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1장
2장
3장
4장
5장
6장
7장
8장

해설
지은이에 대해
옮긴이에 대해

이용현황보기

호른의 죽음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05188 833 -24-49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3105189 833 -24-49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B000101980 833 -24-49 부산관 종합자료실(1층)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동독의 한적한 소도시 굴덴베르크. 1957년, 이곳에서 ‘호른’이라는 이름의 한 남자가 죽었다. 소설이 전개되는 시점은 1980년대 초로, 1957년 당시 호른의 죽음을 겪었던 다섯 인물, 게르트루데 피슈링거, 크루슈카츠, 슈포데크, 토마스, 마를레네가 그의 죽음에 대해 총 39회에 걸쳐 보고한다.
그러나 이들 다섯 인물의 보고에는 ‘호른의 죽음’이라는 사건 자체보다는 각자가 안고 있는 개인적인 문제와 자신의 운명에 관한 내용이 더 많이 담겨 있다. 절박하고 강렬한 각 인물들의 이야기가 마치 퍼즐처럼 직조되는 가운데, 독자는 다섯 인물의 이야기를 상호 연결하며 호른의 죽음의 실체에 대한 수수께끼를 풀어 나간다.
소설은 총 8장으로 각 장은 모두, 죽은 호른과 사건 당시 10대 소년이었던 토마스의 대화로 시작된다. 호른은 부르지도 않았는데 저승에서 유령처럼 등장해 살아 있는 자들로 하여금 자기의 죽음을 기억할 것을 요구한다.
《호른의 죽음》은 스탈린주의로 채색된 1957년 동독 사회에 히틀러 체제의 파시즘으로 얼룩진 과거사가 여전히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독특한 방식으로 드러낸 작품이다. 옛일을 잊지 않고 기억한다는 행위와 그 안에 담긴 의미, 그리고 역사를 어떻게 어떤 관점에서 이해하고 바라보아야 하는지에 대한 결코 가볍지 않은 담론들을 담은 수작이다.
1985년 출간 당시 평론가들로부터 “감동적인 아름다움의 소설”, “대가의 탁월한 소설로 40년 동독문학에서 가장 중요한 작품 중의 하나”로 칭송받았으며, 크리스토프 하인은 이 작품으로 우베욘손상, 슈테판하임상 등 유수의 문학상을 수상했다.

책속에서

알라딘제공
“우리가 일하는 이곳은 조그만 박물관에 지나지 않지만, 그래도 우린 역사를 쓰고 있어. 우린 진실이, 아니면 거짓이 기록되는지 책임져야 하는 사람들이야. 알겠니, 토마스?”

“물론이죠.”

“아니야, 넌 이해하지 못해. 진실이냐 아니면 거짓이냐, 거기엔 무서운 책임이 따라. 그걸 정말 깨달았다면, 더 이상 잠을 자지 못할 거야.”
나는 오늘 73세이고, 내 인생의 경험들을 무관심한 후세에게 한 문장으로 요약해야 한다면, 이렇게 말할 것이다. 역사란 없다. 역사는 죽어야 할 자신의 운명과 사이좋게 지내기에 유용한 형이상학으로, 죽음의 텅 빈 해골을 두르는 멋진 베일이다.
우리 뒤에 역사, 그리고 우리 앞에 신, 이것이 우리의 직립보행을 가능케 하는 코르셋이다. 나는 죽어 가는 자들의 그르렁거림이 바로 어렴풋이 깨어나는 우리들의 현실 인식이라고 믿는다. 죽은 자들은 코르셋이 필요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