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 이 책을 읽는 분에게 9

1. 고려를 생각하며 15

춘산에 눈 녹인 바람·우탁/이화에 월백하고·이조년
구름이 무심탄 말이·이존오/이런들 어떠하며·이방원
이 몸이 죽어 죽어·정몽주/백설이 잦아진 골에·이색
오백 년 도읍지를·길재/흥망이 유수하니·원천석
선인교 나린 물이·정도전

2. 무인의 기상 27

녹이상제 살지게 먹여·최영/백두산에 기를 꽂고·김종서
장검을 빼어 들고·남이/한산섬 달 밝은 밤에·이순신
공산이 적막한데·정충신/역발산 개세기는·임경업
군산을 삭평턴들·이완/초산 우는 호와·이지란



3. 세상에 떨친 절의 38

이 몸이 죽어 가서·성삼문/까마귀 눈비 맞아·박팽년
방 안에 혔는 촛불·이개/천만리 머나먼 길에·왕방연
나온자 금일이야·김구/녹초청강상에·서익
철령 높은 봉에·이항복/세상 사람들아·박인로
벽해 갈류 후에·구용/주치신사하니·홍익한
어버이 날 낳으셔·낭원군/어전에 실언하고·구인후
청춘에 곱던 양자·강백년/흉중에 불이 나니·박태보

4. 괴로움은 시로 승화되고 57

저 건너 일편석이·조광조/꽃이 진다 하고·송순
들은 말 즉시 잊고·송인/춘산에 불이 나니·김덕령
한식 비온 밤에·신흠/빈천을 할랴 하고·조찬한
임을 믿을 것가·이정구/가노라 삼각산아·김상헌
이별하던 날에·홍서봉/술을 취케 먹고·정태화
검으면 희다 하고·김수장/주려 죽으려 하고·주의식
까마귀 검으나 따나·작자 미상

5. 자연과 더불어 77

전나귀 모노라니·안정/주렴을 반만 열고·홍춘경
굽어는 천심녹수·이현보/십 년을 경영하여·송순
두류산 양단수를·조식/짚방석 내지 마라·한호
날이 저물거늘·권호문/지당에 비 뿌리고·조헌
대 심어 울을 삼고·김장생/말 없은 청산이요·성혼
추산이 석양을 띠고·유자신/삿갓에 도롱이 입고·김굉필
아해야 도롱 삿갓 차롸·조존성/책 덮고 창을 여니·정온
천지로 장막 삼고·이안눌/공명도 잊었노라·김광욱
금준에 가득한 술을·정두경/벼슬을 저마다 하면·김창업
내 집이 백학산중·윤순/설악산 가는 길에·조명리
강호에 버린 몸이·김성기/마천령 올라앉아·송계연월옹
말이 놀라거늘·작자 미상/산중에 책력 없어·작자 미상
물 아래 그림자 지니·작자 미상
북소리 들리는 절이·작자 미상/벽오동 심은 뜻은·작자 미상
달다려 물오려고·작자 미상/봄이 가려 하니·작자 미상
대붕을 손으로 잡아·작자 미상/목 붉은 산상치와·작자 미상

6. 삶의 교훈으로 삼아 111

내해 좋다 하고·변계랑/남이 해할지라도·이정신
선으로 패한 일 보며·엄흔/말하기 좋다 하고·작자 미상
말을 삼가하야·김상용/태산이 높다하되·양사언
간밤에 부던 바람·유응부/추강에 밤이 드니·월산대군
닫는 말 서서 늙고·유혁연/벼슬이 귀타 한들·신정하
공명을 즐겨 마라·김삼현/국화야 너는 어이·이정보
녹이상제 역상에서 늙고·김천택/언충신 행독경하고
성석린 대초 볼 붉은 골에·황희/심여장강 유수청이요
신광한 이리도 태평성대·성수심/태평 천지간에·양응정
우부도 알며 하거니·이황/전원에 봄이 오니·성운
큰 잔에 가득 부어·이덕형/풍파에 놀란 사공·장만
질가마 좋이 씻고·김광욱/청산도 절로절로·김인후
동창이 밝았느냐·남구만/오늘은 천렵하고·김유기
꽃 피면 달 생각하고·이정보/샛별 지자 종다리 떴다
이재장공구만리에·안민영

7. 애절한 사랑노래 144

있으렴 부디 갈따·성종/마음이 어린 후이니·서경덕
청초 우거진 골에·임제/녹양이 천만사인들·이원익
닻 드자 배 떠나가니·김광욱/자네 집에 술 익거든·김육
꿈에 다니는 길이·이명한/공산에 우는 접동·박효관
설월이 만창한데·작자 미상/비는 온다마는·작자 미상
말 타고 꽃밭에 드니·작자 미상/사랑이 어떻더니·작자 미상
어리거든 채 어리거나·작자 미상/당우를 어제 본 듯·소춘풍
이화우 흩뿌릴 제·계랑/청산리 벽계수야·황진이
상공을 뵈온 후에·소백주/한송정 달 밝은 밤에·홍장
꿈에 뵈는 임이·명옥/매화 옛 등걸에·매화
산촌에 밤이 드니·천금/솔이 솔이라 하니·송이
바람 불으소서·작자 미상

8. 엇시조와 사설시조 170

다나 쓰나 이탁주 좋고·채유후/갈 제는 오마터니·김두성
눈 풀풀 접심홍이요·김영/웃는 양은 잇바디도 좋고·작자 미상
바둑이 검둥이·작자 미상/물레는 줄로 돌고·작자 미상
임이 오마 하거늘·작자 미상/나무도 바윗돌도·작자 미상
귀또리 귀또리·작자 미상/두터비 파리를 물고·작자 미상

9. 연시조 182

강호사시가·맹사성/고산구곡가·이이
훈민가·정철/오우가·윤선도

이용현황보기

한국의 옛시조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00162 811.13 -24-1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이용가능
0003100163 811.13 -24-1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이상보 박사가 모아 엮은 우리의 옛시조

‘시조’는 당시의 시대상과 사계의 풍류는 물론이요, 인간생활의 온갖 모습을 3장 6구, 곧 45자 내외의 짧은 형식으로 노래한 정형시이다. 시조의 특징은 우선 형식의 간결미와 내용의 함축미에서 찾아야 한다. 그리고 지은이도 왕족을 비롯하여 양반·서민·기녀들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여 누구나 가까이할 수 있는 대중성 또한 지니고 있다.
또 씌어진 계기도 언제 어디서나 자유롭게 즉흥적으로 읊어지는 것이므로 여기엔 조금의 허식이나 사전 설계가 필요 없다. 오직 담담히 대상을 관조하고 제 정서를 밖으로 펴내면 한 수의 시조가 되는 아주 자연스러운 창작 과정을 밟는다. 그래서 주제도 다양하여 인륜人倫, 권계勸戒, 송축頌祝, 정조貞操, 연군戀君, 개세慨世, 회고懷古,취흥醉興, 규원閨怨, 별한別恨, 한정閑情 등 자연과 인생 전반을 휘감고 있다.
그러므로 우리들은 시조를 읽음으로써 지은이의 마음속을 들여다보며 그 인품을 본받을 수도 있고, 그때그때의 사회적 상황과 조상들의 정신세계를 이해하고 계승할 수도 있을 것이다.

책속에서

알라딘제공
| 이 책을 읽는 분에게 |

시조는 우리 겨레만이 가지고 있는 시가형식 중의 하나이다. 그 종류는 세 가지가 있으니 평시조·엇시조·사설시조로 나누는데 이는 문학상의 구분이요, 음악에서는 평시조·중어리시조·지름시조·엇시조·엇엮음시조·사설시조 등으로 나누고 있다.
평시조는 신라의 향가와 고려의 경기체가 및 속요에서 발전·변형되어 고려 말기에 그 형태가 갖추어져 오늘날까지 천여 년을 이어 오고 있는 것이다.
‘시조’는 ‘시절가時節歌’, ‘장단가長短歌’ 또는 ‘신조新調’라고도 했는데, 당시의 시대상과 사계의 풍류는 물론이요, 인간생활의 온갖 모습을 3장 6구, 곧 45자 내외의 짧은 형식으로 노래한 정형시이다.

그러나 조선 중기부터는 그 정형성이 발전하여 다소 길어진 엇시조와 무제한으로 늘어난, 일종의 산문시에 가까워진 사설시조도 생겨 제법 다채로운 양상을 띠게 되었다.
시조의 특징은 우선 형식의 간결미와 내용의 함축미에서 찾아야 한다. 그리고 지은이도 왕족을 비롯하여 양반·서민·기녀들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여 누구나 가까이할 수 있는 대중성 또한 지니고 있다.
또 씌어진 계기도 언제 어디서나 자유롭게 즉흥적으로 읊어지는 것이므로 여기엔 조금의 허식이나 사전 설계가 필요 없다. 오직 담담히 대상을 관조하고 제 정서를 밖으로 펴내면 한 수의 시조가 되는 아주 자연스러운 창작 과정을 밟는다. 그래서 주제도 다양하여 인륜人倫·권계勸戒·송축頌祝·정조貞操·연군戀君·개세慨世·회고懷古·취흥醉興·규원閨怨·별한別恨·한정閑情 등 자연과 인생 전반을 휘감고 있다.
그러므로 우리들은 시조를 읽음으로써 지은이의 마음속을 들여다보며 그 인품을 본받을 수도 있고, 그때그때의 사회적 상황과 조상들의 정신세계를 이해하고 계승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오늘날 시조를 이미 낡은 문학형태라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없지 않으나, 그것은 오해라고 해야 할 것이다. 시조야말로 우리 한국 민족의 숨결에 가장 어울리는 음수율을 지니고 있고, 잡스러운 사상을 걸러 내버린 순수한 내용을 담을 수 있는 훌륭한 그릇임을 알아야 한다.
다만 지난날의 음풍농월吟風弄月 따위로 너무 감정에만 치우치던 태도를 지양하여 지성과 의지까지도 가미하고, 그 표현에 있어서도 평범한 단계를 뛰어넘어 고도의 상징적 수법에까지 발전시켜 가도록 힘써야 한다. 그리하여 옛시조를 새 노래로 읽고 노래하고 지어내는 국민운동을 일으켜 보면 어떨까?
이런 과제를 풀고자 하는 뜻에서 이 책을 꾸미며 다음 사항에 유념하였다.


◇ 시조 본문은 원작품대로 싣되 현행 맞춤법에 따랐다.
◇ 작품마다 출전을 밝히되 그 대표적인 것들만 들었다.
◇ 말뜻에서 어려운 말만 풀어놓고 전문풀이를 하지 않음은
원작품의 분위기를 살리기 위함이다.

◇ 지은이는 작품과의 연관성에서 간결하게 요약하여 소개했다.
◇ 감상은 일반적인 해설을 꾀했으나 간혹 주관적 비평도 보태었다.
◇ 중·고등학교의 교과서에 실린 작품들도 함께 실어 학생들의 공부에도
보탬이 되도록 했다.
◇ 시조의 출전出典을 밝혀 독자들의 편의를 도모하였다.
출전의 약칭略稱은 다음과 같다.


가곡:가곡원류歌曲源流/고금:고금가곡古今歌曲

근화:근화악부槿花樂府/남훈:남훈태평가南薰太平歌

대동:대동풍아大東風雅/동가:동가선東歌選

청구:청구영언靑丘永言/해동:해동가요海東歌謠

화원:화원악보花源樂譜/악학:악학습령樂學拾零

여창:여창유취女唱類聚