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사례로 살펴보는 먼저 온 세대들의 일상 1. 사례 소개 1) 사례 1: 바리스타의 꿈을 이루고, 다시 모델의 꿈을 꾸는 여성(60세, 여성) (60대 초반, 여성) 2) 사례 2: 보험의 끝판왕, 이제는 요양시설에서 최고의 손맛을 자랑하는 그녀6(0대 초반, 여성) 3) 사례 3: 사회복지를 꿈꾸는 여군 출신 보험설계사(40대 후반, 여성) 4) 사례 4: 6년 차 노인 사회복지사(50대 초반, 여성) 5) 사례 5: 고향 땅에서, 봉사회조직을 꿈꾸는 봉사왕 사나이(50대 초반, 남성) 6) 사례 6: 탁구장 운영의 소소한 일상을 꿈꾸는 1세대(60대 후반, 남성) 7) 사례 7: 아파트 기전실에 스카우트된 러시아에서 온 남성(50대 중반, 남성) 8) 사례 8: 신장 투석 환자여도 정리 정돈은 할 만합니다(57세, 남성) 2. 먼저 온 세대들의 내러티브가 주는 시사점 제2장 2030 다음 세대들의 일상 1. 사례 소개 1) 사례 1: 15세에 탈북하여 사회학과에 재학 중인 김당당(20대 초반, 여성) 2) 사례 2: 한국 애들보다 잘 살기로 마음먹은 당찬 채민아(20대 초반, 여성) 3) 사례 3: 사회복지를 공부하는 새내기 여대생, 곽소연(20대 중반, 여성) 4) 사례 4: 심리학 공부에 푹 빠진 이가연(20대 후반, 여성) 5) 사례 5: 2년 전 남한 땅을 밟아 힘든 시기를 극복 중인 여가을(20대 초반, 여성) 6) 사례 6: 7급 공무원을 목표로 매진하는 김다영(30대 초반, 여성) 7) 사례 7: 메타버스 통일교육 사업을 운영하는 연구진 강힘찬(30대 중반, 남성) 2. 2030청년들의 내러티브가 주는 시사점
제3부 (연구 및 교육활동 사례로 살펴보는) 북한이주민들의 정체성 내러티브 제1장 연구 사례 1. 20-30대 탈북청년들은 어떻게 살아가는가?: 생활양식과 자아정체성 1) 누구를 만나 무엇을 질문하였는가 2) 어떻게 자료 분석하였는가 3) 무엇을 발견하였나 2. 10-20대 탈북청소년들의 또래관계 경험은 어떠한가? 1) 친구관계는 왜 중요한가 2) 탈북청소년들의 친구관계는 어떠한가 3) 누구를 어떻게 만났는가 4) 자료는 어떻게 분석하였나 제2장 교육관련 활동 사례 1. 남북 청년들의 상호 문화이해를 위한 소모임 활동 2. 탈북아동 및 청소년 대상 찾아가는 대학생 멘토링: 서비스러닝 1) 탈북가정 방문 시도: 대학생 멘토링, 서비스러닝(service-learning) 2) 교수자의 멘토 훈련 3) 서비스러닝 효과 및 경험
남북한 비교문화 총서는 기존의 권력구조의 변화, 엘리트의 변동, 노선 및 정책의 변화 등과 같이 상부구조나 거시구조의 변화에 주로 분석의 초점이 맞추어져 있던 다수의 북한연구물들과는 달리, '일상생활(daily life)'의 연구 영역을 주된 관찰 현장으로 삼아 미흡한 북한이주민들의 일상생활이 어떠한지 자세히 보여주고자 합니다. 총서 시리즈물의 두 번째 편인 '정체성' 편은 가족학이라는 미시체계를 연구하는 저의 학문적 토대를 기초로 북한이라는 영역으로 그 학문의 영역을 확장하여, 북한이주민들의 정체성이 어떠한지 주목하였습니다. 그들의 일상 그대로를 생생한 언어로 구술함으로써 독자들이 책의 내용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했으며, 이 과정에서 '정체성'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지식과 현장 활동 내용을 포함하여 집필하였습니다. 총 세 편으로 이루어진 본서에서는 먼저 자아정체성이란 개념을 필두로 북한이주민들의 정체성이 왜 중요한지, 그들에게 자아정체감과 회복탄력성이 어떠한 이유로 필요한지 고찰하였습니다. 이어 2편에서는 에 출연한 북한이주민 사례로 북한이주민과 정체성이라는 키워드를 살펴보았고, 마지막 3편에서는 연구와 교육활동 사례를 통해 북한이주민들의 정체성을 논의해보고자 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