천된 정초부의 한시
그밖에 신분이 천한 시인들
김택영의 역대 한시 평
선배들의 역대 제가 시평
신위의 「동인논시절구」 24수
안정복의 돈후한 시작품
세상에 이름난 임정의 시
허필의 해맑은 시풍
이희사의 분방한 시격
여종을 잃고 쓴 이희사의 한시
채제공의 호방하고 굳센 시
정범조의 재치와 순발력
여주 이씨 가문의 뛰어난 시인들
강세황의 시재
이기진 시의 풍격
당론의 폐해가 시에 미친 영향
사가의 호방한 시풍
이덕무의 노련한 솜씨
유득공의 고상한 시재
박제가의 호탕한 시풍
이서구의 해맑은 시격
김정희의 품격 높은 작품
이명오의 시재
정상관의 과부시
이학규의 아낄 만한 시재
이황중 시의 만당적 풍격
이만수, 홍의호, 홍석주의 연광정 시
조수삼의 선죽교 시
시문 모두 경지에 오른 이상적
울분이 담긴 강위의 시
중국에서 평을 받아온 『한사객시선』
홍기주의 대표작
정기우의 대표작
이중하의 대표작
여규형의 비범한 시재
이근수 시의 기상
한말 시단을 창도한 이건창과 김택영
김택영의 웅혼한 기행 시편
황현의 굳세고 치밀한 시체
김택영과 황현 시의 비교
동학 난리 당시 이기남의 시
윤희구의 굳센 시풍
차천로의 민첩한 솜씨
차운로의 정밀한 시풍
조신준의 시재
임창택의 시
한재렴의 시
박문규의 해박한 시재
백응현과 백기진의 시
폭포를 노래한 고금의 절창
이기 시의 불평한 기상
이건방의 시격과 대표작
정만조의 시격과 대표작
정병조의 시격과 대표작
조병건의 시풍
박풍서와 김영한, 이범세의 인품
박풍서의 대표작
김영한의 대표작
이범세의 대표작
박치형의 특별한 시재
근래의 시승 보윤의 시
홍수에 떠내려간 성천의 작은 산
신좌모의 솜씨
정현덕의 호방한 시격

원문/ 찾아보기/ 지은이ㆍ옮긴이 소개

이용현황보기

계원담총 : 충후한 기운과 고상한 울림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080844 811.9109 -24-4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이용가능
0003080845 811.9109 -24-4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이용가능
B000107615 811.9109 -24-4 부산관 종합자료실(1층)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균형 잡힌 시선과 수준 높은 안목으로
조선 후기부터 근대까지
우리 한시 문단을 충실히 되짚어보다


일제 강점기 교육자이자 한학자였던 이승규(李昇圭, 1882~1954)의 한문 시화집(詩話集) 『계원담총(桂苑談叢)』을 현대어로 옮기고 주해와 서설을 달았다. 한국 역대 한시의 주요 작가와 작품들이 모두 107개 항목에 걸쳐 흥미로운 예화와 함께 소개되어 있다.
당시 많은 시화들이 『동인시화』, 『소화시평』 등 이전 시기 시화에서 발췌 인용하여 재편집한 수준에 머문 데 반해, 『계원담총』은 시를 선별하는 저자 특유의 시선이 살아 있는데다, 널리 알려지지 않은 시인과 시, 다양한 소재와 일화를 소개함으로써 시단의 흐름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한 배열이 돋보인다. 매 항목 끝에 남긴 작품평에서도 저자 특유의 색깔이 드러난다. 특히 18세기 문단의 남인과 북학파 시인, 19세기와 20세기 초 시인에 대한 저자의 관심과 애정을 보여주는 자료들이 폭넓게 수록되어 있다. 지면 연재의 형식을 거치지 않고 순한문으로 쓰인 독립 저술이어서, 전통 시대 시화의 저작 전통을 유지한 점 또한 주목할 만하다. 독회를 거치며 번역을 이끈 정민 교수는 이 책을 “근대 시기 시화사의 끝자락에서 제출된 시화 중 단연 탁월한 안목과 균형 잡힌 시야를 제시한 수작”으로 꼽는다.
우리 고전문학의 정수를 가려 꼽은, 성균관대학교출판부 ‘시화총서시리즈’의 여덟 번째 책이다.

저자 이승규의 일생

저자는 어려서 부친에게서 한학을 익혔다. 20대 초반에 상경해 성균관에 입학한 후엔 일제의 국권 침탈을 목도하며 근대 학문과 민족운동의 필요성을 절감했다. 재학 당시 독립운동가들과 교유했고, 을사늑약으로 국권을 빼앗기자 민족 지도자들과 함께 국권회복운동 전면에 나섰다. 합방 후에는 만주 한국사관학교(신흥무관학교 전신) 설립에 참여했으며, 고향에 돌아온 뒤에는 지역 유지들과 힘을 모아 4년제 소학교인 옥성학교(玉成學校)를 설립했다. 이후에도 여러 방면으로 조국 독립을 위한 활동을 계속했다.
1920년 《동아일보》가 창간되자 기자로 입사해 언론 활동을 통한 민족의식 고취에 힘썼다. 1920년에는 보성학교 교사로 자리를 옮겼고, 조선어연구회(조선어학회 전신) 설립에 참여했다. 1922년에는 휘문학교로 자리를 옮겨 후진 양성과 조선어연구회 및 집필 활동을 활발히 진행했다.
한편 1931년 친일 성향의 조선유림연합회 설립 총회에 총재 자격으로 참여했으며, 1936~1939년 조선총독부 직속 명륜학원 강사를 겸직했다. 1942년과 43년에는 총독부 기관지인 『경학원잡지(經學院雜志)』에 「조선시학고(朝鮮詩學考)」를 잇달아 발표하는 등 그간과 조금 다른 행보를 보였다. 하지만 구체적으로 드러난 친일 행적은 찾아볼 수 없으며, 경학원 내 친일 세력과도 오래잖아 결별의 수순을 밟았다.
해방 후에는 전조선문필가대회에 추천 회원으로 참여했으며, 전국유교연맹을 결성하면서 부위원장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1947년부터 6.25 발발 때까지 서울시립농과대학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후진을 양성하다 귀향했고, 1954년 3월 1일 73세를 일기로 눈을 감았다.

그의 저술들

그는 문필가이자 시인으로 신문 지면을 통해 한국 한시의 아름다움을 지속적으로 소개했다. 그의 저술은 다양하고 풍부하다. 먼저 ‘창동시집(滄東詩集)’이란 부제가 달린 『간암만록(艮庵謾錄)』에 240제 347수의 자작 한시를 남겼다. 필사본 『계원담총』 뒤에도 『간암만록』이란 같은 제목 아래 30제 41수의 한시가 따로 남아 있다. 시화로는 『계원담총』이 대표작이고, 이밖에 『동양시학원류(東洋詩學源流)』와 『대동시화집성(大東詩話集成)』이 있다. 따로 『계산시화(桂山詩話)』, 『시단금설(詩壇金屑)』, 『일사시화(逸史詩話)』 등의 3종 시화를 신문 연재 형식으로 집필하기도 했다. 보건대 이승규는 무엇보다 특별히 시화 방면에 큰 성과를 남겨 일제 강점기 1930년대 시화사에서 우뚝한 존재감을 드러냈다.
교과서로는 『중학한문독본』(박문서관, 1920)을 남겼다. 보성고보 교사 시절인 1920년에 이광종(李光鍾)과 함께 쓴 것으로, 일제 강점기 이후 한문 교과서의 기준이 된 의미 있는 책자다. 그의 산문 중에는 『정다산선생전』과 『이충무공전』이 단연 눈길을 끈다.

『계원담총』, 근대 시화사 끝자락의 정채로운 시론

『계원담총』이란 책의 제목은 한시 문단의 여러 작가와 작품 및 고사를 총합한 이야기 묶음이란 의미다. ‘계원’은 종로구 계동(桂洞)에 있던 저자의 처소를 나타내기도 하지만, 신라 최치원의 『계원필경집(桂苑筆耕集)』의 용례에서 알 수 있듯 문원(文苑), 즉 문단(文壇)의 뜻도 담긴 중의적 표현으로 사용되었다.
이제 『계원담총』이 품은 시론의 핵심과 시화집 구성 및 그 내용의 특징을 요약해 짚어본다.

__시관(詩觀)에 대하여
이승규는 시를 하나의 생명체로 보았다. ‘성정지정(性情之情)’을 얻은 바탕 위에 ‘견사(遣事)’와 ‘속대(屬對)’, ‘추자(錘字)’와 ‘결향(結響)’이 제각기 온당함을 얻어야 함을 주문했다. 즉, 서사는 간결하게, 대구는 온당하게, 글자는 노련하게, 소리는 고상하게 놓여야 비로소 한 편의 시가 혈맥이 살아 움직이고 수미가 갖추어져 생명력을 부여받게 된다. 하지만 근대의 한시들을 보면 서둘러 이루려다가 너무 밋밋해지고, 재주를 부리려다 기교에 빠지고 마는 문제점이 있다고 지적했다. 또 전체 작품의 연결과 구성을 따지지 않고, 한 연(聯)의 공교로움만 다투느라 전편의 완성도를 잃고 마는 것도 문제라고 했다. 그는 이러한 시관(詩觀)을 통해 자신이 『계원담총』에서 시를 선별한 기준을 비교적 분명히 제시한다.

__평시(評詩)의 기준에 대하여
시를 평하는 데 염두에 두어야 할 다섯 가지 측면도 언급했다. 첫째는 시대별로 풍조가 일정하지 않은 것이다. 각 시대마다 그 시대 특유의 취향이 있으므로, 현재 취향으로 옛 시를 함부로 재단해서는 안 된다.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둘째는 작가별 개성의 차이다. 저마다 장단점이 있고, 색깔이 다르기에 한 가지 기준을 들이대서는 안 된다. 셋째는 각각의 시편이 지어진 정황이 다른 점이다. 그때 그 의경(意境) 속에 놓여보지 않고서 주관적 판단에 따라 멋대로 평가할 수 없다. 넷째는 옛 시의 감춰진 행간을 뒷사람이 헤아리기 어렵다는 사실이다. 당시 무언가 뜻이 있어 한 말을 문면 그대로 받아들이면, 쌍방의 감수에 큰 차이가 발생한다. 다섯째는 취사선택의 기준이 같지 않은 점이다. 이를 고려하지 않을 경우 평가 또한 달라지고 만다.

__조선 후기 및 근대 시단을 바라보는 균형 잡힌 시선
『계원담총』은 전체적으로 일관된 순서를 갖추지는 못했지만, 큰 주제마다 이를 잘 보여주는 제가 시인의 풍격과 대표작을 시대 순으로 예시하여, 시사(詩史)를 통시적으로 살피려 노력했다. 인용한 매 작품 끝에 단 작가의 촌평은 간결하면서도 핵심을 명확히 짚어내 평자의 균형 잡힌 선시(選詩)와 시평의 안목을 잘 보여준다.
무엇보다 『계원담총』의 가치는 조선 후기와 근대 및 당대 시단에 대한 충실한 보고를 담고 있는 데서 더욱 빛난다. 이는 이전 시기의 시화들과는 결을 크게 달리하는 부분이다. 아울러 선별한 작가들의 구성으로 보면, 역대 시화에서 다루지 않았던 재야의 시인을 소개하려 애쓴 흔적이 뚜렷하다. 한시의 미학 가치가 퇴조하던 시기에 전통적 미감과 안목으로 펼쳐 보여준 한시사 정리는 그래서 더 가치가 높다.

책속에서

알라딘제공


[P. 37] “(…) 근래의 시는 두 가지 병폐가 있다. 평탄하게 서술함은 갑작스레 이루는 것에서 잘못되고, 아로새김은 경박한 기교에서 잃고 만다. 전체 작품 안에서 단지 한 연(聯)의 빼어남만을 다투다보니 ‘청(靑)’을 가지고 ‘백(白)’에 견주느라 구절만 있고 전체 글이 없게 되어, 이 때문에 옛날과의 거리가 날로 멀어지게 되었다.”
― ‘1. 시의 원류와 근래 시의 병폐’ 중에서
[P. 82] 옛사람의 시를 평하는 데는 다섯 가지 어려움이 있다. 첫째는 고금의 풍격과 가락이 변한 것이고, 둘째는 작자의 성격이 저마다 다른 것이다. 셋째는 처한 바의 정경(情境)이 각기 다른 것이고, 넷째는 옛사람이 뜻을 깃들여 깊이 감춰둔 곳을 뒷사람이 말미암아 간파할 수 없는 것이며, 다섯째는 취하고 버리는 주견이 같지 않은 점이다. 이렇듯 다섯 가지 어려움이 있는데도 경솔하게 붓을 내려 단정 지어 말한다면, 참람하지 않으면 망령되게 될 것이니, 경계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 ‘18. 옛 시 평가의 어려움’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