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7 新文科 개설에 따른 디지털인문학의 학제 간 융합 메커니즘과 모델 연구|탕베이唐蓓ㆍ옌단嚴丹
08 디지털 인문학의 시각에서 본 고전적 출판 콘텐츠의 가치 증대|레이줴잉雷玨瑩ㆍ왕샤오광王曉光
09 전산 문헌학(Computational Bibliography)의 개념, 범주 그리고 전망|리빈李斌ㆍ왕둥보王東波
10 디지털인문학 응용 서비스에서의 데이터 저작권 리스크와 예방 전략|어우양젠歐陽劍
11 스마트 데이터 기반 고전적 스마트 보호 시스템 연구|천타오陳濤ㆍ쑤르나蘇日娜ㆍ장융쥐안張永娟ㆍ장징張靖ㆍ위허우창餘厚强
12 자연어처리와 고전문학연구|주위천諸雨辰
13 인공지능 기술 기반 고문자 연구|리춘타오李春桃ㆍ장첸張騫ㆍ쉬하오徐昊ㆍ가오자잉高嘉英
이용현황보기
한국과 중국의 디지털인문학 연구. 2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07147
001.30285 -23-2
v.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3107148
001.30285 -23-2
v.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B000099192
001.30285 -23-2
v.2
부산관 종합자료실(1층)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경제성이 곧 가치를 가르는 시대가 되면서 낡은 학문으로 간주되어 온 인문학에 디지털은 재앙이자 축복이다. 인간이 오랜 시간 공들여 구축해온 지적 유산을 몇 번의 클릭으로 간편하게 접할 수 있게 되면서 인문학을 불요불급(不要不急)한 학문으로 취급하는 현상이 나타 나고 있다. 하지만 인간의 기억이나 검색 능력으로는 해낼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 는 데는 큰 도움이 되리라는 점 또한 분 명하다. 이에 한국과 중국에서 발표된 디지털인 문학 논문 가운데 한자·한문 자료를 대상 으로 한 우수한 논문들을 엄선하여 한· 중 양국에서 각각 발간함으로써 해당 분 야의 연구 현황을 일목요연하게 파악하 고 가까운 미래에 어떤 연구가 진행될지 전망해볼 수 있도록 하고자 하였다. 이번 에 출간되는 제1집을 시작으로 제6집까 지 순차적으로 발간할 계획이다. 어느덧 소외학문에 가까워지고 있는 한 자·한문과 각광받는 첨단 분야의 하나인 디지털, 두 가지를 통섭한 몇 안 되는 연 구자들에게 좀 더 많은 관심과 기회가 주 어졌으면 하는 바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