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절 배타적발행권 293 [69] 서설 ㆍ293 [70] 배타적발행권의 의의 ㆍ293 [71] 배타적발행권의 법적 성질 ㆍ294 [72] 배타적발행권의 내용 ㆍ298 [73] 배타적발행권의 존속기간 ㆍ301 [74] 배타적발행권의 양도·입질 등 ㆍ303 [75] 배타적발행권의 제한 ㆍ304 [76] 배타적발행권의 등록 ㆍ305 [77] 배타적발행권자의 의무 ㆍ306 [78] 저작자·저작재산권자의 권리 ㆍ309 [79] 저작재산권자의 의무 ㆍ312
제4절 출판권 313 [80] 서설 ㆍ313 [81] 출판을 목적으로 하는 저작권자·출판자 간 계약의 종류 ㆍ314 [82] 출판권의 의의와 성질 ㆍ318 [83] 출판권의 내용 ㆍ320 [84] 출판권의 존속기간 ㆍ325 [85] 출판권의 양도·입질 등 ㆍ325 [86] 출판권의 제한 ㆍ325 [87] 출판권의 등록 ㆍ326 [88] 출판권자의 의무 ㆍ326 [89] 저작자·복제권자의 권리 ㆍ328 [90] 복제권자의 의무 ㆍ330 [91] 수업목적 보상금 문제 ㆍ330
제5절 질 권 332 [92] 질권설정의 가능성과 그 성질 ㆍ332 [93] 질권설정의 방법 ㆍ332 [94] 질권의 효력 ㆍ332
제6절 저작재산권의 소멸 335 [95] 저작재산권의 소멸 ㆍ335
제7절 영상저작물에 대한 특례 337 [96] 개관 ㆍ337 [97] 저작물의 영상화를 위한 특례 ㆍ342 [98] 영상저작물에 대한 권리관계 ㆍ346 [99] 영상제작자의 권리 ㆍ350 [100] 보호기간 ㆍ351
제8절 저작권집중관리제도 352 [101] 저작권집중관리제도의 의의와 필요성 ㆍ352 [102] 저작권위탁관리업의 종류와 법적 성격 ㆍ354 [103] 위탁관리업의 허가 및 신고 ㆍ357 [104] 위탁관리업자에 대한 감독 등 ㆍ360
제9절 등록 및 인증제도 361 [105] 개관 ㆍ361 [106] 저작권의 등록 ㆍ362 [107] 저작재산권의 변동에 대한 등록 ㆍ365 [108] 등록의 절차 등 ㆍ369 [109] 등록관청의 저작물 등록심사권 ㆍ370 [110] 저작권 인증 ㆍ371
제6장 저작물의 자유이용과 저작재산권의 제한
제1절 서 설 375 [111] 자유이용의 필요성 ㆍ375 [112] 자유이용의 의의 ㆍ375 [113] 저작재산권 제한 규정 개관 ㆍ376
제2절 저작재산권 제한규정들 378 [114] 재판절차 등에서의 복제 ㆍ378 [115] 정치적 연설 등의 이용 ㆍ382 [116] 공공저작물의 자유이용 ㆍ384 [117] 학교교육목적 등에의 이용 ㆍ395 [118] 시사보도를 위한 이용 ㆍ408 [119] 시사적인 기사 및 논설의 복제 등 ㆍ411 [120] 공표된 저작물의 인용 ㆍ414 [121] 영리를 목적으로 하지 않는 공연·방송 등 ㆍ421 [122] 사적이용을 위한 복제 ㆍ430 [123] 도서관 등에서의 복제 ㆍ436 [124] 시험문제로서의 복제 ㆍ446 [125] 시각장애인 등을 위한 복제 등 ㆍ449 [126] 청각장애인 등을 위한 복제 등 ㆍ453 [127] 방송사업자의 일시적 녹음·녹화 ㆍ457 [128] 미술저작물 등의 전시 또는 복제 ㆍ460 [129] 저작물 이용과정에서의 일시적 복제 ㆍ469 [130] 부수적 복제 등 ㆍ476 [131] 문화시설에 의한 복제 등 ㆍ479 [132] 컴퓨터프로그램저작물의 특성에 따른 저작재산권 제한사유 ㆍ482 [133] 공정이용 일반조항(제35조의5) ㆍ491 [134] 출처명시의무 ㆍ510 [135] 저작인격권과의 관계 ㆍ516
제3절 음반제작자의 권리 564 [153] 음반 및 음반제작자의 의의 ㆍ564 [154] 음반제작자의 권리 ㆍ569
제4절 방송사업자의 권리 573 [155] 방송사업자의 의의 ㆍ573 [156] 방송사업자의 권리 ㆍ574
제5절 저작인접권의 보호기간 579 [157] 저작인접권의 보호기간 ㆍ579
제6절 기 타 583 [158] 저작인접권의 제한 ㆍ583 [159] 저작인접권의 양도·행사·소멸 ㆍ584 [160] 저작인접권 및 그 배타적발행권의 등록 ㆍ585
제8장 기타의 권리
제1절 데이터베이스제작자의 보호 589 [161] 서설 ㆍ589 [162] 보호의 요건 ㆍ592 [163] 데이터베이스제작자의 권리 ㆍ594 [164] 데이터베이스의 구성부분이 되는 소재의 저작권과의 관계 ㆍ596 [165] 데이터베이스제작자의 권리 제한 ㆍ596 [166] 데이터베이스제작자의 권리의 양도·행사 등 ㆍ597 [167] 보호기간 ㆍ597 [168] 기술적 보호조치의 보호 ㆍ598 [169] 콘텐츠산업 진흥법과의 관계 ㆍ598 [170] 벌칙 ㆍ599
제2절 콘텐츠제작자의 보호 600 [171] 콘텐츠산업 진흥법의 의의 ㆍ600 [172] 보호의 구체적 내용 ㆍ601
제9장 저작권 침해의 유형과 요건 등
제1절 저작재산권침해의 의의와 유형 607 [173] 저작권 침해의 의의 ㆍ607 [174] 표절의 의의 ㆍ608 [175] 직접침해와 간접침해 ㆍ609 [176] 지분권의 종류에 따른 유형 ㆍ617
제4절 행정적 구제 727 [214] 불법 복제물의 수거·폐기 및 삭제 ㆍ727 [215] 정보통신망을 통한 불법복제물등에 대한 단계적 대응제도 ㆍ728 [216] 관세법에 의한 저작권등 보호 조치 ㆍ731 [217] 한국저작권보호원의 업무 ㆍ731
제5절 기술적 보호조치의 보호 등 732 [218] 기술적 보호조치의 보호 ㆍ732 [219] 권리관리정보의 보호 ㆍ745 [220] 암호화된 방송 신호 및 방송전 신호의 보호 ㆍ747 [221] 라벨 위조 등의 금지 ㆍ750 [222] 영상저작물 녹화 등의 금지 ㆍ751
제11장 저작권의 국제적 보호
제1절 개 관 757 [223] 저작권의 국제적 보호의 필요성 ㆍ757 [224] 저작권의 국제적 보호의 방법 ㆍ758 [225] 저작권 및 저작인접권에 관한 중요한 다자간 국제조약 개관 ㆍ759
제3절 북한 주민의 저작물에 대한 보호 778 [230] 북한 주민의 저작물에 대한 보호 ㆍ778
사항색인 ㆍ780
이용현황보기
신저작권법입문 = Introduction to copyright law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086456
LM 346.0482 -24-7
서울관 법률정보센터(206호)
이용가능
0003086457
LM 346.0482 -24-7
서울관 법률정보센터(206호)
이용가능
B000100977
LM 346.0482 -24-7
부산관 의회자료실(2층)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머 리 말
이 책은 저작권법을 처음으로 공부하는 학생들과 저작권법과 관련된 사법, 행정 등 업무를 수행하는 실무가들 및 음악, 영화, 방송, 출판, 게임, 캐릭터, 도서관, IT 등 저작권법과 관련된 다양한 업무에 종사하는 분들을 위해 이론과 판례를 중심으로 저작권법의 전반적인 내용을 알기 쉽게 소개하고 해설하기 위한 것이다. 저자가 집필하여 박영사를 통해 간행한 기존의 저작권법 기본서(『저작권법』 제4판)는 법조 실무가들이나 전문 연구자들의 필요를 의식하여 저작권법과 관련된 국내외 판례, 학설 등을 망라하여 비교적 자세하게 다루는 방향을 취하다 보니, 가볍게 읽기는 어려운 책이 되었다. 처음 기본서를 냈을 때는 강의용으로 사용하기에 좋은 책으로 평가를 받았지만, 판을 거듭하면서 많은 판례, 이론 등을 추가하다 보니, 이제는 상당히 방대한 책이 되어 더 이상 강의용으로 사용하기도 쉽지 않은 상황이 되었다. 이에 학교에서 ‘저작권법’ 과목 강의용으로 부담 없이 사용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필요에서 저작권법을 공부해 보고자 하는 분들이 한결 편한 마음으로 쉽게 읽어 나갈 수 있는 저작권법 입문서 또는 개론서를 별도로 내야겠다는 마음을 오래 전부터 가지고 있다가 이제서야 실행에 옮기게 되었다. 이 책은 기본서에서 다룬 학설상의 대립이나 해외의 입법, 판례 등에 대한 자세한 소개, 판결문의 자세한 인용 및 평석 등을 지양하고, 우리나라의 법령과 판례를 중심으로 가능한 한 간결하게 설명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다만 이 책은 구체적 사례들을 통해서만 그 의미를 명료하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이 많은 저작권법의 특성을 감안하여, 통설과 대법원 판례 외에 최신의 하급심 판례들도 꽤 많이 정리, 소개함으로써 저작권법 입문자들만이 아니라 저작권법의 기본적 내용을 이미 이해하고 있는 실무자, 연구자들도 저작권법의 최근 실무 동향을 빠르게 파악하고 이해하는 데 참고할 수 있게 하였다. 그 점에서 다른 입문서들과는 다른 특징이 있다. 필자가 저작권법 전면개정 연구반의 반장으로 참여하여 깊이 관여하였던 저작권법 전부 개정안이 국회에서 오랫동안 큰 진척 없이 계류중인 상태에 있는 등 여러 사정으로 인해 기본서 개정판의 출간이 늦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그 사이에 소폭으로 이루어진 개정 입법 등과 추가로 나온 판례 등을 이 책에서 간결하게 정리하여 업데이트를 한 셈이 되었으니, 기본서의 개정판을 기다리는 실무가들이나 연구자들의 입장에서는 일단 이 책을 참고할 수도 있지 않을까 생각된다. 기본서의 개정 작업도 이후 너무 늦지 않게 함으로써 실무자들이나 연구자들이 국내외 학설 및 판례 등에 대한 보다 자세하고 심화된 이해를 하기 위해서는 저자의 기본서를 활용하고, 저작권법의 기본적인 내용을 통설과 판례를 중심으로 명확하고 쉽게 이해하는 데 있어서는 입문서이자 개론서인 이 책을 활용하는 것이 좋은 선택이라는 평가를 받을 수 있도록 앞으로도 최선을 다해 노력할 것을 다짐한다. 끝으로, 이 책의 기획과 편집을 위해 수고해 주신 박영사의 조성호 이사님과 김선민 이사님 및 편집팀 여러분께 깊은 감사를 드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