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요약 5

Abstract 11

제1장 서론 29

1. 연구 필요성과 목적 30

2. 선행연구 및 본 연구의 차별성 35

3. 연구 범위 및 대상 47

4. 연구 추진 방법 및 체계 48

5. 연구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49

제2장 농식품 수출구조의 변화와 FTA 수출활용실태 50

1.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구조 변화 51

2. 농식품 수출 FTA 활용 동향과 특징 61

2.1. FTA 수출활용률 개괄 61

2.2. FTA별 수출활용률 주요 특징 66

제3장 FTA 원산지규정 효과와 논의 동향 69

1. 원산지규정의 개념 70

2. 원산지규정의 경제 효과 73

2.1. 무역과 후생 효과 76

2.2. 투자 효과 80

2.3. 기업의 효율성과 생산성 82

3. 특혜원산지규정 기능 및 효과 85

3.1. 원산지규정의 기능 85

3.2. 특혜원산지규정의 근거 및 효과 86

4. 원산지규정 국제 논의 동향 및 특징 93

4.1. 국제 논의 동향 93

4.2. USMCA와 CPTPP 원산지규정의 주요 특징 95

제4장 우리나라 FTA 원산지규정 운용 체계 101

1. FTA 원산지결정기준 및 운용 체계 102

2. FTA 원산지결정기준 주요 내용 107

2.1. 완전생산기준 107

2.2. 역내가공원칙, 충분가공원칙, 직접운송원칙 109

2.3. 품목별 원산지결정기준 110

2.4. FTA 원산지규정 적용 사례 113

제5장 FTA 원산지규정이 농식품 수출에 미치는 영향 분석 117

1. 기체결 FTA 원산지규정 주요 특징 118

2. 기체결 FTA 원산지규정의 엄격성 특징 122

2.1. FTA 원산지규정 엄격성 기준설정 122

2.2. FTA별 품목별 원산지결정기준 분포 125

3. FTA 원산지규정이 수출활용률에 미치는 영향 분석 134

3.1. 분석모형 설정 134

3.2. 분석자료 136

3.3. 농식품 수출 결정요인 분석 결과 138

제6장 농식품 수출기업 FTA 원산지규정 활용실태와 의향 분석 141

1. 농식품 수출기업 FTA 원산지규정 활용실태 142

1.1. 조사개요 142

1.2. FTA 특혜관세 활용현황 149

1.3. FTA 지원사업 및 향후 필요 정책 183

2. 농식품 수출기업 FTA 원산지규정 활용 의향 결정요인 188

제7장 농식품 수출기업 FTA 원산지규정 활용 제고방안 194

1. 농식품 수출기업 FTA 원산지규정 활용실태 195

2. FTA별 원산지결정기준 원재료 관리전략 197

3. 원산지(포괄) 확인서 확대를 통한 FTA 원산지증명 원활화 199

4. FTA 원산지규정 활용정보제공 다양화 및 체계화 201

5. FTA 원산지 종합관리 시스템 구축 202

6. FTA 원산지활용 컨설팅 및 교육 강화 203

7. 디지털 무역을 위한 시스템 구축 205

8. FTA 지원사업 신청 절차 개선 및 간소화 206

9. 기타 지원 207

[부록 1] 부류별 FTA 수입시장에서 차지하는 수출 비율의 변화(HS 2단위 세번) 209

[부록 2] FTA별 우리나라 농식품 FTA 수출활용률 215

[부록 3] FTA별 우리나라 농식품 FTA 수입활용률 216

[부록 4] 우리나라 기체결 FTA 원산지결정기준 세부 유형ㆍ부류별 내역 217

[부록 5] 품목별 원산지결정기준 FTA별 비교 220

[부록 6] 농식품 수출 FTA 원산지결정기준 위반사례 223

[부록 7] FTA 원산지규정 종합관리 시스템 구축 세부내역 225

참고문헌 227

판권기 3

표목차

〈표 1-1〉 기존 선행연구 분류 36

〈표 2-1〉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 주요 특징 56

〈표 2-2〉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입 FTA 특혜관세 활용현황 61

〈표 2-3〉 주요 FTA 발효국의 관세구조 현황 66

〈표 3-1〉 우리나라 원산지규정 체계 72

〈표 3-2〉 USMCA와 CPTPP 원산지규정 일반기준의 주요 특징 비교 99

〈표 3-3〉 USMCA와 CPTPP 품목별 원산지결정기준 주요 특징 비교 100

〈표 4-1〉 식물성 생산품 FTA 완전생산기준 요건 107

〈표 4-2〉 살아있는 동물과 동물성 생산품 FTA 완전생산기준 요건 108

〈표 4-3〉 원재료 조달방식과 원산지재료와 비원산지재료 구분 111

〈표 4-4〉 부가가치기준과 산출방식 및 방법 112

〈표 4-5〉 FTA별 부가가치기준 산출방식 113

〈표 4-6〉 한ㆍEU와 한ㆍ미 FTA를 활용한 원산지규정 적용 사례(예시) 113

〈표 4-7〉 한ㆍ미 FTA 활용 시 관세 혜택(예시) 115

〈표 4-8〉 한ㆍ아세안 FTA를 활용한 원산지규정 적용 사례(예시) 115

〈표 5-1〉 부류별 우리나라 기체결 FTA 품목별 원산지결정기준 유형 119

〈표 5-2〉 FTA 품목별 원산지결정기준별 엄격성 분포 123

〈표 5-3〉 한ㆍ칠레 FTA 품목별 원산지결정기준 유형 HS 2단위별 현황 127

〈표 5-4〉 한ㆍ아세안 FTA 품목별 원산지결정기준 유형 HS 2단위별 현황 129

〈표 5-5〉 한ㆍEU FTA 품목별 원산지결정기준 유형 HS 2단위별 현황 130

〈표 5-6〉 한ㆍ미 FTA 품목별 원산지결정기준 유형 HS 2단위별 현황 131

〈표 5-7〉 한ㆍ중 FTA 품목별 원산지결정기준 유형 HS 2단위별 현황 132

〈표 5-8〉 한ㆍ베트남 FTA 품목별 원산지결정기준 유형 HS 2단위별 현황 133

〈표 5-9〉 주요 변수 설명 136

〈표 5-10〉 주요 변수 기초통계량 137

〈표 5-11〉 FTA 원산지규정이 수출 및 수출활용률에 미치는 영향 139

〈표 5-12〉 FTA 원산지규정이 수출 및 수출활용률 추정 결과 140

〈표 6-1〉 응답업체의 소재지 143

〈표 6-2〉 응답업체의 매출액 및 고용인력 현황 144

〈표 6-3〉 응답업체의 농식품 수출액 및 수출 전담인력 현황 145

〈표 6-4〉 응답업체의 FTA 수출액 및 수출 전담인력 현황 147

〈표 6-5〉 수출 전담부서 유무에 따른 수출업체들의 특성 148

〈표 6-6〉 원산지인증 수출자 자격 유무에 따른 농식품 수출액 149

〈표 6-7〉 FTA 원산지규정 관련 업무 수행 및 수혜 대상자 153

〈표 6-8〉 응답업체의 주요 수출대상국 154

〈표 6-9〉 응답업체의 주요 활용 FTA 156

〈표 6-10〉 응답업체의 수출품목 157

〈표 6-11〉 FTA 원산지규정 활용 이유 162

〈표 6-12〉 수출규모별 FTA 원산지규정 활용 이유 163

〈표 6-13〉 국가별 FTA 원산지규정 활용 이유(복수응답) 166

〈표 6-14〉 품목류별 FTA 원산지규정 활용 이유(복수응답) 169

〈표 6-15〉 FTA 원산지규정 미활용 이유 170

〈표 6-16〉 수출규모별 FTA 원산지규정 미활용 이유 171

〈표 6-17〉 국가별 FTA 원산지규정 미활용 이유(복수응답) 176

〈표 6-18〉 품목류별 FTA 원산지규정 미활용 이유(복수응답) 179

〈표 6-19〉 FTA 원산지규정 활용 증대를 위해 필요한 정책 우선순위 186

〈표 6-20〉 농식품 수출기업의 FTA 원산지규정 활용 의향 결정요인 분석 190

〈표 6-21〉 전체 농식품 수출기업 FTA 원산지규정 활용 의향 한계효과 191

〈표 6-22〉 신선/가공 농식품 수출기업 FTA 원산지규정 활용 의향 한계효과 193

〈표 7-1〉 관세청장이 인정하는 원산지(포괄)확인서 200

〈표 7-2〉 FTA 원산지 종합관리 시스템 구축 203

그림목차

〈그림 1-1〉 연구 범위 및 대상 47

〈그림 1-2〉 연구 추진체계 49

〈그림 2-1〉 세계 지역무역협정 추진현황 52

〈그림 2-2〉 우리나라 FTA 추진현황(2023년 1월 현재) 52

〈그림 2-3〉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현황 53

〈그림 2-4〉 우리나라 농식품 對세계ㆍFTA 수출액 및 비율(2018~22년 평균) 57

〈그림 2-5〉 2018~22년 우리나라 농식품의 對세계ㆍFTA 품목별 수출증가율 58

〈그림 2-6〉 우리나라 농식품 가공도별 FTA 농식품 시장점유율 변화 59

〈그림 2-7〉 FTA별 농식품 수출활용률과 수출액(2020~22년 평균) 62

〈그림 2-8〉 품목별 FTA 농식품 수출활용률과 수출액(2020~22년 평균) 63

〈그림 2-9〉 가공도별 농식품 FTA 수출활용률과 수출액(2020~22년 평균) 63

〈그림 2-10〉 주요 FTA별 수출활용률과 특혜이윤 간의 관계 65

〈그림 2-11〉 FTA 부류별 수출활용률의 주요 특징 68

〈그림 3-1〉 원산지규정 분류 72

〈그림 3-2〉 무역굴절현상 예시 88

〈그림 3-3〉 특혜 및 비특혜 원산지규정과 엄격성과의 관계 90

〈그림 3-4〉 원산지규정의 엄격성과 무역창출효과 간의 관계 91

〈그림 3-5〉 FTA 원산지규정의 엄격성과 무역전환효과 간의 관계 92

〈그림 4-1〉 FTA 원산지결정기준 체계 103

〈그림 5-1〉 우리나라 기체결 FTA별 원산지규정 분포 120

〈그림 5-2〉 대륙별 우리나라 기체결 FTA별 원산지규정 분포 121

〈그림 5-3〉 FTA별 엄격성지수 126

〈그림 5-4〉 HS 2단위 품목별 엄격성지수 126

〈그림 5-5〉 가공단계별 원산지 엄격성지수 127

〈그림 6-1〉 응답업체의 총 고용인력에서 수출 전담인력이 차지하는 비율 145

〈그림 6-2〉 응답업체의 매출액 대비 수출액 비율 146

〈그림 6-3〉 응답업체의 농식품 수출액에서 FTA 활용 수출액이 차지하는 비율 147

〈그림 6-4〉 응답업체의 원산지인증 수출자 여부 148

〈그림 6-5〉 FTA 특혜관세 인지도 150

〈그림 6-6〉 FTA 특혜관세 정보 습득경로 151

〈그림 6-7〉 FTA 특혜관세 활용 경험 및 적용 수출 건수 151

〈그림 6-8〉 농식품 수출 시 FTA 특혜관세 적용 확인 및 필요성 152

〈그림 6-9〉 주요 국가별 FTA 원산지규정 활용 이유(복수응답) 165

〈그림 6-10〉 주요 수출품목류별 FTA 원산지규정 활용 이유(복수응답) 168

〈그림 6-11〉 주요 국가별 FTA 원산지규정 미활용 이유(복수응답) 174

〈그림 6-12〉 주요 수출품목류별 FTA 원산지규정 미활용 이유(복수응답) 178

〈그림 6-13〉 FTA 활용 중 애로사항 경험 여부 181

〈그림 6-14〉 FTA 활용단계별 애로사항 경험 여부(복수응답) 182

〈그림 6-15〉 원산지증명서 발급 관련 애로사항(복수응답) 183

〈그림 6-16〉 FTA 지원사업 참여 현황 184

〈그림 6-17〉 향후 FTA 활용계획 187

〈그림 6-18〉 향후 수출 확대 방안 188

〈그림 7-1〉 FTA 원산지규정 활용 제고방안 197

〈그림 7-2〉 단계별 컨설팅 활용방안 205

글상자목차

〈글상자 3-1〉 원산지규정과 생산비용의 관계 83

〈글상자 3-2〉 원산지규정 영향에 대한 실증 증거 84

이용현황보기

농식품 수출 확대를 위한 FTA 원산지규정 활용방안 = A study on enhancing utilization of rules of origin in Korea's FTAs : a focus on the agri-food exporters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094280 382.9 -24-5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이용가능
0003096858 382.9 -24-5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