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지] 1
제출문 3
목차 5
I. 서론 8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0
2. 연구 내용 및 방법 11
1) 연구 기간 및 대상 11
2) 연구 내용 12
3) 연구 방법 13
II. 본론 46
1. 영산강 잠재자원 48
1) 목포 영산호(木浦 榮山湖) 48
2) 목포진과 삼학도(木浦鎭과 三鶴島) 54
3) 목포 입암산(木浦 笠巖山) 61
4) 영암 부춘정(靈巖 富春亭) 65
5) 함평 사포나루(咸平 沙浦津) 71
6) 나주 영산포 및 황포돛대(羅州 榮山浦 및 黃浦津) 76
7) 나주 죽산보(羅州 竹山洑) 82
8) 나주호(羅州湖) 84
9) 광주 월봉서원(光州 月峯書院) 86
10) 광주 칠송정(光州 七松亭) 89
11) 광주 승촌보(光州 昇村洑) 91
12) 광주 풍영정(光州 風詠亭) 93
13) 화순 능주 삼충각(和順 綾州 三忠閣) 101
14) 화순 영벽정(和順 映碧亭) 103
15) 화순 환산정(和順 環山亭) 110
16) 담양호(潭陽湖) 114
17) 담양향교와 담양죽녹원(潭陽鄕校와 潭陽竹綠圓) 117
18) 장성 요월정 원림(長城 邀月亭 園林) 124
2. 영산강 우수 잠재자원 130
1) 이충무공 유적 고하도(李忠武公 遺跡 高下島) 130
2) 목포 유달산(木浦 儒達山) 136
3) 나주 가야산과 앙암(羅州 伽倻山과 仰巖) 144
4) 나주 우습제(羅州 牛拾堤) 154
5) 나주 느러지(羅州 어오지, 於五之) 160
6) 나주 십리송(羅州 十里松) 168
7) 광주 호가정(光州 浩歌亭) 174
8) 화순 송석정(和順 松石亭) 180
9) 담양 가마골 용소(潭陽 가마골 龍沼) 191
3. 섬진강 잠재자원 197
1) 옥정호와 양요정(玉井湖와 兩樂亭) 197
2) 사선대(四仙臺) 205
3) 만취정(晩翠亭) 210
4) 순창 구암정(淳昌 龜巖亭)과 만수탄 형제암(萬水灘 兄弟巖) 217
5) 순창 어은정(淳昌 漁隱亭) 223
6) 순창 적성진(淳昌 赤城津, 순창나루) 228
7) 순창 귀래정(淳昌 歸來亭) 234
8) 남원 영사정(南原 永思亭) 239
9) 남원 무진정(南原 無盡亭) 244
10) 섬진강 발원지 데미샘(蟾津江 發源地 데미샘) 250
11) 진안 쌍계정(鎭安 雙磎亭) 254
12) 곡성 청계동(谷城 淸溪洞) 257
13) 곡성 횡탄정(谷城 橫灘亭) 263
14) 곡성 침실습지(谷城 寢室濕地) 266
15) 압록나루터(鴨綠津) 269
16) 구례 방호정(求禮 方壺亭) 275
17) 구례 운흥정(求禮 雲興亭) 278
18) 구례 석주관 칠의사묘(求禮 石柱關 七義士墓)와 석주관성(石柱關城) 282
19) 구례 오봉정사(求禮 五鳳精舍) 284
20) 하동 쌍계사 차나무 시배지 일원(河東 雙磎寺 茶나무 始培地 一圓) 288
21) 하동 화개장터(河東 花開場址) 292
22) 두곡포구(豆谷浦口), 섬진나루(蟾津津), 동박동나루(東朴洞津) 297
23) 하동포구(河東浦口), 문도나루터(津夫津), 두치진(豆恥津) 302
24) 광양 망덕포구(光陽 望德浦口) 310
25) 보성 일림산(寶城 日林山) 314
4. 섬진강 우수 잠재자원 318
1) 순창 장군목, 순창 장구목 일원(淳昌 長口木 一圓) 318
2) 진안 수선루 일원(鎭安 睡仙樓 一圓) 322
3) 곡성 함허정 일원(谷城 涵虛亭 一圓) 326
4) 곡성 호곡나루터(谷城 虎谷津) 334
5) 구례 용호정과 용두리 일원(求禮 龍湖亭과 龍頭里 一圓) 339
6) 구례 연곡사 및 피아골 일원(求禮 鷰谷寺 및 稷田洞 一圓) 345
7) 하동 고소성 일원(河東 姑蘇城 一圓) 354
8) 하동 악양 동정호 일원(河東 岳陽 洞庭湖 一圓) 359
9) 광양 섬진진 일원(光陽 蟾津鎭 一圓) 364
5. 거대AI 모델 활용 문화재 데이터 구축 및 관리방안 371
1) 명승 잠재자원 AI 데이터 구축 371
2) 국가지식·글로벌 데이터 개방·활용 촉진 373
III. 결론 378
1. 우수 명승 잠재자원 유형별 분류 380
2. 조망 유형별 분류 382
3. 경관 유형별 분류 383
4. 연구 의의와 한계 및 제언 385
참고문헌 388
부록 394
1. 중간보고회 자문의견서 396
2. 최종보고회 자문의견서 398
판권기 400
[뒷표지] 401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3080662 | 333.78 -24-2 |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 이용가능 | |
0003080663 | 333.78 -24-2 |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사회과학자료실(208호) / 서가번호: 6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