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머리말
차례

프롤로그 경제학,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고 있나?
1. 경제학과 신고전학파의 등장
2. 대상의 팽창과 관점의 다양화
3. 경험적인 연구의 다양한 방법과 인과관계
4. 조망과 함의
참고문헌

| 제1장 | 경제학 제국주의
1. 신고전학파 경제학의 제국주의적인 요소
2. 경제학 제국주의의 구체적인 모습
3. 경제학 제국주의의 문제점과 경제학의 다른 변화들
참고문헌

| 제2장 | 행동경제학
1. 행동경제학의 기본 성격
2. 행동경제학과 경제발전
3. 행동경제학을 통해서 본 한국의 경제발전
참고문헌

| 제3장 | 실험경제학
1. 경제학에서 실험의 중요성
2. 경제학에서 준실험의 부상
3. 인과적인 추론을 위한 다른 기법들
4. 실험경제학의 함의
참고문헌

| 제4장 | 역사경제학
1. 역사경제학의 특징
2. 역사경제학의 등장: 경제모형의 역사 도입과 자연 실험의 발달
3. 역사경제학의 의의와 가능성
4. 역사경제학의 한계와 전망
참고문헌

| 제5장 | 진화경제학
1. 진화경제학의 세 가지 흐름
2. 진화경제학의 영역들
3. 진화경제학의 함의
참고문헌

| 제6장 | 신경경제학
1. 신경경제학이란?
2. 신경경제학의 발전 과정과 배경
3. 신경경제학의 영역들: 개인적 의사 결정과 사회적 의사 결정
4. 신경경제학에 대한 평가
참고문헌

| 제7장 | 유전경제학
1. 유전경제학이란?
2. 유전경제학의 등장 배경과 발전: 유전학의 영향
3. 유전경제학의 주제들
4. 유전경제학의 기여: 실증분석과 정책
5. 유전경제학의 이슈들
참고문헌

| 제8장 | 행복경제학
1. 행복경제학의 등장 배경
2. 행복경제학의 방법과 특징
3. 행복경제학의 발견
4. 행복경제학의 제안
5. 행복경제학에 대한 비판
6. 행복경제학을 넘어서: ‘좋은 삶’ 전통의 행복 연구
참고문헌

| 제9장 | 언어경제학
1. 경제학과 언어
2. 행동경제학에서 언어의 중요성
3. 대명사, 존칭, 성별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
4. 미래시제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 제10장 | 현대화폐이론
1. MMT의 화폐관
2. 국정화폐론과 재정·통화정책
3. 인플레이션 그리고 구축효과
4. MMT에 대한 비판
5. MMT는 사이비 과학, 정치적 선동에 불과한가?
6. 최근 경제정책들과 MMT
참고문헌

에필로그 ‘한국적 경제학’의 정립을 위한 기나긴 여정의 첫걸음
1. 주류 경제학의 대안을 추적하다
2. ‘한국’ 경제학과 ‘한국적’ 경제학
3. 한국적 경제학 실종의 의미
4. 한국적 경제학의 길을 찾는 대장정의 시작
참고문헌

찾아보기

이용현황보기

최근 경제학의 10가지 흐름 : 다원적 사회과학의 모색 = Ten new currents in economics : a search for a multidisciplinary social science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07501 330.1 -24-5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이용가능
0003107502 330.1 -24-5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이용가능
B000106052 330.1 -24-5 부산관 주제자료실(2층)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한국의 학문은 지난 70여 년 동안 외형상 크게 발전하였지만 실질적으로는 아직도 서구에 상당히 의존적이다. 경제학도 예외가 아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수시로 경제학의 움직임을 전체적으로 조망하는 일이 필요하다.

이 책은 이를 위해 최근 경제학의 변화를 조망하고 평가하였다. 물론 경제학의 거대한 변화를 다 담을 수는 없었다. 그렇지만 관점, 주제, 방법에서 새롭다고 볼 수 있는 열 가지를 선별하였다. 경제학 제국주의, 행동경제학, 실험경제학, 역사경제학, 진화경제학, 신경경제학, 유전경제학, 행복경제학, 언어경제학, 그리고 성격이 조금 다르지만, 현대화폐이론이 그것이다.

이런 변화를 검토한 결과 경제학이 여러 학문과 교류할 수 있는 열린 사회과학으로 거듭나기를 기대해 본다. 이 책을 통해 경제학의 역동성과 팽창성을 확인하고 사회과학과 인문학을 포함하는 학문체계의 향후 지형을 가늠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