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지] 1
연구개요 3
목차 7
I. 서론 14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4
2. 연구 문제 17
II. 이론적 배경 18
1. 머신러닝과 학습 분석 18
가. 머신러닝 18
나. 학습 분석 25
2. 학업지속 34
가. 학업지속의 개념 34
나. 학업지속의 영향 요인 관련 선행 연구 검토 34
다. 학업지속 모형 검토 44
3. 연구의 분석 틀 50
III. 학업지속 영향 요인들의 단계별 현황 분석 52
1. 개인 배경 변인과 학업지속 현황 분석 52
가. 입학유형별 학업지속 현황 분석 52
나.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학업지속 현황 분석 53
다. 입시 관련 변인에 따른 학업지속 현황 분석 62
2. 학습 과정 변인과 학업지속 현황 분석 70
가. 매체 강의 수강에 따른 학업지속 현황 분석 70
나. 수강 과목 형태에 따른 학업지속 현황 분석 92
3. 학문적 통합 변인과 학업지속 현황 분석 101
가. 학업 성취와 학업지속 현황 분석 101
나. 매체강의평가와 학업지속 현황 분석 103
IV.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한 학업지속 관련 요인 분석 117
1. 분석 개요 117
가. 분석 데이터 117
나. 분석 알고리즘 및 절차 120
다. 결과 분석 120
라. 신·편입생의 학업지속 중요 예측요인들간 관계 분석 모형 122
2. 신입생의 학업지속 중요 예측 요인 분석 124
가. 학업지속 집단 분류의 정확성 124
나. 학업지속 예측 요인 분석 124
3. 편입생의 학업지속 중요 예측 요인 분석 137
가. 학업지속 집단 분류의 정확성 137
나. 학업지속 예측 요인 분석 137
4. 신·편입생의 학업지속 관련 공통 및 차별 분석 151
가. 신·편입생의 학업지속 관련 공통 예측 요인 151
나. 신입생의 학업지속 차별 예측 요인 153
다. 편입생의 학업지속 차별 예측 요인 154
V. 요약 및 논의 156
1. 요약 156
2. 논의 및 제언 160
3. 후속 연구과제 162
참고문헌 164
[그림 II-1] 학습분석학의 분석 단계 27
[그림 II-2] 지식의 연속체 모형 29
[그림 II-3] 집합적 적용 모형 30
[그림 II-4] 지속적 향상을 위한 학습분석학 모형 31
[그림 II-5] Tinto의 학업지속 모형 45
[그림 II-6] Bean의 학업지속 모형 46
[그림 II-7] 김재웅(1992)의 학업지속 종합 모형 47
[그림 II-8] Kember(1989)의 원격교육 학습자 학업지속 모형 48
[그림 II-9] 윤여각 외(2007)의 학업지속 개념적 연구모형 49
[그림 II-10] 방송대 신·편입생 대상 학업지속 분석 틀 50
[그림 III-1] 학업지속 집단간 매체 강의를 수강하지 않은 학생 비율 추이 71
[그림 III-2] 주차별 매체 강의 학습시간 73
[그림 III-3] 신입생 대상 학업지속 집단간 매체 강의를 수강하지 않은 학생 비율 추이 75
[그림 III-4] 편입생 대상 학업지속 집단간 매체 강의를 수강하지 않은 학생 비율 추이 75
[그림 III-5] 신입생 대상 두 번째 학기 등록 여부에 따른 주차별 강의 학습시간 79
[그림 III-6] 편입생 대상 두 번째 학기 등록 여부에 따른 주차별 강의 학습시간 79
[그림 III-7] 주차별 매체 강의 학습 완료 비율과 학업지속 현황 81
[그림 III-8] 신입생 대상 주차별 매체 강의 학습 완료 비율과 학업지속 현황 84
[그림 III-9] 편입생 대상 주차별 매체 강의 학습 완료 비율과 학업지속 현황 85
[그림 III-10] 유캠퍼스 로그인 횟수와 학업지속 현황 87
[그림 III-11] 신입생 대상 유캠퍼스 로그인 횟수와 학업지속 현황 91
[그림 III-12] 편입생 대상 유캠퍼스 로그인 횟수와 학업지속 현황 91
[그림 IV-1] SHAP 요약 도표 예시 121
[그림 IV-2] SHAP 의존성 도표 예시 121
[그림 IV-3] 방송대 신·편입생 대상 학업지속 중요 예측 요인들간 포함 관계 122
[그림 IV-4] 신입생_SHAP 요약 도표 127
[그림 IV-5] 신입생_'학습 과정' 중 '유캠퍼스 로그인횟수' 관련 SHAP 의존성 도표... 132
[그림 IV-6] 신입생_'학습 과정' 중 '유캠퍼스 로그인횟수' 관련 SHAP 의존성 도표... 133
[그림 IV-7] 신입생_'학습 과정' 중 '유캠퍼스 로그인횟수' 관련 SHAP 의존성 도표... 134
[그림 IV-8] 신입생_'학습 과정' 중 '수강과목' 및 '매체 강의 수강' 관련... 135
[그림 IV-9] 신입생_'개인 변인' 관련 SHAP 의존성 도표 136
[그림 IV-10] 신입생_'학문적 통합' 관련 SHAP 의존성 도표 136
[그림 IV-11] 편입생_SHAP 요약 도표 140
[그림 IV-12] 편입생_'학습 과정' 중 '유캠퍼스 로그인횟수' 관련 SHAP 의존성 도표... 146
[그림 IV-13] 편입생_'학습 과정' 중 '유캠퍼스 로그인횟수' 관련 SHAP 의존성 도표... 147
[그림 IV-14] 편입생_'학습 과정' 중 '매체 강의 수강' 관련 SHAP 의존성 도표 148
[그림 IV-15] 편입생_'학습 과정' 중 '수강 과목' 관련 SHAP 의존성 도표 149
[그림 IV-16] 편입생_'개인 배경' 관련 SHAP 의존성 도표 149
[그림 IV-17] 편입생_'학문적 통합' 관련 SHAP 의존성 도표 150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