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요약 3

Ⅰ. 연구 개요 10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1

2. 연구내용 12

3. 연구방법 12

Ⅱ. 체험자원 발굴 결과 13

1. 전주시 16

2. 군산시 19

3. 익산시 22

4. 정읍시 25

5. 남원시 28

6. 김제시 31

7. 완주군 34

8. 진안군 37

9. 무주군 40

10. 장수군 43

11. 임실군 46

12. 순창군 49

13. 고창군 52

14. 부안군 55

Ⅲ. 국내ㆍ외 사례분석 및 활성화 방안 58

1. 국내ㆍ외 사례분석 59

2. 활성화 방안 수립 목적 및 목표 66

3. 항목별 세부 활성화 방안 71

Ⅳ. 결론 및 제언 78

참고문헌 82

판권기 83

〈표 Ⅱ-1〉 시ㆍ군별 체험자원 발굴 결과 14

〈표 Ⅱ-2〉 주요 연계자원 현황(전주시) 16

〈표 Ⅱ-3〉 전주시 삼천리길 연계 체험자원 조사표 18

〈표 Ⅱ-4〉 주요 연계자원 현황(군산시) 19

〈표 Ⅱ-5〉 군산시 삼천리길 연계 체험자원 조사표 21

〈표 Ⅱ-6〉 주요 연계자원 현황(익산시) 22

〈표 Ⅱ-7〉 익산시 삼천리길 연계 체험자원 조사표 24

〈표 Ⅱ-8〉 주요 연계자원 현황(정읍시) 25

〈표 Ⅱ-9〉 정읍시 삼천리길 연계 체험자원 조사표 27

〈표 Ⅱ-10〉 주요 연계자원 현황(남원시) 28

〈표 Ⅱ-11〉 남원시 삼천리길 연계 체험자원 조사표 30

〈표 Ⅱ-12〉 주요 연계자원 현황(김제시) 31

〈표 Ⅱ-13〉 김제시 삼천리길 연계 체험자원 조사표 33

〈표 Ⅱ-14〉 주요 연계자원 현황(완주군) 34

〈표 Ⅱ-15〉 완주군 삼천리길 연계 체험자원 조사표 36

〈표 Ⅱ-16〉 주요 연계자원 현황(진안군) 37

〈표 Ⅱ-17〉 진안군 삼천리길 연계 체험자원 조사표 39

〈표 Ⅱ-18〉 주요 연계자원 현황(무주군) 40

〈표 Ⅱ-19〉 무주군 삼천리길 연계 체험자원 조사표 42

〈표 Ⅱ-20〉 주요 연계자원 현황(장수군) 43

〈표 Ⅱ-21〉 장수군 삼천리길 연계 체험자원 조사표 45

〈표 Ⅱ-22〉 주요 연계자원 현황(임실군) 46

〈표 Ⅱ-23〉 임실군 삼천리길 연계 체험자원 조사표 48

〈표 Ⅱ-24〉 주요 연계자원 현황(순창군) 49

〈표 Ⅱ-25〉 순창군 삼천리길 연계 체험자원 조사표 51

〈표 Ⅱ-26〉 주요 연계자원 현황(고창군) 52

〈표 Ⅱ-27〉 고창군 삼천리길 연계 체험자원 조사표 54

〈표 Ⅱ-28〉 주요 연계자원 현황(부안군) 55

〈표 Ⅱ-29〉 부안군 삼천리길 연계 체험자원 조사표 57

〈표 Ⅲ-1〉 강ㆍ약점 분석 결과 68

〈표 Ⅲ-2〉 시ㆍ군 연계 체류형 걷기 탐방 프로그램 개발ㆍ운영(안) 73

〈표 Ⅲ-3〉 체험기반 조성을 위한 해당 부처(안) 76

〈표 Ⅲ-4〉 체험자원 활용 가능 대상 목록 및 선행절차(안) 77

〈그림 Ⅱ-1〉 전라북도 에코캠핑 삼천리길 노선(안) 15

〈그림 Ⅱ-2〉 전주시 삼천리길 노선(안) 16

〈그림 Ⅱ-3〉 전주시 체험자원(안) 17

〈그림 Ⅱ-4〉 건지산 일원 기반시설 및 탐방로 18

〈그림 Ⅱ-5〉 군산시 삼천리길 노선(안) 19

〈그림 Ⅱ-6〉 군산시 체험자원(안) 20

〈그림 Ⅱ-7〉 청암산 일원 주요 기반시설 21

〈그림 Ⅱ-8〉 익산시 삼천리길 노선(안) 22

〈그림 Ⅱ-9〉 익산시 체험자원(안) 23

〈그림 Ⅱ-10〉 김대건 신부길 일원 주요 기반시설 24

〈그림 Ⅱ-11〉 정읍시 삼천리길 노선(안) 25

〈그림 Ⅱ-12〉 정읍시 체험자원(안) 26

〈그림 Ⅱ-13〉 내장저수지 일원 주요 기반시설 27

〈그림 Ⅱ-14〉 남원시 삼천리길 노선(안) 28

〈그림 Ⅱ-15〉 남원시 체험자원(안) 29

〈그림 Ⅱ-16〉 주요 연계자원 및 기반시설 30

〈그림 Ⅱ-17〉 김제시 삼천리길 노선(안) 31

〈그림 Ⅱ-18〉 김제시 체험자원 대상지역 위치도(이현옥 외, 2018) 32

〈그림 Ⅱ-19〉 청하산 일원 주요 연계자원 33

〈그림 Ⅱ-20〉 완주군 삼천리길 노선(안) 34

〈그림 Ⅱ-21〉 완주군 체험자원 대상지역 위치도 35

〈그림 Ⅱ-22〉 사업 대상지 일원 폐광 및 방치시설 현황 36

〈그림 Ⅱ-23〉 진안군 삼천리길 노선(안) 37

〈그림 Ⅱ-24〉 진안군 체험자원 위치도 38

〈그림 Ⅱ-25〉 사업 대상지 일원 관리 상황 39

〈그림 Ⅱ-26〉 무주군 삼천리길 노선(안) 40

〈그림 Ⅱ-27〉 무주군 체험자원 위치도 41

〈그림 Ⅱ-28〉 사업 대상지 연계자원 및 기반 현황 42

〈그림 Ⅱ-29〉 장수군 삼천리길 노선(안) 43

〈그림 Ⅱ-30〉 장수군 국가지질공원 인증 추진 구역(안) 44

〈그림 Ⅱ-31〉 장수군 주요 지질자원 모습 45

〈그림 Ⅱ-32〉 임실군 삼천리길 노선(안) 46

〈그림 Ⅱ-33〉 옥정호 태극 물돌이습지 위치도 47

〈그림 Ⅱ-34〉 태극 물돌이습지 주요 경관 48

〈그림 Ⅱ-35〉 순창군 삼천리길 노선(안) 49

〈그림 Ⅱ-36〉 책바위-채계산 지오트레일 제안 위치도 50

〈그림 Ⅱ-37〉 책바위 및 기반시설, 채계산 출렁다리 51

〈그림 Ⅱ-38〉 고창군 삼천리길 노선(안) 52

〈그림 Ⅱ-39〉 체험자원 조성 제안 위치도 53

〈그림 Ⅱ-40〉 고창지역의 다양한 황토 산출 상태 54

〈그림 Ⅱ-41〉 부안군 삼천리길 노선(안) 55

〈그림 Ⅱ-42〉 명품 부안 청자길 제안 위치도 56

〈그림 Ⅱ-43〉 대상지역 현장 사진 및 연계 관광자원 57

〈그림 Ⅲ-1〉 운탄고도길 운영 관련 자료 60

〈그림 Ⅲ-2〉 마재마을 스탬프투어 등 관련 자료 61

〈그림 Ⅲ-3〉 문경 에코월드 주요 기반시설 62

〈그림 Ⅲ-4〉 밀포드 트렉 운영 관련 주요 기반시설 64

〈그림 Ⅲ-5〉 랑카위 지역의 체험기반 조성 및 브랜드 활용 사례 65

〈그림 Ⅲ-6〉 현재 운영 중인 도내 주요 생태관광 체험 프로그램 71

〈그림 Ⅲ-7〉 경북 동해안의 체류형 걷기 탐방 프로그램 운영 모습 72

〈그림 Ⅲ-8〉 국가지정 브랜드를 활용한 탐방로 홍보 사례 74

〈그림 Ⅲ-9〉 국가보호지역 지정에 따른 기반 조성(위) 및 람사르습지 추진(아래) 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