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요약 4

Ⅰ. 서론 14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5

2. 연구 방법 17

Ⅱ. 초등돌봄 이론적 배경 19

1. 돌봄의 개념과 정책의 변화 20

2. 돌봄 관련 정책의 제도적 근거 28

3. 돌봄 국내외 사례 40

4. 초등돌봄 관련 쟁점 55

5. 생태적 돌봄의 전환 59

Ⅲ. 서울 초등돌봄 현황 62

1. 서울 초등돌봄교실 운영 현황 63

2. 서울시 지역별 초등돌봄교실 운영 현황 70

3. 소결 99

Ⅳ. 서울 초등돌봄 관리ㆍ운영 방안 탐색: FGI 결과 102

1. FGI 조사 개요 103

2. 분석 결과 111

3. 소결 129

Ⅴ. 서울형 초등돌봄 관리ㆍ운영체제의 구축 및 운영 방안 130

1. 서울형 초등돌봄의 기본 원칙 131

2. 서울형 초등돌봄의 모형 133

3. 서울형 초등돌봄의 운영 방안 139

4. 서울형 초등돌봄 체제 추진 방안 150

Ⅵ. 결론 및 제안 154

1. 연구 요약 155

2. 결론 및 제안 158

참고문헌 160

판권기 162

표목차

〈표 Ⅱ-1〉 초등돌봄의 추진경과(2004~2022) 22

〈표 Ⅱ-2〉 돌봄 정책 비교 28

〈표 Ⅱ-3〉 권칠승 의원 안과 강민정 의원 안 주요 내용 비교 33

〈표 Ⅱ-4〉 국정과제 84 36

〈표 Ⅱ-5〉 국정과제84 추진 현황 37

〈표 Ⅱ-6〉 우리동네 키움센터 43

〈표 Ⅱ-7〉 초등돌봄+방과후 학교 통합 운영형태 44

〈표 Ⅱ-8〉 서울 중구 초등돌봄사업 현황 자료 46

〈표 Ⅱ-9〉 서울 중구 초등돌봄사업 사업 비교(교육청돌봄/중구초등돌봄/늘봄학교) 47

〈표 Ⅱ-10〉 독일의 전일제 학교 유형 53

〈표 Ⅱ-11〉 스웨덴의 여가활동센터 54

〈표 Ⅱ-12〉 생태중심 교육의 방향 61

〈표 Ⅲ-1〉 서울특별시 초등돌봄교실 현황 종합 63

〈표 Ⅲ-2〉 서울특별시 지역별 초등돌봄교실 현황 종합 70

〈표 Ⅲ-3〉 오후 돌봄교실 운영형태 72

〈표 Ⅲ-4〉 시간대ㆍ학년별 초등돌봄교실 이용 학생 수 74

〈표 Ⅲ-5〉 아침 초등돌봄교실 수 77

〈표 Ⅲ-6〉 시간대별 오후(오후ㆍ저녁) 초등돌봄교실 수 78

〈표 Ⅲ-7〉 시간대별 오후 돌봄 이용 학생 수 79

〈표 Ⅲ-8〉 시간대별 저녁 돌봄 이용 학생 수 80

〈표 Ⅲ-9〉 시간대별 방과후학교 연계형 초등돌봄교실 이용 학생 수 82

〈표 Ⅲ-10〉 소득구분별 오후 돌봄(오후ㆍ저녁)교실 이용 학생 수 82

〈표 Ⅲ-11〉 오후 돌봄(오후ㆍ저녁) 이용 학생 대상 소득 구분별 학생 수 82

〈표 Ⅲ-12〉 방과후학교 연계형 돌봄 이용 학생 대상 소득구분별 학생 수 84

〈표 Ⅲ-13〉 오후 돌봄(오후ㆍ저녁)교실 이용 학생 중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수강 학생 수 86

〈표 Ⅲ-14〉 지역별 오후 돌봄 이용 학생 중 방과후 강좌 수강 학생 수 86

〈표 Ⅲ-15〉 학년 별 지역돌봄기관 연계 수강 학생 현황 88

〈표 Ⅲ-16〉 오후 돌봄(오후ㆍ저녁)을 이용하는 학생 중 '지역돌봄기관연계'를 이용하는 학생 수 89

〈표 Ⅲ-17〉 방과후학교 연계형 돌봄을 이용하는 학생 중 '지역돌봄기관연계'를 이용하는 학생 수 89

〈표 Ⅲ-18〉 17시 이전 주당 단체활동 프로그램 개수 90

〈표 Ⅲ-19〉 주당 단체활동 프로그램 개수 92

〈표 Ⅲ-20〉 오후(오후ㆍ저녁) 돌봄 참여 인력 수 92

〈표 Ⅲ-21〉 방과후학교 연계형 참여 인력 수 95

〈표 Ⅲ-22〉 돌봄 전담사 근로 근무 현황 96

〈표 Ⅳ-1〉 FGI 세부 운영 계획 103

〈표 Ⅳ-2〉 대면 인터뷰 참여자 및 개요 104

〈표 Ⅳ-3〉 돌봄 전담사 근로 근무 현황 107

〈표 Ⅳ-4〉 자치단체 특징에 대한 분석 108

〈표 Ⅴ-1〉 서울형 돌봄 체제 단계별 추진 계획 152

그림목차

[그림 Ⅱ-1] 늘봄학교 프로그램 운영 25

[그림 Ⅱ-2] 늘봄학교 확산 계획(안) 26

[그림 Ⅱ-3] 늘봄학교 목표 및 추진 과제 27

[그림 Ⅱ-4] 초등 돌봄교실 체계 36

[그림 Ⅱ-5] 아이 돌봄 현황 40

[그림 Ⅱ-6] 돌봄 공급 계획 41

[그림 Ⅱ-7] 학교돌봄터 사업 추진 체계도 42

[그림 Ⅱ-8] 경남거점통합센터 늘봄1호 명서초 49

[그림 Ⅱ-9] 경남거점통합센터 늘봄2호 상남초 50

[그림 Ⅱ-10] 경남거점통합센터 늘봄3호 김해초 51

[그림 Ⅱ-11] 마을교육공동체의 이론적 토대 59

[그림 Ⅲ-1] 돌봄교실 운영형태 66

[그림 Ⅲ-2] 시간대별 돌봄교실 운영형태와 학생 수 67

[그림 Ⅲ-3] 돌봄교실 운영형태 72

[그림 Ⅲ-4] 지역별 돌봄교실 운영형태 74

[그림 Ⅲ-5] 오전 돌봄 이용 학생별 75

[그림 Ⅲ-6] 오후 돌봄 이용 학생 비율 76

[그림 Ⅲ-7] 저녁 돌봄 이용 학생 비율 76

[그림 Ⅲ-8] 학년별 방과후학교 연계형 이용 학생 수 76

[그림 Ⅲ-9] 시간대별 오후(오후ㆍ저녁) 돌봄교실 비율 77

[그림 Ⅲ-10] 지역별 오후(오후ㆍ저녁) 돌봄교실 수 79

[그림 Ⅲ-11] 시간대별 오후 돌봄 이용 학생 수 80

[그림 Ⅲ-12] 시간대별 저녁 돌봄 이용 학생 수 81

[그림 Ⅲ-13] 오후 돌봄(오후ㆍ저녁)교실 이용 학생 비율 81

[그림 Ⅲ-14] 지역 및 소득구분별 오후(오후ㆍ저녁) 돌봄 이용 학생 수 84

[그림 Ⅲ-15] 소득구분별 방과후학교 연계형 돌봄 이용 학생 수 86

[그림 Ⅲ-16] 방과후 학교 프로그램 수강 학생 수 88

[그림 Ⅲ-17] 프로그램 운영형태 및 운영 주체 구성 90

[그림 Ⅲ-18] 지역별 주당 프로그램운영 수 91

[그림 Ⅲ-19] 방과후학교 연계형 돌봄교실 주당 틈새(단체활동) 프로그램 총개수 92

[그림 Ⅲ-20] 오후 돌봄 및 방과후학교 연계형 돌봄교실 참여 인력 수 94

[그림 Ⅲ-21] 지역별 오후 돌봄 인력구성 비율 95

[그림 Ⅲ-22] 돌봄 전담사 계약형태별 근무시간 비율 97

[그림 Ⅲ-23] 돌봄 전담사 자격 소지 현황 97

[그림 Ⅴ-1] 서울형 초등돌봄의 원칙 132

[그림 Ⅴ-2] 서울형 초등돌봄체제 운영 모델 134

[그림 Ⅴ-3] 서울형 초등돌봄체제 운영 모델 예시 모형1 137

[그림 Ⅴ-4] 서울형 초등돌봄체제 운영 모델 예시 모형2 137

[그림 Ⅴ-5] 서울형 초등돌봄체제 운영 모델 예시 모형3 138

[그림 Ⅴ-6] 서울형 초등돌봄 거버넌스 체제 139

[그림 Ⅴ-7] 서울형 초등돌봄체제 참여 주체 142

[그림 Ⅴ-8] 서울형 초등돌봄공동체 운영 145

[그림 Ⅴ-9] 서울형 초등돌봄 추진체계 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