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제1부 농정 방향과 한국 농업 미래 9
제1장 2024년 농업ㆍ농가경제 동향과 전망 / 김미복;이형용;이석일;문홍성;김재휘;김가을 10
요약 11
01. 대외 여건과 거시경제 전망 12
1.1. 세계 경제 동향과 전망 12
1.2. 한국 경제 동향과 전망 16
02. 한국 농업 동향과 전망 21
2.1. 농업 생산 동향과 전망 21
2.2. 농식품 소비 동향과 전망 24
2.3. 농식품 교역 동향과 전망 26
2.4. 농업 총량 동향과 전망 28
03. 농가경제 동향과 전망 32
3.1. 농업경영비 동향과 전망 32
3.2. 농가소득 동향과 전망 34
3.3. 농가인구 동향과 전망 35
[참고] 농업 부문 전망을 위한 전제 37
제2부 2024년 농정 현안 39
제2장 농업경영안정 프로그램 현황 및 발전 방향 / 박미선;국승용 40
요약 41
01. 들어가며 45
1.1. 농업경영안정의 의의 45
1.2. 농업소득 구조와 경영안정 요소 48
02. 국내 농업경영안정 프로그램 현황과 과제 53
2.1. 주요 정책 현황 53
2.2. 농업경영안정 정책의 성과와 과제 56
03. 주요국 농업경영안정 프로그램 사례와 시사점 58
3.1. 미국 58
3.2. 일본 60
3.3. 캐나다 62
3.4. 주요국 농업경영안정 프로그램의 시사점 64
04. 농업경영안정 프로그램 발전 방향 66
4.1. 기본 방향 66
4.2. 세부 발전 방향 67
제3장 농업정책보험의 역할 강화 방안 / 김태후;연광훈 69
요약 70
01. 문제제기 72
1.1. 농업경영위험의 확대 72
1.2. 농업정책보험 확대 필요성 75
02. 농업정책보험의 성과와 문제점 77
2.1. 농업정책보험의 특성 77
2.2. 농업정책보험 추진 실적과 문제점 80
03. 농업정책보험의 역할 강화를 위한 방향과 과제 88
3.1. 기본방향 88
3.2. 단기과제 88
3.3. 중장기 과제 90
제4장 그린바이오산업의 농업부문 파급효과와 발전방향 / 이정민;박지연;서대석;김부영 92
요약 93
01. 그린바이오 산업현황 95
1.1. 그린바이오 산업 개념 및 분류 95
1.2. 그린바이오 산업 현황 96
02. 그린바이오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100
2.1. 그린바이오 산업용 농축산물 생산액 101
2.2. 바이오 산업용 그린바이오 소재 시장규모 106
2.3. 그린바이오용 농산물 생산농가 매출 사례 107
03. 그린바이오 기업 사례 분석 109
3.1. 메디푸드 사례분석 109
3.2. 건강기능식품 사례분석 111
04. 농업부문 발전방향 115
4.1. 그린바이오 농업의 한계 115
4.2. 그린바이오 농업의 발전 방향 116
제5장 반려동물 연관산업 현황과 대응 과제 / 황윤재;김경진 119
요약 120
01. 반려동물 연관산업의 성장 122
1.1. 왜 반려동물 연관산업인가? 122
1.2. 반려동물 연관산업 성장 요인 124
1.3. 반려동물 양육 현황 128
1.4. 반려동물 관련 국민 인식 변화 129
02. 반려동물 연관산업 현황과 관련 동향 131
2.1. 국내외 산업 현황과 전망 131
2.2. 국내 반려동물 연관산업 정책ㆍ연구 동향 135
03. 반려동물 연관산업 육성을 위한 과제 140
3.1. 정책 방향 140
3.2. 선결 과제 141
제6장 농촌소멸에 대응한 혁신과 협력의 재생 전략 / 한이철;권인혜;민경찬 148
요약 149
01. 농촌소멸이란 무엇인가 151
1.1. 농촌의 변화 실태 151
1.2. 농촌소멸에 대응하는 농촌재생 155
02. 농촌소멸, 어떻게 대응하고 있나 158
2.1. 농촌소멸 대응 및 재생 관련 국내외 정책 158
2.2. 국내외 농촌재생 사례 160
2.3. 시사점 168
03. 농촌재생, 어떻게 추진해야 하나 170
3.1. 농촌재생 기본 방향 170
3.2. 농촌재생 주요 과제 171
제7장 농촌 청년 실태와 역할 제고 방안 / 마상진;최재현 177
요약 178
01. 들어가며 179
02. 농촌 청년은 어떻게 살고 있는가? 180
2.1. 농촌에 청년이 얼마나 있는가? 2024년 농정 현안 180
2.2. 농촌 청년은 어떻게 살고 있는가? 183
2.3. 농촌 청년은 행복한가? 188
03. 청년은 농촌에 살고 싶어하는가? 190
3.1. 청년은 농촌을 어떻게 생각하는가? 190
3.2. 청년은 농촌적 삶을 좋아하는가? 192
3.3. 농촌 청년은 역할을 제대로 하고 있는가? 195
04. 청년을 통해 어떻게 농촌을 활성화시킬 것인가? 199
4.1. 농촌 청년 정책은 충분한가? 199
4.2. 농촌 청년 정책은 무엇을 지향해야 하는가? 202
4.3. 앞으로 무엇을 해야하는가? 203
05. 맺으며 208
참고문헌 210
제8장 기후위기 시대, 농업부문 대응 방안 / 임영아;정학균 212
요약 213
01. 탄소중립과 농업부문 탄소 감축 215
1.1.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다양한 노력 215
1.2.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농업부문의 과제 219
02. 기후위기와 농업부문 적응 220
2.1. 기후변화의 영향과 적응 노력 220
2.2. 기후위기 적응을 위한 농업부문의 과제 227
03. 실효성 있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정책과제 228
3.1. 전환적 기후위험과 향후 과제 228
3.2. 기후 거버넌스의 구축과 활용 231
제9장 저탄소 축산업으로 전환 방안 / 이용건;김현웅 233
요약 234
01. 탄소중립 선언과 축산업 여건 변화 237
1.1. 축산부문 온실가스 감축의 필요성 237
1.2. 축산업 여건 변화 239
1.3. 축산부문 온실가스 배출 동향 242
02. 온실가스 감축 기술과 축산농가 인식 244
2.1. 온실가스 감축 기술 244
2.2. 축산농가 조사 결과 246
03. 온실가스 감축 기술 도입 효과 251
3.1. 저메탄 사료 251
3.2. 적정단백질 사료 252
3.3. 생산성 향상 253
04. 축산부문 온실가스 감축 방안 257
4.1. 축산업 사육단계별 온실가스 감축 방안 258
4.2. 저탄소 축산업으로 전환과 축산업 발전 방향 265
판권기 267
그림 2-1. 농가소득의 소득원별 추이 46
그림 2-2. 농업소득 구조 48
그림 2-3. 농업소득, 농업총수입, 농업경영비 전년대비 증감률 49
그림 2-4. 곡물, 청과물, 축산물 농가판매가격지수 전년대비 증감률 50
그림 2-5. 사과 및 배 생산량의 전년대비 증감률 52
그림 3-1. 태풍 빈도 변화 73
그림 3-2. 연도별 극한기후지수 추세 73
그림 3-3. 강수량분포 변화 74
그림 3-4. 대구지역 연도별 봄철(3~5월) 서리일수 74
그림 3-5. 농작물재해보험 가입률 및 지급보험금(2001~2022년) 81
그림 3-6. 가축재해보험 가입률 및 지급보험금(2001~2022년) 83
그림 3-7. 수입보장보험 가입률 및 지급보험금(2015~2022년) 84
그림 3-8. 보험가입여부에 따른 기간별 수입 변동계수 85
그림 3-9. 시나리오 분석결과 86
그림 4-1. 2022년 국내 그린바이오 산업의 구성요소별 산업규모 97
그림 4-2/그림 4-1. 그린바이오용 농축산물의 산업별 투입 비율 비교 103
그림 5-1. 국내 고령 인구 및 1~2인 가구 비율 변화 추세(2000~2050년) 125
그림 5-2. 국민소득 변화에 따른 반려동물 문화 및 인식 변화 126
그림 5-3. 연도별 결혼 및 출산에 대한 가치관 변화 127
그림 5-4. 연령대별 결혼 및 출산에 대한 가치관(2020년 기준) 127
그림 5-5. 국내 반려동물 양육 규모 변화 128
그림 5-6. 반려동물에 관한 양육자와 비양육자의 인식(5점 척도) 129
그림 5-7. 국내 반려동물 연관시장 규모 변화와 전망(2010~2028년) 133
그림 5-8. 국내 반려견ㆍ반려묘 배합사료 생산실적 134
그림 5-9. 국내 반려견ㆍ반려묘 배합사료 생산 비율 134
그림 5-10. 국내 펫푸드 수출입 변화 추세 135
그림 6-1. 농촌 인구 변화 152
그림 6-2. 인구 2,000명 이하 읍ㆍ면 분포 153
그림 6-3. 농촌 면 지역 생활서비스 임계인구 154
그림 6-4. 주민 유형별 마을 내 사회조직 참여 현황 155
그림 6-5. 다카사키시 복지개호형 MaaS 플랫폼을 이용한 이동서비스 161
그림 6-6. 프랑스서비스 에이전시(버스) 162
그림 6-7. 제주도 보름왓 전경 163
그림 6-8. 함께하는장곡 사회적협동조합 돌봄 네트워크 164
그림 6-9. 전북 생생마을관리소 운영 기본구상 165
그림 6-10. 청양군 민ㆍ관협치형 정책추진체계 166
그림 6-11. 농촌 RMO의 활동 영역과 발전 양상 167
그림 7-1. 연령별 농촌 순이동(2020년) 182
그림 7-2. 유입경로별 농촌과 도시 청년 분포 183
그림 7-3. 농촌과 도시 청년의 행복 수준 189
그림 7-4. 농촌 관계성에 따른 도시 청년 분포 191
그림 7-5. 청년세대의 선호하는 삶의 방식과 미래에 살고 싶은 곳 192
그림 7-6. 도시 청년의 몇 년 내 이주 계획 193
그림 7-7. 도시 청년의 농촌 이주 수요 194
그림 7-8. 청년의 농촌 긍정 이미지, 농촌 관계성에 따른 농촌 거주의향 비율 194
그림 7-9. 농촌 청년의 지역사회 기여 희망 분야 196
그림 7-10. 농촌 청년의 지역 기여 장애요인 197
그림 7-11. 농촌과 도시 청년의 청년정책 미인지ㆍ미수혜율 차이 200
그림 7-12. 청년세대를 통한 농촌의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한 농촌 정책의 기본방향 202
그림 8-1. 「탄소중립ㆍ녹색성장 국가전략」 체계도 217
그림 8-2. 기후변화 대응 국가계획 관계도 222
그림 9-1. 1인 1일당 단백질 공급량 및 공급원별 비율 추이 239
그림 9-2. 축종별 가축사육 및 규모화 현황 240
그림 9-3. 축산물 생산시스템과 온실가스 배출 체계 242
그림 9-4.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사료 변경에 제약요인(주요 결과) 249
그림 9-5.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장비 및 시설 도입에 제약요인(주요 결과) 249
그림 9-6. 가축분뇨 신재생에너지 생산업체로 반출에 제약요인 250
그림 9-7. 온실가스 감축 기술 도입을 위한 정부 지원사항 250
그림 9-8. 축산부문 2050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한 선결 조건 257
그림 9-9. 저탄소 축산업으로 전환과 지속가능한 축산업 발전의 개념도 266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