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프롤로그…3

월랑의 밤
빗나간 계산…10
학예회…12
짝꿍…14
만화…16
미술대회…18
화투 노름…20
짓궂은 하○이…21
좌절된 고기잡이…22
화장실 괴담…24
우물물 對 샘물…26
헤엄치기…28
거머리와의 전쟁…30
집 없는 천사…32
쓰리꾼…33
과자가 먹고 싶어서…34

배방의 추억
짚동가리 방화사건…38
번데기의 교훈…41
빵과 준이…42
공포의 봉강 철교…43
우리 시대 마지막 신사의 수난…45
세출리에서의 하룻밤…46
씨름대회…48
견공들의 사랑…50
음모…51
옹녀 선생님…53

중고딩 시절
중학교에 입학했다…56
씁쓸한 여름방학…58
폐우산 소동…59
중학 시절의 반장선거…61
특별반 소동…63
이상한 자격증 시험문제…65
대학교 진학소동…67

앗 싸라비아
잠 안 오는 깊은 밤에…70
나를 기쁘게도 슬프게도 했던 음악…72
이에는 이! 눈에는 눈!…75
아직도 나에게 따끔한 회초리가 되어 다가오는 한마디…77
여름! 뜨거운 여름이다!…80
뜨거운 열풍도 껄끄러운 모래바람도 다소나마 잠재워 버린 한마디!…82
하청회사 직원이 원청회사 직원에게 큰소리치다…84
삶을 함축적으로 산 어떤 사나이…87
자존심 때문에 밝히고 싶지 않은 이야기…90
바보, 미인을 얻지 못하다…92
세상은 나름대로 공평하다…96
스탠밥! 그대는 먹어 보셨나요?…99

젖소를 키우며
목장지 구입…104
음매 아저씨…105
유미야 미안하다…107
선진지 견학…109
얼치기 농사꾼의 밭…111

팔불출의 삶
식탁에서…114
이번 명절 휴가 중 한 번쯤은…117
불효자식…119
편애 1…122
편애 2…124
사라진 어머니의 근심…126
원숭이 나무에서 떨어지고도 아얏소리 못하다…128
그 여인의 이름은…130
우애…132
딸아이와 사과껍질, 그리고 부모…134
최고의 선생님…137
당신의 이름은……140
에이 C………142
1분 스피치…144

아직도 욕심과 전쟁 중
달콤한 꿀…148
아직도 욕심과 전쟁 중…150
잡초…153
어불성설(語不成說)…157
번뇌…159

삶의 현장에서
면접…162
선배님!…164
작은 친절 큰 은혜…165
나름대로 성공한 이의 긴 한숨…167
님이시여 나를 시험에 들게 하지 마소서…169
손톱깎이 하나 때문에…174
추적! 범인을 찾아라…176
이사님 그리고 안줏감…178
부끄럽습니다…180
바보들의 행진…182

대학 편입기
남서울대 편입기 1…186
남서울대 편입기 2…190
과제 하러 교회에 다녀오다…193
어느 독립운동가 후손이라 불리는 사나이(배경미술용)…198
한 여인의 서운한 이야기(졸업작품)…204
기찻길 옆 아이들(졸업작품 2, 시나리오)…207

단편소설
[로맨스그레이] 한낮의 꿈…215
[여자소설] 일탈…241

이용현황보기

버킷리스트 = Bucket list : 들풀 이용섭의 기록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086536 811.87 -24-77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3086537 811.87 -24-77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B000098587 811.87 -24-77 부산관 종합자료실(1층)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떠나기 전에 남기고 싶은 기록
버킷리스트를 채워가는 산문집


과자 하나 사 먹기도 어려웠던 시절, 해외로 나가기만 하면 큰돈을 벌 수 있다고 믿었던 시절을 지난 58년생 개띠의 인생을 총망라한 책이다. 『버킷리스트』는 초등학생 시절 ‘월랑’이라는 지역으로 간 이후부터 시작된다. ‘월랑’을 ‘월남’으로 혼동해 전학 가면 즐거운 일이 많을 것이라 기대한 열 살 소년은 사우디로 해외 파견을 나갔던 청년 시절을 거쳐 어느덧 죽기 전 하고 싶은 일을 세우며 노년을 보내고 있다.

이용섭 저자의 아호(雅號)인 ‘들풀’은 학창 시절 방에 걸려 있던 류달령 시인의 「젊은 하루」라는 시에서 영감을 얻은 것이다. 이 시는 저자의 마음에 와닿고 좋아하여 유일하게 외우는 시였다. 저자는 ‘이름 없는 들풀’이라는 시어에서 가져온 ‘들풀’을 아호로 삼았다.

길가에 널린 들풀이란 사람의 손길과 돌봄 없이 자연에서 알아서 잘 자라는 법이다. 이름도, 효능도 알려지지 않은 채 자리를 지키는 들풀. 유명세가 없는 평범한 사람인 저자가 언젠가 이뤄낼 버킷리스트를 세우는 모습이 겹쳐 보인다.

책속에서

알라딘제공
[P.29] 물 위를 둥둥 뜨는 것이란 그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즐거움이리라. 내 새끼손가락보다도 작은 소금쟁이들은 다리에 물도 묻히지 않고 이 리저리 잘도 다니는데 당시에 나는 헤엄을 칠 줄 몰랐다. 여기에 있는 애들 대부분 물 위에 떠서 가라앉지 않으면서 잘도 떠다니는데 나는 헤엄칠 줄 몰라 창피했다.
- ‘헤엄치기’
[P. 70] 스무 살, 머나먼 타국 사우디아라비아에서 현장 근로자로 일할 때 무슨 이유 때문인지 불면에 시달려 몇 달을 고생한 적이 있었다. 밤에는 말똥말똥, 낮에는 비실비실, 의무실에 가서 수면제라도 타다 먹고 잠 좀 시원하게 잤으면 좋으련만 담당자는 상투적인 말만 할 뿐 별다른 도움을 받지 못했다.
“운동 좀 해보시죠, 그리고 따뜻한 물로 샤워를 하면 잠이 잘 올 겝니다.”
‘누구는 이 방법, 저 방법, 안 써본 줄 아나?’
- ‘잠 안 오는 깊은 밤에’
[P. 135] 껍질은 두껍고 짤막짤막하게 잘린다. 저러다 손 다치지. 깎인 사과는 손때로 시꺼멓다. 철부지 같은 딸내미, 이런 생각을 할 것 같다.
‘이 쓸데없는 사과껍질! 없으면 안 되나? 그럼 깎지도 않을 텐데…….’
그러한 불평을 하는듯한 딸아이의 표정을 보면서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다. 아무짝에도 못 쓰는 사과껍질이 어쩜 우리의 부모와 저리도 똑같을까? 병균이나 벌레로부터 막아주고, 이파리와 함께 햇볕을 받아 새콤하고 달콤하도록 영양분을 공급해 주며, 속살이 알맞게 익었다고 새빨갛게 표시하고, 뿌리로부터 양분과 수분을 공급받다가 가지로부터 떨어진 뒤에도 오래도록 수분을 유지해 주는 사과껍질!
- ‘딸아이와 사과껍질, 그리고 부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