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요약 10
제1장 서론 15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6
제2절 연구내용 23
1. 경기미래교육 비전과 정책목표 23
2. 경기미래교육 지표 체계의 프레임워크 개발 23
3. 세부지표 선정 및 조작화 24
4. 지표체계 관리 방안 24
제3절 연구방법 26
1. 문헌연구 26
2. 교육주체 면담(FGI) 26
3. 워킹그룹 운영 27
4. 전문가 델파이 조사 28
제2장 선행연구 검토 29
제1절 미래교육 담론과 정책 30
1. 국제 수준의 미래교육 담론과 정책 30
2. 한국의 국가교육과정과 미래교육 38
3. 소결: 국제와 국내 수준의 미래교육 담론 변화 비교 51
제2절 미래교육지표 체계 개발을 위한 선행연구 검토 55
1. 교육지표 연구 55
2. 미래지표체계 61
3. 성과지표와 정책평가: 정책지표 66
제3장 경기 미래교육지표 체계 개발 과정 72
제1절 경기미래교육 정책 분석 73
1. 추진 배경 75
2. 교육의 목적 및 인간상 77
3. 역량 설정 79
4. 실천 전략 81
5. 요약 및 시사점 94
제2절 교육주체 면담(FGI) 97
1. 교사 97
2. 학부모 122
3. 소결 144
제3절 워킹그룹 운영 149
1. 워킹그룹 구성 및 운영 방법 149
2. 워킹그룹 논의 결과 151
제4절 소결 175
제4장 경기 미래교육지표 체계 구성 178
제1절 지표체계의 이론적 프레임워크 179
제2절 경기 미래교육지표 체계(초안) 183
제3절 지표 타당화 189
1. 조사개요 189
2. 1차 델파이 190
3. 2차 델파이 205
제4절 경기 미래교육지표 체계(안) 221
제5장 결론 230
제1절 요약 231
제2절 정책 제언 234
1. 지표 산출ㆍ관리 방안 234
2. 데이터 수집 및 관리 방안 238
참고문헌 243
[부록 1] 국제, 한국, 경기 수준의 미래교육 담론 비교 248
[부록 2] 면담 질문지 253
[부록 3] 델파이 조사지 255
[부록 4] 지표정의서 285
판권기 386
[그림 1-1] 연구절차 28
[그림 2-1] 박성호 외(2020)가 제안한 국가교육지표체제 모형 56
[그림 2-2] 교육 및 훈련 분야 프레임워크(한준 외, 2017: 50) 59
[그림 2-3] OECD 교육지표 지표 구성 체계 60
[그림 2-4] 미래준비지수 개념도(송영조 외, 2018:164) 62
[그림 2-5] 민보경 외(2020)가 제안한 미래사회 대응지표 체계(민보경 외, 2021: 12) 64
[그림 2-6] 국가발전을 위한 정책가치체계 모형(이민호 외, 2012:175) 69
[그림 2-7] 영국 공공서비스 협정과 부처목표의 연계(자료: 반가운 외, 2018:261) 70
[그림 3-1] 경기미래교육의 설계도 82
[그림 3-2] 경기미래교육의 비전 및 핵심 정책목표 선정을 위한 워드클라우드 결과 153
[그림 4-1] 경기미래교육 지표의 주제+체제 혼합 모형 180
[그림 4-2] 경기미래교육 지표의 주제+체제 혼합 수정 모형 181
[그림 4-3] 지표설정의 상향식 접근 182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