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요약 9
제1장 서론 12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3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17
제2장 고교학점제와 대입제도 연계의 쟁점 23
제1절 고교학점제 정책 추진 현황 24
제2절 고교학점제의 쟁점 27
1. 진로교육 관련 쟁점 27
2. 과목 미이수제 관련 쟁점 28
3. 교육격차 관련 쟁점 29
4. 교사의 다과목 지도 관련 쟁점 30
5. 성취평가제 관련 쟁점 31
제3절 대입제도의 쟁점 32
1. 대입제도의 변화와 고교 교육과의 관계 33
2. 대입제도의 주요 쟁점 39
제4절 고교학점제와 대입제도 연계의 쟁점 46
1. 교과 성적 관련 쟁점 46
2. 선택과목 및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관련 쟁점 50
3. 고교 교육과정 이수를 통한 수능 및 면접 준비 관련 쟁점 53
제5절 정리 및 시사점 55
제3장 고교학점제 관련 대입제도 개편안 분석 58
제1절 분석틀 59
제2절 대입제도 주요 개편안 분석 60
1. 김진숙 외(2021)의 연구 검토 60
2. 최수진 외(2020)의 연구 검토 68
3.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2019)의 연구 검토 74
4. 김무봉 외(2019)의 연구 검토 80
5. 종합 시사점 87
제4장 대입제도 설계를 위한 의견조사 89
제1절 서면인터뷰 90
1. 서면인터뷰 개요 90
2. 분석결과(고교 교사) 92
3. 분석 결과(입학사정관) 98
제2절 설문조사 104
1. 설문조사 개요 104
2. 설문조사 도구 104
3. 설문조사 분석 방법 105
4. 설문조사 분석 결과 105
5. 요약 및 시사점 127
제5장 대입제도 개편 방안 133
제1절 대입제도 개편 원칙 134
제2절 대입제도 개편 방안 138
1. 개편 방향 138
2. 개편 방안 140
제6장 요약 및 결론 155
제1절 요약 156
제2절 결론 159
참고문헌 162
[부록 1] 학생부 및 면접 개선 방안 165
[부록 2] 고교학점제 연구ㆍ선도학교 교원 및 대학 입학사정관용 설문지 172
[부록 3] 고교 교사 서면인터뷰용 질문지 179
[부록 4] 대학 입학사정관 서면인터뷰용 질문지 182
[부록 5] 고교학점제에 따른 대입제도 개편 방안(안) 검토 요청 185
판권기 187
[그림 1-1] 연구 내용에 따른 방법의 적용과정 22
[그림 2-1] 일반계고 고교학점제 단계적 이행 준비 내용 25
[그림 4-1] 고교학점제와 대입제도에 대한 인식 108
[그림 4-2] 고교학점제에 따른 대입전형별 적합도와 확대 여부 111
[그림 4-3] 학생부 교과전형의 개선 방향 114
[그림 4-4] 학생부 종합 전형의 개선 방향 118
[그림 4-5] 수능 위주 전형의 개선 방향 121
[그림 4-6] 대입제도 개편의 원칙과 방향 124
[그림 5-1] 고교학점제에 따른 대입제도 개편안(1안) 143
[그림 5-2] 고교학점제에 따른 대입제도 개편안(2안) 147
[그림 5-3] 대입제도 개편안(2안-학생부위주전형) 147
[그림 5-4] 대입제도 개편안(2안-수능위주전형) 147
[그림 5-5] 고교학점제에 따른 대입제도 개편 방안(3안) 151
[그림 부-1] 학생부 기반 평가 흐름도 169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