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이용현황보기

조선시대 과시 문헌과 문체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094883 951.5 -24-55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3094884 951.5 -24-55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B000110742 951.5 -24-55 부산관 종합자료실(1층)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인류사에서 실력에 의해 국가 운영에 필요한 인재를 공정하게 선발한다는 생각 자체는, 사실 고대 그리스에서 발원한 민주주의만큼이나 획기적인 생각이었다. 과거제 운영에 폐해가 많았던 것도 사실이지만, 그리스의 민주주의가 노예제도에 기반을 두고 있다고 해서, 현대 민주주의를 폄하할 필요가 없는 것처럼, 과거제 역시 운영상 다소간의 폐해가 있었다고 해서 이를 구시대적 유물로만 생각할 필요는 없다. 과거제는 어쨌든 인류의 세습 권력 또는 유•무형 권력의 세습 욕망에 대한 역사적 반작용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조선시대 과거제는 일국사의 관점에서 벗어나, 국가와 개인의 관계라는 인류사적 틀에서 좀 더 다면적이고 객관적인 관점에서 평가될 필요가 있다. 또한 조선시대 문인들이 가장 집중하여 학습한 텍스트이자 그를 통해 자신의 문체를 개발해 나가는 과정으로서의 과거제를 분석하면서, 조선의 문학 작품과 병행하여 조선의 글 문화 전체를 조망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 과시총서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에서 2019년부터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조선시대 과시(科試) 자료의 DB 구축 및 수사문체와 논리구축방식의 변천사 연구」를 수행해 왔다. 이 연구는 문헌학적 방법, 한문문체 분석법을 이용하여, 과거에 부과된 각종 문체의 특징과 연혁, 필수 공용서적의 편찬과 지정, 수험용 서적 및 수험결과 편찬물의 유통을 연구하고, 그로써 조선시대 학술, 문학, 출판인쇄 문화의 발달상을 이해하는 기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소의 이 과시 총서는 연구의 노정에서 이루어진 논저와 핵심자료 주해로 이루어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