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요약 10

제1장 서론 15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6

제2절 연구내용 23

1. 경기미래교육 비전과 정책목표 23

2. 경기미래교육 지표 체계의 프레임워크 개발 23

3. 세부지표 선정 및 조작화 24

4. 지표체계 관리 방안 24

제3절 연구방법 26

1. 문헌연구 26

2. 교육주체 면담(FGI) 26

3. 워킹그룹 운영 27

4. 전문가 델파이 조사 28

제2장 선행연구 검토 29

제1절 미래교육 담론과 정책 30

1. 국제 수준의 미래교육 담론과 정책 30

2. 한국의 국가교육과정과 미래교육 38

3. 소결: 국제와 국내 수준의 미래교육 담론 변화 비교 51

제2절 미래교육지표 체계 개발을 위한 선행연구 검토 55

1. 교육지표 연구 55

2. 미래지표체계 61

3. 성과지표와 정책평가: 정책지표 66

제3장 경기 미래교육지표 체계 개발 과정 72

제1절 경기미래교육 정책 분석 73

1. 추진 배경 75

2. 교육의 목적 및 인간상 77

3. 역량 설정 79

4. 실천 전략 81

5. 요약 및 시사점 94

제2절 교육주체 면담(FGI) 97

1. 교사 97

2. 학부모 122

3. 소결 144

제3절 워킹그룹 운영 149

1. 워킹그룹 구성 및 운영 방법 149

2. 워킹그룹 논의 결과 151

제4절 소결 175

제4장 경기 미래교육지표 체계 구성 178

제1절 지표체계의 이론적 프레임워크 179

제2절 경기 미래교육지표 체계(초안) 183

제3절 지표 타당화 189

1. 조사개요 189

2. 1차 델파이 190

3. 2차 델파이 205

제4절 경기 미래교육지표 체계(안) 221

제5장 결론 230

제1절 요약 231

제2절 정책 제언 234

1. 지표 산출ㆍ관리 방안 234

2. 데이터 수집 및 관리 방안 238

참고문헌 243

[부록 1] 국제, 한국, 경기 수준의 미래교육 담론 비교 248

[부록 2] 면담 질문지 253

[부록 3] 델파이 조사지 255

[부록 4] 지표정의서 285

판권기 386

표목차

〈표 1-1〉 교사, 학부모 면담 개요 26

〈표 1-2〉 워킹그룹 운영 개요 27

〈표 1-3〉 전문가 델파이 조사자 개요 28

〈표 2-1〉 OECD DeSeCo 프로젝트와 교육 2030 비교 33

〈표 2-2〉 교육혁신의 주요 내용 36

〈표 2-3〉 양정실 외(2018)가 제시한 미래 교육의 비전과 지향점 39

〈표 2-4〉 미래 학교교육의 세 갈래 방향 40

〈표 2-5〉 정영근 외(2022)가 제시하는 미래 교육과정 시나리오 주요 내용 44

〈표 2-6〉 2015 개정 교육과정과 2022 개정 교육과정 비교 49

〈표 2-7〉 학교 교육 디지털 전환 지표 58

〈표 2-8〉 OECD 교육지표 구성 61

〈표 3-1〉 경기미래교육 정책 문서 75

〈표 3-2〉 추진 배경 77

〈표 3-3〉 교육의 목적 및 인간상 79

〈표 3-4〉 역량 설정 80

〈표 3-5〉 경기미래교육의 3대 원칙 82

〈표 3-6〉 경기미래교육 정책 실천 전략의 문서별 비교 84

〈표 3-7〉 교육의 내용 및 과정 설계의 원칙 86

〈표 3-8〉 '수준 높은 교육내용의 필요성' 관련 경기미래교육 정책 내용 88

〈표 3-9〉 '혁신과 형평성 보장' 관련 경기미래교육 정책 내용 89

〈표 3-10〉 교육주체 91

〈표 3-11〉 학교교육 체제 92

〈표 3-12〉 2023 학교평가 편람 94

〈표 3-13〉 교사 면담자 특징 97

〈표 3-14〉 학부모 면담자 특징 123

〈표 3-15〉 교육주체 면담 결과 요약 145

〈표 3-16〉 워킹그룹 운영 일정 및 논의 주제 150

〈표 3-17〉 경기미래교육의 비전 및 핵심정책목표 검토안 154

〈표 3-18〉 경기미래교육의 비전 및 핵심정책목표 수정안 157

〈표 3-19〉 경기미래교육 지표 프레임워크(안) 158

〈표 3-20〉 부서별 하위목표 취합 결과 158

〈표 3-21〉 3차 워킹그룹 논의결과를 반영하여 설정한 하위목표(안) 161

〈표 3-22〉 경기 미래교육지표 체계(초안)와 도교육청 주요 정책 비교 164

〈표 3-23〉 하위 목표별 지표(안) 169

〈표 3-24〉 지표 개발 절차별 제시된 주요 내용 비교 176

〈표 4-1〉 경기 미래교육 비전과 정책목표(초안) 183

〈표 4-2〉 비전과 정책목표별 하위목표(초안) 183

〈표 4-3〉 학생맞춤형 교육체제 비전의 세부지표(초안) 185

〈표 4-4〉 인성과 역량을 키우는 교육과정 비전의 세부지표(초안) 186

〈표 4-5〉 자율과 책임의 교육공동체 비전의 세부지표(초안) 187

〈표 4-6〉 델파이 조사 참여자 현황 189

〈표 4-7〉 패널 수에 따른 내용타당도 기준값 190

〈표 4-8〉 정책목표 구성 및 정책목표의 타당성(1차 델파이) 190

〈표 4-9〉 정책목표별 하위목표의 타당성(1차 델파이) 193

〈표 4-10〉 지표 유형의 타당성(1차 델파이) 194

〈표 4-11〉 미래형 교수학습환경 조성의 지표별 타당성(1차 델파이) 195

〈표 4-12〉 지역교육협력 강화의 지표별 타당성(1차 델파이) 196

〈표 4-13〉 포용적 성장지원체계 구축의 지표별 타당성(1차 델파이) 198

〈표 4-14〉 기본인성 함양의 지표별 타당성(1차 델파이) 199

〈표 4-15〉 기초역량 강화의 지표별 타당성(1차 델파이) 200

〈표 4-16〉 미래형 교육과정 운영의 지표별 타당성(1차 델파이) 201

〈표 4-17〉 학교 자율역량 강화의 지표별 타당성(1차 델파이) 202

〈표 4-18〉 교원 전문성 지원의 지표별 타당성(1차 델파이) 203

〈표 4-19〉 미래지향적 교육행정체계 구축의 지표별 타당성(1차 델파이) 204

〈표 4-20〉 정책목표 구성 및 정책목표의 타당성(2차 델파이) 206

〈표 4-21〉 정책목표별 하위목표의 타당성(2차 델파이) 208

〈표 4-22〉 학습자 중심 교수학습환경 조성의 지표별 타당성(2차 델파이) 210

〈표 4-23〉 지역교육협력 강화의 지표별 타당성(2차 델파이) 211

〈표 4-24〉 포용적 성장지원체계 구축의 지표별 타당성(2차 델파이) 212

〈표 4-25〉 기본 인성 함양의 지표별 타당성(2차 델파이) 214

〈표 4-26〉 기초 역량 강화의 지표별 타당성(2차 델파이) 215

〈표 4-27〉 미래형 교육과정 운영의 지표별 타당성(2차 델파이) 216

〈표 4-28〉 학교 자율역량 강화의 지표별 타당성(2차 델파이) 217

〈표 4-29〉 교원 전문성 지원의 지표별 타당성(2차 델파이) 218

〈표 4-30〉 현장 중심 교육행정체계 구축의 지표별 타당성(2차 델파이) 219

〈표 4-31〉 경기 미래교육지표 체계(최종안) 221

〈표 4-32〉 정책목표와 하위목표 최종안 수정 사항 222

〈표 4-33〉 비전과 정책목표별 하위목표(최종안) 222

〈표 4-34〉 학생 맞춤형 교육체제 비전의 세부지표(최종안) 224

〈표 4-35〉 인성과 역량을 키우는 교육과정 비전의 세부지표(최종안) 226

〈표 4-36〉 자율과 책임의 교육공동체 비전의 세부지표(최종안) 228

〈표 5-1〉 경기 미래교육지표 체계(최종안) 233

그림목차

[그림 1-1] 연구절차 28

[그림 2-1] 박성호 외(2020)가 제안한 국가교육지표체제 모형 56

[그림 2-2] 교육 및 훈련 분야 프레임워크(한준 외, 2017: 50) 59

[그림 2-3] OECD 교육지표 지표 구성 체계 60

[그림 2-4] 미래준비지수 개념도(송영조 외, 2018:164) 62

[그림 2-5] 민보경 외(2020)가 제안한 미래사회 대응지표 체계(민보경 외, 2021: 12) 64

[그림 2-6] 국가발전을 위한 정책가치체계 모형(이민호 외, 2012:175) 69

[그림 2-7] 영국 공공서비스 협정과 부처목표의 연계(자료: 반가운 외, 2018:261) 70

[그림 3-1] 경기미래교육의 설계도 82

[그림 3-2] 경기미래교육의 비전 및 핵심 정책목표 선정을 위한 워드클라우드 결과 153

[그림 4-1] 경기미래교육 지표의 주제+체제 혼합 모형 180

[그림 4-2] 경기미래교육 지표의 주제+체제 혼합 수정 모형 181

[그림 4-3] 지표설정의 상향식 접근 1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