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경제금융의 이해 = An understanding of economics and finance / 지은이: 김흥수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박영사, 2024
청구기호
332 -24-14
자료실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도서위치안내(서울관)
형태사항
x, 575 p. : 삽화, 도표 ; 26 cm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30319506
제어번호
MONO12024000019428
주기사항
부록: 해설

목차보기더보기

01 경제금융과 금융지표
1 경제의 순환과 금융 3
2 경제활동과 금융거래 12
3 금융의 기능 14
4 주요 금융지표 17


02 통화제도
1 화폐 39
2 화폐수량설 45
3 인플레이션 50
4 화폐의 수요와 공급 54
5 통화정책 57

03 금융시스템
1 금융과 금융상품 71
2 주식 74
3 채권 89
4 위험관리 94
5 금융기관 100


04 금융중개기관
1 금융상품 109
2 금융시장 114
3 금융회사 119
4 금융유관기관 128

05 의사결정과 저축
1 의사 결정의 기준: 편익과 비용 139
2 소득, 소비, 저축 163
3 저축의 가치 174
4 저축상품 183
5 저축상품 선택시 고려사항과 예금자 보호 제도 191

06 금융 투자
1 투자의 기초 212
2 금융투자상품 224
3 주식 투자 230
4 채권 투자 240
5 재무제표 및 감사보고서 248
6 증권분석 265

07 신용관리
1 신용의 개념과 신용관리의 중요성 289
2 개인신용정보와 신용평가 291
3 신용관리 및 연체시 대처방법 299
4 신용카드 활용법 309

08 부채 관리
1 부채의 개념과 영향 323
2 대출의 활용 329
3 부채관리와 대출상환 338
4 불법채권추심에 대한 대응 343

09 리스크와 보험
1 리스크의 이해 349
2 리스크의 관리 356
3 보험의 이해 360
4 보험의 주요 요소 363
5 생활과 보험 367

10 노후와 연금
1 고령사회 399
2 노후에 직면할 수 있는 주요위험 407
3 노후준비와 연금 411

11 재무설계
1 재무설계의 개념과 필요성 431
2 재무 설계의 과정 435
3 20대의 재무 설계 444

12 부동산 금융
1 부동산 투자 455
2 부동산금융 466

13 디지털금융
1 기술혁명과 금융 485
2 디지털기술 488
14 금융소비자 보호
1 금융소비자보호의 개요 513
2 금융소비자 보호를 위한 장치 517
3 금융소비자의 금융역량 제고 527
4 금융소비자보호 관련 주요 이슈 532


부록(해설) 549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086410 332 -24-14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이용가능
0003086411 332 -24-14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이용가능
  •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 제공)

    머리말

    세계 경제의 상호의존성이 심화되면서 전 세계에서 발생하는 경제금융 현상은 즉각적으로 국가 경제 전체뿐만 아니라 개별 경제주체의 의사 결정에 직간접적으로 막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 특히 주요 선진국의 경제정책과 금융시장의 변화추이는 시시각각으로 주요 이슈가 되고 있으며 경제주체들의 의사결정에 중요한 판단기준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외의 경제금융 현상을 글로벌 시각에서 보다 체계적이고 명확하게 이해해야 할 필요성은 필수적이다.
    현대 경제사회의 모든 경제주체들에게 경제금융이 필수적이고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일반 금융소비자들의 경제금융이해력은 부족한 편이다. OECD 산하의 금융교육 국제 협의체인 INFE(International Network on Financial Education)에서는 경제금융이해력 국제비교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는데, 이는 경제금융이해력을 지식(knowledge), 행동(behavior), 태도(attitudes)의 영역에서 평가하기 위한 핵심 설문과 개인의 재무목표 설정이나 금융사기 경험 등에 관한 부가적인 설문을 포함하고 있다. 2022년 한국은행과 금융감독원 조사 결과 한국의 경제금융이해력은 OECD 평균 정도이며, 특히 20대의 경제금융이해력은 평균보다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경제금융의 중요성을 알게 함으로써 건전한 경제금융 의사 결정을 하는데 필요한 지식 및 행태를 습득하도록 하는 것은 급변하는 현대사회에서 행복한 삶을 유지하기 위한 필수 요소이며, 그 결과로 개개인이 금융적 웰빙을 달성하고 금전적 어려움에 처해도 회복할 수 있는 것은 중요한 요소이다.
    경제금융이해력 증진을 위해서는 희소한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시장의 효율성을 평가하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하고 있는 경제원리를 습득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서는 그동안 경제금융시장에서 이루어진 많은 주요 현상들을 기본적인 경제원리를 이용하여 직관적이면서도 실제의 예를 이용하고 있는 경제금융 입문서이다. 금융이나 재무 혹은 투자에 관한 기존의 교과서들이 현상에 머물렀다면, 본서는 이러한 현상을 그 이면에 깔린 경제원리를 사용하여 설명하고 있어, 경제원리를 금융시장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서는 경제금융과 관련된 다양한 주제를 골고루 다루었으며, 실생활에 유용한 금융지식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각 주제별 최신 내용을 담았다. 해당 단원에 보다 쉽게 다가갈 수 있도록 단원의 주제와 밀접하게 연관된 최근 언론 기사 및 생각해 볼 사항 등을 제공하였고, 본문에서는 주요 개념 및 필수적인 내용을 기술하였다. 또한 본문에서 확장된 개념이나 주요 사례 등은 ‘확대보기’로 묶어 편재하였고, 실생활에 유용한 각종 금융서비스를 활용해 볼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실제적이고 체계적으로 경제금융 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서술형, 빈칸 채우기, O · X문항을 예시문제로 구성하였고, 정답 및 해설은 부록으로 지원하였다.
    본서는 총 14장으로 구성되었다. 제1장에서는 국가 경제, 금융의 역할과 금융지표에 대한 내용을 소개하였다. 제2장, 제3장, 제4장에서는 통화정책, 금융시장, 금융기관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살펴보았다. 제5장, 제6장은 의사결정과 소비, 저축, 금융투자를 설명하였고, 제7장과 제8장은 신용·부채의 의미 및 관리방법의 중요성을 살펴보았다. 제9장은 다양한 리스크의 개념과 관리방법을 살펴보았고 제10장은 고령화와 각종 연금내용을 소개하였다. 제11장은 개인의 재무설계 및 기업의 재무분석을 제12장은 부동산개발과 투자를 살펴보았다. 제13장은 금융과 디지털 기술의 상호작용과 변화를 제14장은 최근 강조되고 있는 금융소비자보호와 권리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서는 경제금융 관련 강의 및 연구, 관련기관의 자료들, 선학들의 선행 연구 등이 큰 힘이 되었다. 그리고 본서 기획과 출판에 열정을 쏟아주신 박영사의 정연환 과장, 탁종민 대리께 특히 고마운 마음을 표하고 싶다.

    2024년 5월
    저자 드림
    더보기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