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요약 4
01. 서론 19
1. 연구 배경과 목적 20
2. 연구 대상과 방법 22
02. 서울시 양육행복도시 정책 개관과 특성 25
1. 양육행복도시 정책 추진 배경과 현황 26
1) 추진 배경 26
2) 정책 변천 과정 28
2. 양육행복도시 정책의 구성과 세부사업 29
1) 비전체계 29
2) 안심돌봄 분야 31
3) 편한외출 분야 36
4) 건강힐링 분야 41
5) 일생활균형 분야 44
6) 탄생응원 분야 47
3. 국내외 양육지원 정책 사례 50
1) 정부 정책 동향 50
2) 국내 지자체 저출산 대책 우수사례 56
3) 해외 사례: 일본 "이(異)차원 저출산 대책" 64
4. 소결 71
1) 국내외 정책 사례의 시사점 71
2) 성과평가체계 개발의 시사점 73
03. 서울시민의 양육행복도시 정책 인식과 수요 75
1. 서울양육자서베이 개요와 분석 방법 76
1) 조사 목적과 개요 76
2) 분석 방법 77
3) 응답자 특성 78
2. 양육자와 비양육자의 정책 인식과 수요 비교 80
1) 정책인지와 인지경로 80
2) 4대 분야별 수요 81
3) 세부사업별 수요 82
4) 정책 기대와 보완 과제 85
3. 지원 기준 적절성과 양육자 특성별 비교 분석 87
1) 지원 연령 범위 적절성 87
2) 소득기준 적절성 88
3) 양육자 성별 비교분석 89
4) 자녀 연령대별 비교분석 90
4. 소결 93
04. 서울시 양육행복도시 정책 재구조화 및 성과지표 개발 95
1. 델파이조사 개요 및 지표 개발 방법 96
1) 조사 개요 및 전문가 구성 96
2) 성과평가체계 개발 과정 99
2. 세부사업 및 추진전략 재구조화 103
1) 세부사업 세분화 및 평가 대상 사업 선정 103
2) 추진전략 재구조화 111
3. 핵심 성과지표 개발 118
1) 안심돌봄 분야 118
2) 편한외출 분야 128
3) 건강힐링 분야 139
4) 일생활균형 분야 148
5) 탄생응원 분야 157
6) 비전과 목표 159
05. 성과평가 운영방안 및 정책 개선과제 166
1. 성과평가 운영방안 167
1) 핵심성과지표 활용 방안 167
2) 모니터링 및 성과평가 운영체계 170
3) 「서울양육자서베이」 운영 개선 방안 171
2. 심층평가 과제 제안 175
1) 심층평가의 필요성 175
2) 안심돌봄 분야: 정부와 서울시 아이돌봄서비스 통합 평가 176
3) 편한외출 분야: 양육자 외출 특성 기반 양육친화시설 공급 개선 177
4) 건강힐링 분야: 아이발달 및 양육코칭 지원사업의 정책 성과 심층 분석 177
3. 서울시 양육행복도시 정책 개선과제 179
1) 서울시 정책과제 진단 프레임워크 설정 179
2) 진단 항목별 매핑분석 결과 182
3) 서울시 양육행복도시 정책의 보완과제 186
참고문헌 187
[부록] 189
1. 2023 서울양육자서베이 설문지 189
2. 델파이 1차 조사지 212
3. 델파이 2차 조사지 238
4. 델파이 3차 조사지 303
5. 「엄마아빠행복프로젝트2.0」 핵심성과지표 세부 설명서 348
Abstract 381
판권기 384
[그림 2-1] 서울시 양육행복도시 정책의 개편 단계 28
[그림 2-2] 서울시 「엄마아빠행복프로젝트 2.0」 정책체계도(2023.8.28.) 30
[그림 2-3] 제4차 저출산ㆍ고령사회 기본계획 정책체계도 51
[그림 2-4] 2023 윤석열 정부 저출산 정책 추진 방향 54
[그림 2-5] 광주아이키움2.0 비전체계도 56
[그림 2-6] 광주아이키움2.0 추진체계 정비 57
[그림 2-7] 경상북도 인구정책 기본계획('22~'26년) 60
[그림 2-8] 출생아 수와 장래 인구추계 비교 65
[그림 4-1] 델파이조사 회차별 조사 내용 구성 98
[그림 4-2] 안심돌봄 분야 추진전략 재구조화 112
[그림 4-3] 편한외출 분야 추진전략 재구조화 방안 비교 113
[그림 5-1] 서울시 양육행복도시 정책 성과평가 운영방안 171
[그림 5-2] 서울시 양육행복도시 정책 심층평가 과제(안) 176
[그림 5-3] 양육지원의 돌봄주기별 과제 180
[그림 5-4] 양육필요에 따른 지원수단 181
[그림 5-5] 가족과 아동의 요구에 맞춘 정책의 개입 강도 182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3143400 | 649.1 -24-129 |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 이용가능 | |
0003143401 | 649.1 -24-129 |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 서가번호: 42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