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서장(Prologue): 미래 사회에 대비한 인재 양성 / 류장수 8

제1부 국가 인재 양성 정책 17

CHAPTER 01. 국가 인재 양성 정책의 현황과 개선과제 / 유한구 18

CHAPTER 02. 국가 인력수급 전망의 현황과 개선과제 / 이상돈 38

CHAPTER 03. 국가 산학협력 정책의 현황과 개선과제 / 김봉문 56

CHAPTER 04. 지역 기반 인재 양성의 현황과 개선과제 / 김형만 75

제2부 평생ㆍ직업교육 정책 94

CHAPTER 05. 국가 직업교육 정책의 현황과 개선과제 / 허영준 95

CHAPTER 06. 국가 평생교육 정책의 현황과 개선과제 / 이상훈 118

CHAPTER 07. 지역 기반 중등직업교육의 현황과 개선과제 / 송낙현 139

CHAPTER 08. 지역 기반 고등직업교육의 현황과 개선과제 / 한광식 156

CHAPTER 09. 지역 기반 평생교육의 현황과 개선과제 / 김현수 171

제3부 고등교육 정책 190

CHAPTER 10. 국가 고등교육 정책의 현황과 개선과제 / 김병주 191

CHAPTER 11. 지역 기반 고등교육의 현황과 개선과제 / 송창용;민숙원;장광남 209

CHAPTER 12. 지역대학의 교육 현실과 개선과제 / 김종한 227

제4부 진로교육 정책 248

CHAPTER 13. 국가 진로교육 정책의 현황과 개선과제 / 박나실 249

CHAPTER 14. 지역 기반 학교 진로교육의 현황과 개선과제 / 정지은 268

CHAPTER 15. 초ㆍ중등학교의 진로교육 현실과 개선과제 / 장현진 281

CHAPTER 16. 대학 및 성인의 진로교육 현실과 개선과제 / 고재성 301

제5부 직업능력개발 정책 319

CHAPTER 17. 국가 직업능력 정책의 현황과 개선과제 / 고혜원 320

CHAPTER 18. 국가 자격 정책의 현황과 개선과제 / 조정윤 341

CHAPTER 19. 지역 기반 직업능력개발의 현황과 개선과제 / 백원영 356

판권기 373

표목차

〈표 1-1〉 대학의 기능별 구분 방향(안) 32

〈표 3-1〉 산업체 연구 및 교육 수익 현황 62

〈표 3-2〉 권역별 창업 강좌 및 창업동아리 설치 현황 64

〈표 3-3〉 LINC 3.0의 3S 지수와 전임교원 참여도 69

〈표 6-1〉 역대 평생교육진흥 기본계획 개요(1~5차) 121

〈표 6-2〉 2018~2022년 교육 분야 부문별 예산 현황(최종 예산 기준) 122

〈표 6-3〉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발전 방안(안) 133

〈표 7-1〉 직업교육 혁신지구 운영 현황 146

〈표 8-1〉 일반대학과 전문대학의 재정 지원 규모 변화 163

〈표 10-1〉 교육 단계별 학생 1인당 공교육비 지출액 196

〈표 11-1〉 고등교육기관 내 유학생 비율(OECD 36개국) 213

〈표 11-2〉 대학의 지역 기여도 및 영향력 성과 분석(Impact) 222

〈표 15-1〉 초ㆍ중등학교 진로교육 개선과제 292

〈표 16-1〉 생애단계별 주요 경력개발 지원 요구 308

〈표 18-1〉 국가자격과 민간자격의 현황 343

〈표 18-2〉 국가기술자격 취득자 중 재직자 수의 변화 추세(2018-2022) 346

〈표 18-3〉 국가기술자격 취득 목적별 응답 비율 347

〈표 19-1〉 지역산업 맞춤형 일자리 창출 지원 사업 추진 근거 및 사업 개요 360

〈표 19-2〉 지역ㆍ산업 맞춤형 인력 양성 사업의 추진 근거 및 사업 개요 361

〈표 19-3〉 고등직업교육거점지구 사업 개요 364

그림목차

[그림 1-1] 인적자본 연구 방향 20

[그림 1-2] 특성화고 학생 수 및 학생 비율 변화 23

[그림 1-3] 취업계수 증감률, 최종 수요 효과와 2014년 취업 유발 인원 비교 26

[그림 1-4] 직무 기능 수익률 변화(1993~2016) 27

[그림 1-5] 기업 규모별 임금과 학력별 기업 규모별 임금 격차 추이 28

[그림 1-6] 중등직업교육의 개편 방안 30

[그림 1-7] ETSS의 역량, 경력, 교육의 관계(일본) 35

[그림 3-1] 산학협력 관련 기업 애로사항 66

[그림 3-2] 산학협력 마일리지 제도 운영 구조 68

[그림 4-1] 중소기업 고용 비율의 국제 비교 84

[그림 4-2] OECD 국가의 노동생산성 비교(PPP로 환산) 85

[그림 4-3] OECD 국가의 25~64세 인구의 학력별 구성비 86

[그림 4-4] 지역인재정책협업위원회 구성(예시) 88

[그림 4-5] 지역인재정책협력망 운영체계 예시 90

[그림 4-6] 지역인재 정책 정보 및 전문성 인프라의 개념도 92

[그림 5-1] 학교급별 입학자 수 변화 추이(1982~2022) 98

[그림 5-2] 생산연령 인구의 변화 전망 98

[그림 5-3] 직업계고 학생 비율의 변화(1980~2022) 101

[그림 5-4] 특성화고와 일반고의 신입생 충원율 변화(2011~2022) 101

[그림 5-5] 중등직업교육 참여율의 국제 비교(2020) 102

[그림 5-6] 직업계고 졸업 후 진로(2011~2022) 103

[그림 5-7] 직업계고 졸업 후 취업자의 직업 분포 변화(1991~2019) 104

[그림 6-1] 평생학습자 특성에 따른 평생학습 참여율 124

[그림 7-1] 직업교육 혁신지구 추진과제 147

[그림 8-1] 대학 입학연령 인구와 입학정원의 변화 전망 158

[그림 8-2] 권역별 전문대학 및 일반대학의 신입생 충원율 비교(2021) 159

[그림 8-3] 대학 소재 권역별 월평균 근로소득 평균(2019=100) 160

[그림 10-1] 연도별 사립대학 운영 손익 변화 추이 197

[그림 11-1] 신입생 충원율 추이(상) 및 18세 장래인구 추계(하) 211

[그림 11-2] 시도별 청년인구 순이동 규모(2012~2021) 212

[그림 11-3] 국가경쟁력 지수(2022) 212

[그림 11-4] RISE 체계 개요 214

[그림 11-5] RISE 도입에 따른 대학 재정 지원 사업체계의 변화(안) 215

[그림 11-6] RIS와 RISE의 주요 내용 비교 216

[그림 11-7] RISE 체계에서의 중앙정부와 지자체 간 관계 및 RISE 센터 운영체계 217

[그림 11-8] 교육국제화특구 확대ㆍ개편(안) 220

[그림 11-9] 글로컬 대학 개념 221

[그림 11-10] 글로컬 대학 추진체계 223

[그림 12-1] USG공유대학 플랫폼 233

[그림 13-1] 진로체험지원센터의 허브로서의 역할 재정립 256

[그림 14-1] 진로체험지원센터 활용 여부별 연간 진로체험 실시 횟수 275

[그림 14-2] 진로체험지원센터 활용 여부별 연간 진로체험 유형별 실시 횟수 275

[그림 15-1] 단위학교 진로교육 계획에 영향하는 진로교육제도 및 정책체계도 286

[그림 15-2] 학교 진로교육 연간 운영 계획 수립 비율(2014~2022년) 289

[그림 15-3] 학교 진로교육 예산 편성 비율(2014~2022년) 290

[그림 16-1] 초개인화된 관점의 자기주도적 역량개발의 개념 316

[그림 17-1] 직업능력개발 사업체계 323

[그림 19-1] 지역인적자원개발위원회 개요 362

이용현황보기

산업 및 기술 변화에 대응한 미래 인재 양성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09820 331.2592 -24-24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이용가능
0003109821 331.2592 -24-24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