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책을 내며 ... ⅰ

01
‘앵무새 지론’, 희망의 새가 되어 날다. ... 1
로버트 멀리건 감독, 〈앵무새 죽이기〉(1962)

deep into the film 미국 배심재판제도 ... 9

02
‘셀마-몽고메리 행진’, ‘아랍의 봄’에 영감을 주다. ... 13
에바 두버네이 감독, 〈셀마〉(2014)
deep into the film 브라운 대 교육위원회
(Brown v. Board of Education) 사건 ... 23

03
‘모드들’, 역사의 어둠 속에서도 희망의 끈을 놓지 않다. ... 25
사라 게이브런 감독, 〈서프러제트〉(2015)

deep into the film 차티스트 운동(Chartist Movement) ... 36

04
‘워싱턴 포스트’, 위대한 폭로 뉴스로
역사의 초고가 되다. ... 39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 〈더 포스트〉(2017)

deep into the film 미연방대법원의 표현의 자유에 대한
위헌심사기준 ... 48

05
‘악명높은 RBG’, 삶의 위대한 발자국을 남기다. ... 51
벳시 웨스트·줄리 코헨 감독,
〈루스 베이더 긴즈버그: 나는 반대한다〉(2018)

deep into the film 미연방대법원의 위헌 판결의 효력 ... 61

06
대한민국 헌법 제1조 제2항,
“국가는 곧 국민이며, 국민은 곧 국가이다.” ... 67
양우석 감독, 〈변호인〉(2013)
deep into the film 부마민주항쟁보상법 관련
헌법재판소 결정 ... 76

07
가혹한 복지수급 조건, 빈곤을 형벌화하다. ... 79
켄 로치 감독, 〈나, 다니엘 블레이크〉(2016)

deep into the film 한국판 ‘나, 다니엘 블레이크’ 사건 ... 90

08
부재중 리키, 인간존엄성에 대한 숙고를 요청하다. … 95
켄 로치 감독, 〈미안해요, 리키〉(2019)

deep into the film 한국판‘리키들’ 사건 … 104

09
아버지의 약속,
반도체 노동자의 산재보상에 좋은 파동이 되다. ... 109
김태윤 감독, 〈또 하나의 약속〉(2013)

deep into the film 이른바‘김용균 법’ ... 118

10
잠자던 거인, 카트를 밀며 깨어나 연대하다. ... 123
부지영 감독, 〈카트〉(2014)

deep into the film 부당노동행위 구제제도와
부당해고 구제제도 ... 133

11
소수의견, 경찰의 부작위로 인한
국가배상책임을 인정하다. ... 135
김성제 감독, 〈소수의견〉(2015)

deep into the film 경찰의 부작위로 인한
국가배상청구소송 ... 147

12
포르쉐를 타던 잰,
미국 민사소송절차의 본질에 대해 묻다. ... 149
스티븐 제일리언 감독, 〈시빌액션〉(1998)

deep into the film 미국 민사소송절차 ... 159

13
귀여운 여인, 634명 힝클리 주민의
집단소송을 해결하다. ... 163
스티븐 소더버그 감독, 〈에린브로코비치〉(2000)

deep into the film 미국 집단소송(Class Action) ... 174

14
포기를 모르는 주디, 미국 이민법 판례를 뒤집다. ... 177
숀 해니시 감독, 〈세인트 주디〉(2018)

deep into the film 미국 이민법원 ... 188

15
올드 펍, 환대와 연대의 공간이 되다. ... 191
켄 로치 감독, 〈나의 올드 오크〉(2023)

deep into the film 모든 이주노동자와
그 가족의 권리보호에 관한 국제협약 ... 200

16
모어경, 양심의 자유 수호를 위해 사형대에 서다. ... 203
프레드 진네만 감독, 〈사계절의 사나이〉(1966)

deep into the film 영국의 보통법 법원과 형평법 법원 ... 213

17
12인의 여과장치, 배심재판제도의 존재의의를 묻다. ... 217
시드니 루멧 감독, 〈12인의 성난 사람들〉(1957)

deep into the film 미국 형사소송절차 ... 225

18
준영, 현우의 억울한 서사를 바로잡다. ... 229
김태균 감독, 〈재심〉(2017)

deep into the film 인신의 자유를 해하는
국가권력에 대한 통제제도 ... 239

주 ... 241

참고문헌 ... 250

이용현황보기

세상을 바꾼 영화 속 인권 이야기 : 필름의 눈으로 읽는 법과 삶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06285 323 -24-2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이용가능
0003106286 323 -24-2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이용가능
0003114865 323 -24-2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이용가능
0003114866 323 -24-2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이용가능
B000105528 323 -24-2 부산관 주제자료실(2층) 이용가능

책속에서

알라딘제공
[P.8] <앵무새 죽이기>는 1930년대 앨라바마주 법의 현실을 그대로 재현하며 인종차별이라는 무거운 주제를 순수한 동심을 지닌 스카웃의 시선으로 전개한다. 그리고 집단적 편견이 지배하는 사회에서 애티커스가 그의 ‘앵무새 지론’을 실제 행함을 통해 보여줌으로써 인간의 보편적 양심에 호소하며, 인간 존엄성의 가치를 추구한다.
[P. 22] ‘셀마-몽고메리 행진’은 세상을 절망에서 희망으로 이끌어주는 진보의 발걸음이자 행동하고 연대하는 시민들의 용기로 민주주의를 확장시킨 역사의 한 페이지로 여전히 세계 도처에서 또 다른‘셀마 대행진’을 확장시키고 있다.
[P. 35] 단지 여성으로 태어났다는 이유 만으로 인류의 반이나 되는 사람들이 불행한 삶을 살아감으로써 야기되는 심각한 해악과 부조리는 여전하지만, 이러한 부당함에 맞서는‘모드들’이 있는 한 희망의 끈을 놓지 않을 이유는 충분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