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1부 사(史)적이고 사(私)적인
불과 시험 — 프로이트의 마음의 위상학과 안도현의 ‘연탄’ 연작
이청준 문학과 ‘한(恨)’ — 「남도 사람」 연작을 중심으로
응답하라, 1983 — 박노해, 황지우, 백낙청의 시대
1980년대 민족민중문학론의 결여
마르크스주의와 형식 — 루카치의 『소설의 이론』에 대하여
눌변의 문학 — 이인성, 『낯선 시간 속으로』
2부 증언과 시점
기억을 복원한다는 것 — 김숨, 『L의 운동화』와 『한 명』
증언과 시점 — 김숨, 『군인이 천사가 되기를 바란 적 있는가』
불가능한 인터뷰 — 김숨, 『듣기 시간』
소설과 증기기관 — 황석영의 『철도원 삼대』와 김숨의 『떠도는 땅』
임철우, 사도 바울 — 임철우, 『연대기, 괴물』
나야, 몽희 — 임철우, 『돌담에 속삭이는』
3부 광주에서
그 밤의 재구성 — 김현과 5·18
공동체와 죽은 타인의 얼굴 — 『봄날』을 다시 읽으며
‘총’이라는 물건 — ‘사건’으로서의 5·18 과 ‘총’
5·18 을 가르친다는 것
그에게는 병식(病識)이 없어서 — 지만원의 『뚝섬 무지개』에 대하여
정작 중요한 것 — 전두환의 죽음에 부쳐
4부 여록(餘錄)
‘최악’의 소설사 — 김이설론
아이를 찾았습니다만 — 김영하론
죽음이 다녀간 후 — 손홍규론
우리는 세 부류로 나뉜다 — 김숨, 『제비심장』
그것이 온다 — 백민석, 『헤이, 우리 소풍 간다』
분노조절장애 시대의 묵시록 — 백민석, 『공포의 세기』
소설과 SNS — 백민석의 『버스킹!』과 이장욱의 『에이프릴 마치의 사랑』
추리할 수 없는 세계의 추리소설 — 이장욱, 『칼로의 유쾌한 악마들』
다시, ‘환대’에 대하여 — 이기호, 『누구에게나 친절한 교회 오빠 강민호』
책임의 소재 — 편혜영, 『소년이로』
비(非)윤리 혹은 미(未)윤리적 소설 쓰기 — 백가흠론
제비가 떠난 후 — 윤대녕론
내가 뭘 잘못하지 않았는데— — 임현, 『그 개와 같은 말』
파기된 계약 — 양선형, 『클로이의 무지개』
젊은 아톨레타리아트의 초상 — 서이제, 『0%를 향하여』, 이민진, 『장식과 무게』, 신종원, 『전자 시대의 아리아』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3103673 | 811.09 -24-50 |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 이용가능 | |
0003103674 | 811.09 -24-50 |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 이용가능 | |
B000104010 | 811.09 -24-50 | 부산관 종합자료실(1층) | 이용가능 | |
B000118913 | 811.09 -24-50 | 부산관 종합자료실(1층)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 서가번호: 12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