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식실용태극권법 : 흐름 속의 중심. 1-2로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085481
796.8155 -24-1
v.1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이용가능
0003085482
796.8155 -24-1
v.1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이용가능
0003085483
796.8155 -24-1
v.2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이용가능
0003085484
796.8155 -24-1
v.2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투로套路에 추수推手기법이 그대로 녹아 있는 실용권법實用拳法!
흐름 속의 중심, 중심 속의 흐름으로 순응한다 마음 중심中心, 몸 중심中心으로
실용태극권은 진식태극권의 근대 태두로 알려진 진발과 노사(1887-1957)에게 사사한 홍균생 선생(1906-1996)에 의해 태극권의 기본원리인 전사(纏絲)방법을 엄격히 준수하고 음양(陰陽)의 상대 원리를 더하여 태동하였다. 실용태극권은 진식태극권(陳式太極拳)의 한 유파로서 투로(套路)에 추수(推手)의 기법이 그대로 녹아 있는 실용권법(實用拳法)이다. 따라서 흐름 속의 중심, 중심 속의 흐름으로 순응하며 마음 중심(中心), 몸 중심(中心)에 바탕을 두고 있다. 태극권 수련은 작용의 경로(經路)를 살펴 각각의 제 할 일을 제 갈 길로 촉진시켜가는 수련으로 본래의 흐름, 자연의 결을 확장해가는 공부라 하겠다. 무릇 쓰임의 핵심은 전사(纏絲)라 할 수 있으며 이것을 명확히 실행하지 못하면 권법(拳法)을 명확히 이해하지 못한 것이다. 전사(纏絲)는 공전(空轉)과 자전(自轉), 그리고 변화(變化)와 불변(不變)의 상응(相應)에 의해 큰 흐름의 작용을 일으키고 작용은 조건으로 상응된 과정의 결과물로 본래는 신묘한 텅 빔으로 성립된다. 태극권은 무술(武術)이면서 명상(明想)이고 도(道)이다. 그 길에 눈 밝은 인연으로 소통하며 지속적인 끈기와 훈련 속에 열린 자각의 안목(眼目)이 중요하겠다. 이로써 삶의 흐름에 있는 그대로 안착되며 심신의 면역력 증장은 물론이고 초연(超然)함 속에 성숙되고 만족된 삶을 누려갈 것으로 확신한다. 조화와 균형, 그리고 평화와 만족으로 승화하지 못한다면 음양에 틈이 벌어진 것으로 알고 자기를 다시 살피며 검증하여야 할 것이다. 각자의 인연으로 태극행의 이로움이 널리 퍼지길 바라며, 무시무종(無始無終) 삼태극(三太極)으로 스스로를 비춰 볼 수 있는 모든 인연에 두 손을 모은다.
책속에서
[P.46] 1. 금강도대 모두 7개의 분해 동작이다. 1 시선은 동쪽을 보고 신법은 먼저 오른쪽으로 돌리고 다시 왼쪽으로 돌려 가슴을 동쪽으로 향한다. 양쪽 다리는 어깨너비의 마보를 유지하고 신법을 왼쪽으로 돌리는 것에 따라 고관절의 경을 가라앉혀 견고하게 세운다. 왼손은 몸을 왼쪽으로 돌림과 동시에 팔꿈치를 가라앉혀 원을 그리며 왼쪽 어깨선과 평행을 이루고 손바닥은 아래쪽을 향하고 중지는 오른쪽으로 비스듬히 치켜세운다. 오른손은 순전하여 안쪽 아래로 원을 그리며 가슴 앞으로 비스듬히 들어 손바닥은 왼쪽 위로 향하고 중지는 위로 비스듬히 치켜세운다. 작용: 전방상붕법 상대가 앞쪽에서 오른손으로 가슴 부위를 공격하면, 몸을 왼쪽으로 약간 돌려 오른손으로 상대의 오른쪽 손목 외측에 접하여 공격해 오는 기세를 밖으로 밀어 중심을 잃게 하며, 동시에 왼손으로 오른쪽 팔꿈치 관절 위쪽을 덮어 팔꿈치의 공격을 방어한다.
[P. 131] 32. 좌삽각 모두 3개의 분해 동작이다. 1 시선은 북쪽을 보고 신법은 오른쪽으로 돌려 가슴을 북쪽으로 향한다. 오른쪽 다리는 북쪽으로 나아가 발을 지면에 놓을 때 왼쪽 다리를 당겨 마보를 만든다. 양손은 모두 순전하여 팔꿈치를 가라앉혀 북쪽 호첨으로 역전하여 양손을 밀고 손바닥은 북쪽을 향하며 양손의 중지는 모두 위로 비스듬히 치켜세운다. 작용: 진보쌍안법 상대가 뒤로 빠지며 내 오른쪽 퇴법의 공격을 무력화하면 그 흐름을 타고 오른쪽 다리와 왼쪽 다리가 나아가 양손으로 상대의 가슴을 공격한다.
[P. 254] 80. 당문포 모두 2개의 분해 동작이다. 1 시선은 서남쪽을 보고 신법은 오른쪽으로 돌려 가슴을 서북쪽으로 향한다. 오른쪽 다리는 동북쪽으로 내려 고관절의 경을 가라앉히고 왼쪽 다리는 고관절의 경을 펼쳐 측마보를 만든다. 왼손은 권형으로 잡고 순전하여 안쪽 아래로 원을 그리며 호저를 지나 호근으로 모으고 권심은 위쪽을 향한다. 오른손은 권형으로 잡고 순전하여 왼쪽 팔꿈치 부위로 모으고 권심은 위쪽을 향한다. 작용: 우채퇴보좌랄붕법 만약 상대가 나의 왼쪽 전방에서 오른쪽 권으로 공격하면 오른쪽 다리를 퇴보로 내리고 왼쪽 전완 부위로 상대의 오른쪽 팔꿈치 부위를 옆으로 당겨 상대의 공격을 무력화시킨다. 오른손은 상대의 오른쪽 손목을 돌려 잡고 당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