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요약 9

제1장 서론 12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3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17

제2장 고교학점제와 대입제도 연계의 쟁점 23

제1절 고교학점제 정책 추진 현황 24

제2절 고교학점제의 쟁점 27

1. 진로교육 관련 쟁점 27

2. 과목 미이수제 관련 쟁점 28

3. 교육격차 관련 쟁점 29

4. 교사의 다과목 지도 관련 쟁점 30

5. 성취평가제 관련 쟁점 31

제3절 대입제도의 쟁점 32

1. 대입제도의 변화와 고교 교육과의 관계 33

2. 대입제도의 주요 쟁점 39

제4절 고교학점제와 대입제도 연계의 쟁점 46

1. 교과 성적 관련 쟁점 46

2. 선택과목 및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관련 쟁점 50

3. 고교 교육과정 이수를 통한 수능 및 면접 준비 관련 쟁점 53

제5절 정리 및 시사점 55

제3장 고교학점제 관련 대입제도 개편안 분석 58

제1절 분석틀 59

제2절 대입제도 주요 개편안 분석 60

1. 김진숙 외(2021)의 연구 검토 60

2. 최수진 외(2020)의 연구 검토 68

3.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2019)의 연구 검토 74

4. 김무봉 외(2019)의 연구 검토 80

5. 종합 시사점 87

제4장 대입제도 설계를 위한 의견조사 89

제1절 서면인터뷰 90

1. 서면인터뷰 개요 90

2. 분석결과(고교 교사) 92

3. 분석 결과(입학사정관) 98

제2절 설문조사 104

1. 설문조사 개요 104

2. 설문조사 도구 104

3. 설문조사 분석 방법 105

4. 설문조사 분석 결과 105

5. 요약 및 시사점 127

제5장 대입제도 개편 방안 133

제1절 대입제도 개편 원칙 134

제2절 대입제도 개편 방안 138

1. 개편 방향 138

2. 개편 방안 140

제6장 요약 및 결론 155

제1절 요약 156

제2절 결론 159

참고문헌 162

[부록 1] 학생부 및 면접 개선 방안 165

[부록 2] 고교학점제 연구ㆍ선도학교 교원 및 대학 입학사정관용 설문지 172

[부록 3] 고교 교사 서면인터뷰용 질문지 179

[부록 4] 대학 입학사정관 서면인터뷰용 질문지 182

[부록 5] 고교학점제에 따른 대입제도 개편 방안(안) 검토 요청 185

판권기 187

표목차

〈표 1-1〉 설문조사 개요 20

〈표 1-2〉 서면인터뷰 및 온라인 면담 21

〈표 1-3〉 전문가 자문 및 서면인터뷰 22

〈표 2-1〉 대입제도의 변화의 시기 구분 35

〈표 2-2〉 교과 성적 관련 쟁점 50

〈표 2-3〉 전공계열 교과 이수 및 비교과 관련 쟁점 52

〈표 2-4〉 고교 교육과정 이수를 통한 수능 및 면접 준비 관련 쟁점 55

〈표 3-1〉 분석틀 60

〈표 3-2〉 수능을 필수과목과 일반선택과목으로 구성하는 방안 62

〈표 3-3〉 수능을 일반선택과목으로 구성하는 방안 63

〈표 3-4〉 수능Ⅰ, Ⅱ로 분리하는 방안 64

〈표 3-5〉 대입전형 설계 방안 65

〈표 3-6〉 대입제도 구성 영역 및 영역별 가능안 71

〈표 3-7〉 학생부 전형 활용안 75

〈표 3-8〉 중장기 방안에 의한 학교생활기록부 항목반영 75

〈표 3-9〉 2028학년도 대입전형 설계(안) 78

〈표 3-10〉 고교학점제 시행에 따른 대입전형 시나리오 84

〈표 4-1〉 서면인터뷰 참여자 90

〈표 4-2〉 의미 있는 전형, 많이 지원하는 전형 96

〈표 4-3〉 입학전형별 고교학점제 적합도 102

〈표 4-4〉 성취평가제의 문제와 해결 방안 102

〈표 4-5〉 설문조사 개요 104

〈표 4-6〉 설문 내용 105

〈표 4-7〉 설문조사 대상 및 비율 106

〈표 4-8〉 고교학점제와 대입제도에 대한 인식 107

〈표 4-9〉 고교학점제와 대입제도에 대한 인식 차이: 교사 대 입학사정관 109

〈표 4-10〉 고교학점제와 대입제도에 대한 인식 차이: 수도권 대 비수도권 110

〈표 4-11〉 고교학점제에 따른 대입전형별 적합도 111

〈표 4-12〉 고교학점제에 따른 대입전형별 적합도 차이: 교사 대 입학사정관 112

〈표 4-13〉 고교학점제에 따른 대입전형별 적합도 차이: 수도권 대 비수도권 113

〈표 4-14〉 학생부 교과 전형의 개선 방향 113

〈표 4-15〉 학생부 교과 전형의 개선 방향: 교사 대 입학사정관 115

〈표 4-16〉 학생부 교과 전형의 개선 방향: 수도권 대 비수도권 116

〈표 4-17〉 학생부 종합 전형의 개선 방향 117

〈표 4-18〉 학생부 종합 전형의 개선 방향: 교사 대 입학사정관 119

〈표 4-19〉 학생부 종합 전형의 개선 방향: 수도권 대 비수도권 120

〈표 4-20〉 수능 위주 전형의 개선 방향 121

〈표 4-21〉 수능 위주 전형의 개선 방향: 교사 대 입학사정관 122

〈표 4-22〉 수능 위주 전형의 개선 방향: 수도권 대 비수도권 123

〈표 4-23〉 대입제도 개편의 원칙과 방향 124

〈표 4-24〉 대입제도 개편의 원칙과 방향: 교사 대 입학사정관 125

〈표 4-25〉 대입제도 개편의 원칙과 방향: 수도권 대 비수도권 126

〈표 5-1〉 대입제도 개편 구조 설계 141

그림목차

[그림 1-1] 연구 내용에 따른 방법의 적용과정 22

[그림 2-1] 일반계고 고교학점제 단계적 이행 준비 내용 25

[그림 4-1] 고교학점제와 대입제도에 대한 인식 108

[그림 4-2] 고교학점제에 따른 대입전형별 적합도와 확대 여부 111

[그림 4-3] 학생부 교과전형의 개선 방향 114

[그림 4-4] 학생부 종합 전형의 개선 방향 118

[그림 4-5] 수능 위주 전형의 개선 방향 121

[그림 4-6] 대입제도 개편의 원칙과 방향 124

[그림 5-1] 고교학점제에 따른 대입제도 개편안(1안) 143

[그림 5-2] 고교학점제에 따른 대입제도 개편안(2안) 147

[그림 5-3] 대입제도 개편안(2안-학생부위주전형) 147

[그림 5-4] 대입제도 개편안(2안-수능위주전형) 147

[그림 5-5] 고교학점제에 따른 대입제도 개편 방안(3안) 151

부록표목차

〈표 부-1〉 대입제도 공정성 강화 방안(교육부, 2019) 166

〈표 부-2〉 학생부 평가 요소 개선안 168

부록그림목차

[그림 부-1] 학생부 기반 평가 흐름도 1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